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병태생리
Ⅱ 사정
① 간호력
②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③ 임상 검사
Ⅲ 간호진단&간호수행
① 비효율적 호흡양상
② 불안
③ 영양 부족
④ 불면증
Ⅳ 참고문헌
Ⅱ 사정
① 간호력
②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③ 임상 검사
Ⅲ 간호진단&간호수행
① 비효율적 호흡양상
② 불안
③ 영양 부족
④ 불면증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입원기간동안의 식사계획에 대해 대상자와 토의한다.
⑥ 위산과다를 유발하는 맵고, 자극적인 음식섭취를 줄이도록 교육한다.
설사로 인해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 다.
, 구강위생은 입냄새를 제거하여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킨다.
구강에 습기를 제공하여 연하곤란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
⑤ 영양사가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 때문.
⑥ 위산과다, 속쓰림 등의 위장장애는 잘못된 식습관과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
간호수행
대상자가 입원한 날부터 24시간 마다 수분섭취량, 배설량, 체중변화 등을 관찰 하여 대상자가 설사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게 예방하였다.
Intake
Output
4/14
1760
2500
4/15
1980
2470
4/16
2150
2360
4/17
2220
2250
,, 구강간호교육을 하루 3회씩 실시하여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식욕을 증진 시켰으며, 생리식염수와 흡인기로 구강을 자주 헹구어 구강점막을 습하게 유지하여 구강건조로 인한 연하곤란을 감소시켰음.
⑤ 대상자와 영양사가 식사계획에 대해 토의하게 함으로써 대상자가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하루 3끼 균형 잡힌 식사를 하게하고, 2L의 충분한 수분섭취를 격려함.
⑥ 위산과다를 유발하는 자극적인 음식섭취를 줄이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4월 17일: “이제 속이 덜 쓰려요.”라고 하심.
4월 18일: “오늘 밥 한 공기 다 먹었어요.”라고 하심.
4월 19일: “입 안이 건조한 것이 덜해서 삼키는 것이 나아졌어요.”라고 하심.
간호진단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면증
정의: 신체기능에 장애를 가져오는 수면의 질과 양의 파괴
일 시
15 .04 .14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 호흡곤란으로 인해 깊이 잠들지 못함.
- 3~4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심
- 호흡곤란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계심.
- 간혹 낮잠을 자는 모습을 볼 수 있음.
- 신경이 예민하신 편이라서 잠을 잘 못 이루시고 수면제를 종종 드셨음.
간호목표
장기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 이내 호흡방해를 받지 않고 수면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주 이내에 기상 시 개운하다고 말한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환경에 방해를 받지 않고 수면 시간을 증가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수면제의 효능 없이 잠을 잘 수 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불면증의 요인을 제거 & 감소시킨다.
- 진해 거담제인 Atrovent UDV를 투여한다.
- semi-Fowler 체위를 취하게 하여 기좌호흡을 한다.
②늦은 오후의 낮잠을 피하도록 격려한다.
③ 취침시간동안 방해 받지 않는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④ 심상 유도법, 점진적 근육이완법, 명상법 등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⑤매일 아침에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구체적인 말로 설명하게 한다.
⑥취침 전 치즈 & 우유 같은 고단백 음식을 섭취한다.
⑦잠을 깨면 침실에 계속 누워있지 않고 침실을 나와 다른 방에서 조용히 독서와 자극적이지 않는 운동을 한다.
① -진해 거담제인 Atrovent UDV의 효능은 호흡곤란 완화로 수면 시 호흡곤란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
-기좌호흡으로 대상자의 호흡곤란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
② 늦은 오후의 낮잠이나 너무 긴 시간의 낮잠은 오히려 수면 리듬을 깰 수 있기 때문.
③ 우리의 몸이 TV를 보고 있거나 밝은 조명에 노출되어있으면 낮으로 인식하여 수면에 방해를 주기 때문.
④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면 대상자가 생활양식과 취침 전 활동을 변화 시킬 수 있다.
⑤감정을 개방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분노와 무력함, 왜곡된 인식, 비현실적 두려움 같은 특정 감정들을 알아차리기 쉽게 한다.
⑥식품에 포한된 L-trytopan은 수면 유도에 도움을 주기 때문.
⑦침대를 수면과 자동 연상 되도록 하려면 한밤중에 깨더라도 침실을 나와 자극적이지 않는 활동과 독서 등을 하는 것이 수면에 도움을 주기 때문.
간호수행
① 대상자에게 진해 거담제인 Atrovent UDV 0.4-2.0ml 1일 4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체위변경을 시켰다.
② 대상자가 늦은 오후의 낮잠이나 너무 긴 시간의 낮잠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③대상자가 취침 전 TV를 보거나 주위 환경의 소음을 줄여주고 밝은 조명에 노출되지 않게 하였다.
④ 대상자에게 취침 전 심상 유도법, 점진적 근육이완법, 명상법 등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교육하였다.
⑤대상자가 호소하신 날로 부터 매일 아침 대상자에게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한 감정을 개방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특정 감정들을 쉽게 알아 차려 대상자가 불편해 하는 사항들을 즉각적으로 대처하였다.
4/13
수면시간 : 3~4시간
4/14
수면시간: 4~5시간
4/15
수면시간 : 5~6시간
4/16
수면시간 :6~7시간
4/17
수면시간: 7~8시간
4/18
수면시간 : 8시간
⑥취침 전 간단한 간식 겸 치즈& 우유 같은 수면 유도에 도움을 주는 고단백 음식을 섭취하게 하였다.
⑦ 대상자가 잠이 깨면 잠을 이어가기위해 계속 누워있지 않게 하고 침실을 나와 조용히 독서하게 하였다.
간호평가
4. 18 : 수면시간 3~4시간 8시간
4. 19 : “수면제를 먹지 않고도 잠을 잘 수 있다”라고 말하였음.
4. 21 : “수면 시 3일에 한번 꼴로 호흡 곤란으로 수면을 하지 못한다.”라고 말하였음.
4. 28 : “5일에 한번 꼴로 일어나는 호흡 곤란만 없으면 잠을 개운하게 잘 수 있다”라고 말하였음.
Atrovent UDV (진해거담제)
-용 량 : 네블라이저를 이용해 투여, 성인 0.4-2.0ml 1일 4회.
-효 능 : 기관지천식,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등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기인한 호흡곤란 등 제증상 완화
-부작용 : 기침, 오심, 신경과민, 현기, 두통, 구갈, 시야혼탁.
Ⅳ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상) 제6판 조경숙 외 공저(현문사)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성미혜 외 공저(수문사)
- 기본간호학(하) 손영희 외 공저(현문사)
⑥ 위산과다를 유발하는 맵고, 자극적인 음식섭취를 줄이도록 교육한다.
설사로 인해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 다.
, 구강위생은 입냄새를 제거하여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킨다.
구강에 습기를 제공하여 연하곤란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
⑤ 영양사가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 때문.
⑥ 위산과다, 속쓰림 등의 위장장애는 잘못된 식습관과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
간호수행
대상자가 입원한 날부터 24시간 마다 수분섭취량, 배설량, 체중변화 등을 관찰 하여 대상자가 설사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게 예방하였다.
Intake
Output
4/14
1760
2500
4/15
1980
2470
4/16
2150
2360
4/17
2220
2250
,, 구강간호교육을 하루 3회씩 실시하여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식욕을 증진 시켰으며, 생리식염수와 흡인기로 구강을 자주 헹구어 구강점막을 습하게 유지하여 구강건조로 인한 연하곤란을 감소시켰음.
⑤ 대상자와 영양사가 식사계획에 대해 토의하게 함으로써 대상자가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하루 3끼 균형 잡힌 식사를 하게하고, 2L의 충분한 수분섭취를 격려함.
⑥ 위산과다를 유발하는 자극적인 음식섭취를 줄이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4월 17일: “이제 속이 덜 쓰려요.”라고 하심.
4월 18일: “오늘 밥 한 공기 다 먹었어요.”라고 하심.
4월 19일: “입 안이 건조한 것이 덜해서 삼키는 것이 나아졌어요.”라고 하심.
간호진단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면증
정의: 신체기능에 장애를 가져오는 수면의 질과 양의 파괴
일 시
15 .04 .14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 호흡곤란으로 인해 깊이 잠들지 못함.
- 3~4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심
- 호흡곤란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계심.
- 간혹 낮잠을 자는 모습을 볼 수 있음.
- 신경이 예민하신 편이라서 잠을 잘 못 이루시고 수면제를 종종 드셨음.
간호목표
장기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 이내 호흡방해를 받지 않고 수면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주 이내에 기상 시 개운하다고 말한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환경에 방해를 받지 않고 수면 시간을 증가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수면제의 효능 없이 잠을 잘 수 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불면증의 요인을 제거 & 감소시킨다.
- 진해 거담제인 Atrovent UDV를 투여한다.
- semi-Fowler 체위를 취하게 하여 기좌호흡을 한다.
②늦은 오후의 낮잠을 피하도록 격려한다.
③ 취침시간동안 방해 받지 않는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④ 심상 유도법, 점진적 근육이완법, 명상법 등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⑤매일 아침에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구체적인 말로 설명하게 한다.
⑥취침 전 치즈 & 우유 같은 고단백 음식을 섭취한다.
⑦잠을 깨면 침실에 계속 누워있지 않고 침실을 나와 다른 방에서 조용히 독서와 자극적이지 않는 운동을 한다.
① -진해 거담제인 Atrovent UDV의 효능은 호흡곤란 완화로 수면 시 호흡곤란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
-기좌호흡으로 대상자의 호흡곤란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
② 늦은 오후의 낮잠이나 너무 긴 시간의 낮잠은 오히려 수면 리듬을 깰 수 있기 때문.
③ 우리의 몸이 TV를 보고 있거나 밝은 조명에 노출되어있으면 낮으로 인식하여 수면에 방해를 주기 때문.
④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면 대상자가 생활양식과 취침 전 활동을 변화 시킬 수 있다.
⑤감정을 개방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분노와 무력함, 왜곡된 인식, 비현실적 두려움 같은 특정 감정들을 알아차리기 쉽게 한다.
⑥식품에 포한된 L-trytopan은 수면 유도에 도움을 주기 때문.
⑦침대를 수면과 자동 연상 되도록 하려면 한밤중에 깨더라도 침실을 나와 자극적이지 않는 활동과 독서 등을 하는 것이 수면에 도움을 주기 때문.
간호수행
① 대상자에게 진해 거담제인 Atrovent UDV 0.4-2.0ml 1일 4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체위변경을 시켰다.
② 대상자가 늦은 오후의 낮잠이나 너무 긴 시간의 낮잠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③대상자가 취침 전 TV를 보거나 주위 환경의 소음을 줄여주고 밝은 조명에 노출되지 않게 하였다.
④ 대상자에게 취침 전 심상 유도법, 점진적 근육이완법, 명상법 등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교육하였다.
⑤대상자가 호소하신 날로 부터 매일 아침 대상자에게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한 감정을 개방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특정 감정들을 쉽게 알아 차려 대상자가 불편해 하는 사항들을 즉각적으로 대처하였다.
4/13
수면시간 : 3~4시간
4/14
수면시간: 4~5시간
4/15
수면시간 : 5~6시간
4/16
수면시간 :6~7시간
4/17
수면시간: 7~8시간
4/18
수면시간 : 8시간
⑥취침 전 간단한 간식 겸 치즈& 우유 같은 수면 유도에 도움을 주는 고단백 음식을 섭취하게 하였다.
⑦ 대상자가 잠이 깨면 잠을 이어가기위해 계속 누워있지 않게 하고 침실을 나와 조용히 독서하게 하였다.
간호평가
4. 18 : 수면시간 3~4시간 8시간
4. 19 : “수면제를 먹지 않고도 잠을 잘 수 있다”라고 말하였음.
4. 21 : “수면 시 3일에 한번 꼴로 호흡 곤란으로 수면을 하지 못한다.”라고 말하였음.
4. 28 : “5일에 한번 꼴로 일어나는 호흡 곤란만 없으면 잠을 개운하게 잘 수 있다”라고 말하였음.
Atrovent UDV (진해거담제)
-용 량 : 네블라이저를 이용해 투여, 성인 0.4-2.0ml 1일 4회.
-효 능 : 기관지천식,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등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기인한 호흡곤란 등 제증상 완화
-부작용 : 기침, 오심, 신경과민, 현기, 두통, 구갈, 시야혼탁.
Ⅳ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상) 제6판 조경숙 외 공저(현문사)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성미혜 외 공저(수문사)
- 기본간호학(하) 손영희 외 공저(현문사)
추천자료
copd case study
[간호학]성인 호흡 부전 증후군 (ARDS-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개념,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병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 케이스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
성인간호학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간호과정 A+자료
노인성 질환관리 문헌고찰/간호과정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화 COPD 진료지침. 2018 최신 참고...
[A+]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간호중재 총 20개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호중재 및 이론적근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