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 1. 만3세 “또래관계측정도구” 개발.
2. 1. 1. 개발 동기 및 목적.
2. 1. 2. 검사 도구의 형식.
2. 1. 3. 검사 도구의 문항.
2. 1. 4. 검사 도구의 실시과정.
2. 2. 평정척도의 오류
2. 2. 1. 평정척도의 오류 및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2. 1. 만3세 “또래관계측정도구” 개발.
2. 1. 1. 개발 동기 및 목적.
2. 1. 2. 검사 도구의 형식.
2. 1. 3. 검사 도구의 문항.
2. 1. 4. 검사 도구의 실시과정.
2. 2. 평정척도의 오류
2. 2. 1. 평정척도의 오류 및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 피평정자와 전혀 교류가 없고 알지 못하는 사람이 평정하도록 하여 사적인 감정을 제거하도록 하고,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피평정 자의 비율을 정해 놓으면 관대화의 오류는 줄어들 것이다.
중심화 오류 : 아주 높은 점수나 낮은 점수는 피하고 중간점수를 주려는 경향이 강 하여 중간점수로만 평정하는 것을 말한다.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도록 하여 평가방법을 충 분히 숙지하도록 하면 중심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논리적 오차 : 전혀 연관성이 없는 행동 특성을 비슷하다고 판단하며 평정하는 것 을 말한다.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 평정하려고 하는 특성 이외에는 피평정자에 대한 어떤 정보도 제공 하지 않아야 하며, 두 특성이 비슷해 보여도 전혀 상관이 없는 특 성일 수도 있다는 것을 평정자에게 다시 한번 강조해주면 논리적 오차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유아에게 있어 또래관계는 사회정서적인 유능함을 발달시켜 청소년기나 성인이 되어 집단생활을 하며 살아가야 할 때 큰 영향을 주는 관계이다. 또래관계에서 정상적인 관계를 갖지 못하고 소외되거나 어울리지 못해서 오는 불안감은 사회적 범죄 또는 비행행동과 같은 반사회성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어린 아이들에게 또래관계는 훗날 성인이 되어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관계이며, 관계를 맺지 못하는 아이에 특성을 파악하여 또래관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세워 도와줘야 할 것이다. 또한 사람에 관계에서 완벽하고 확실한 관계가 없다는 것을 생각하여 아이들에게도 친한 친구와 일어난 갈등 속에서 사소한 행동이나 말에 상처받지 않도록 바람직한 중재를 하며 친구 사이가 멀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또래관계를 측정하는 등 유아에 대한 평가나 검사를 할 때는 평정척도의 수많은 오류들과 같은 문제들이 나타나지 않도록 사전에 평가 및 검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주관적인 생각으로 채점하지 않도록 공정하고 평등한 평정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실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김희태, 백순근, 『유아교육평가』, 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 홍순정, 최석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201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3. 김희태, 김경희, 『유아사회교육』, 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중심화 오류 : 아주 높은 점수나 낮은 점수는 피하고 중간점수를 주려는 경향이 강 하여 중간점수로만 평정하는 것을 말한다.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 평정자가 피평정자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도록 하여 평가방법을 충 분히 숙지하도록 하면 중심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논리적 오차 : 전혀 연관성이 없는 행동 특성을 비슷하다고 판단하며 평정하는 것 을 말한다.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 평정하려고 하는 특성 이외에는 피평정자에 대한 어떤 정보도 제공 하지 않아야 하며, 두 특성이 비슷해 보여도 전혀 상관이 없는 특 성일 수도 있다는 것을 평정자에게 다시 한번 강조해주면 논리적 오차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유아에게 있어 또래관계는 사회정서적인 유능함을 발달시켜 청소년기나 성인이 되어 집단생활을 하며 살아가야 할 때 큰 영향을 주는 관계이다. 또래관계에서 정상적인 관계를 갖지 못하고 소외되거나 어울리지 못해서 오는 불안감은 사회적 범죄 또는 비행행동과 같은 반사회성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어린 아이들에게 또래관계는 훗날 성인이 되어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관계이며, 관계를 맺지 못하는 아이에 특성을 파악하여 또래관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세워 도와줘야 할 것이다. 또한 사람에 관계에서 완벽하고 확실한 관계가 없다는 것을 생각하여 아이들에게도 친한 친구와 일어난 갈등 속에서 사소한 행동이나 말에 상처받지 않도록 바람직한 중재를 하며 친구 사이가 멀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또래관계를 측정하는 등 유아에 대한 평가나 검사를 할 때는 평정척도의 수많은 오류들과 같은 문제들이 나타나지 않도록 사전에 평가 및 검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주관적인 생각으로 채점하지 않도록 공정하고 평등한 평정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실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김희태, 백순근, 『유아교육평가』, 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 홍순정, 최석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201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3. 김희태, 김경희, 『유아사회교육』, 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2020년 1학기 교육평가 기말시험 과제물 C형
2020년 방통대 교육평가 기말고사
[부모교육] 1. 유아기 발달 특성을 영역별로 설명하고, 각 영역의 발달을 위한 부모역할을 논...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교육평가 ) 수행평가의 출현배경을 설명하고 유아교육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행평가와 ...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2022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기말시험] 1. 유아교육기관의 학급운영 관리 개념 및 원리, 유...
유아교육_만 3세 또래측정도구 개발과 수행평가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