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실험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기기 및 장비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6. 퀴즈
2. 실험원리
3. 실험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기기 및 장비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6. 퀴즈
본문내용
항원-항체 반응을 기반으로 한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조직 수준에서 관찰할 때에는 immunohistochemistry라고 한다. 항원-항체 반응 중에서도 Direct immunofluorescence(직접 표식법)와 Indirect immunofluorescence(간접 표식법 or secondary detection)가 있다. Direct의 경우 항원과 형광물질이 달려있는 항체가 반응하면서 형광이 관찰되는 방식을 말하고 indirect의 경우 항원과 항체가 반응한 뒤 이 1차 항체의 FC그룹을 인식하는 2차 항체가 반응하여 2차 항체에 달려있는 형광물질로 인해 형광이 관찰되는 방식을 말한다. 1차 항체가 붙고 2차 항체가 붙어야 한다는 점에서 indirect라고 한다.
추천자료
광우병(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이란
미생물의 염색법, 그람염색법
미생물 그람염색 실험 및 세균 배지 실험
회분의 정량분석, 수분의 정량분석, 과일 중 유기산의 정량분석, 염화마그네슘의 정량분석, ...
그람 염색법 레포트(토의, 결과,실험방법)
[미생물 실험] 그람 염색법과 세균의 그람양성여부 판별시험
Escherichia coli(E.coli)와 Bacillus subtillis의 그람염색
기초간호과학 2022] 그람염색의 정의 분류, 이식 거부반응의 정의 기전 형태 시행 가능한 간...
기초간호과학 2022] 1.그람염색 2.이식 거부반응 간호중재 3.산-염기 불균형 간호중재 -기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