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 하십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 하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수요목

2.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1) 결과 지향적 교수요목
(1) 문법 중심 교수요목(grammatical syllabus)
(2) 상황 중심 교수요목(situational syllabus)
(3) 화제 중심 교수요목(topic-based syllabus)
(4)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Notional-Functional syllabus)
2)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process-oriented syllabus)
(1) 과정 중심 교수요목(process syllabus)
(2) 절차 중심 교수요목(procedural syllabus)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eaching Project)로 영어교육을 실시한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3. 시사점
White(1988)는 교수요목에 대한 접근을 학습 내용을 중점으로 하는 Type A형과 학습 과정을 중점으로 하는 Type B형으로 나누었다. Type A형은 학습 내용에 초점을 두는 결과중심 교수요목 접근법으로서 학습 내용을 전문가가 정하고 교사를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학습 내용을 중요하게 여기기에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습자를 평가한다. 구조 중심 교수요목, 상황 중심 교수요목, 화제중심 교수요목, 개념-기능 교수요목 등이 속한다. Type B형은 내용보다는 학습과정과 방법에 초점을 두는 과정중심 교수요목 접근법으로서 과정 중심 교수요목과 절차 중심 교수요목 등이 속한다. Nunan(1988)은 교수요목을 결과 지향적 교수요목 접근법과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 접근법으로 나누었다. 결과 지향적 교수요목 접근법은 학습의 결과인 지식과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에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 접근법은 지식과 기능을 얻는 과정을 중시하여 학습 경험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역시 과정중심 교수요목과 절차 중심 교수요목이 포함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과정 중심 교수요목이 갖는 한계점은 첫째로 학습자들의 과제성취를 위한 사고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것과 학습자들 간의 서투른 상호작용으로 인한 화석화를 우려하여 집단학습을 지양함으로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집단학습의 장점을 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로 난이도와 과제절차가 체계적이지 못하며 객관적인 평가기준 없이는 학습자 요구에 따른 과제 적절성에 대한증명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로 교수요목의 출발점이 학습자의 요구분석이나 목표에 대한 진술이 아니라 과제 상세화로부터 있기 때문에 선정된 과제와 학습목표와의 관련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서종학, 이미향. (2007).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방혜숙. (2008). 「한국어 교재 대화 연구 : 대화 구조와 사회언어학적 변인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숙. 2003. 통합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어교육 제11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윤효. 2016. 직업 목적 한국어 교수요목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중국인 판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1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62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