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을 정리하고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를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을 정리하고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를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파생어의 개념
(2) 파생어의 유형
(3) 파생어를 통한 어휘력 향상을 위한 교수 절차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었던 ‘헛고생’의 ‘헛’이란 접두사로 파생된 ‘헛손질’, ‘헛걸음’ 등의 다른 파생어를 ‘헛고생’과 같이 제시한다. 이때 ‘헛’이란 접사의 뜻을 ‘보람이 없는’이라고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 접사를 통해 파생된 ‘헛손질’, ‘헛걸음’의 뜻을 전달한다. 연습 단계에선 실제 학습자들이 앞에서 학습된 파생어들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연습시킨다. 같은 접사에서 파생된 파생어들을 나열하고, 문장 안에 빈칸을 채우는 연습 또는 상황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그 상황을 드러낼 수 있는 파생어를 표현할 수 있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마지막 활동 단계에선 학습자들에게 파생어를 제시하고 그 파생어와 관련된 episode를 말해 보게 한다. 가령 ‘헛고생’이란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학습자가 지금까지 어떤 일을 했을 때 헛고생으로 마무리되었던 일을 말해 보게끔 유도하는 거다. 학습자들은 이런 4단계 과정을 통해 접사의 기능과 뜻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가 있어 같은 접사에서 파생된 여러 가지 파생어의 뜻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억할 수 있으리라 본다.
3. 결론 : 지금까지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파생어 교육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파생어 교육의 실패를 파악하고 파생어를 유형화한 뒤 교육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이런 연구의 생각을 확장하면 파생어 전문 어휘학습서를 개발하거나 어휘 수업의 기초 자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본다. 하지만 좀 더 체계적으로 파생어의 목록을 자세히 제시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분명히 파생어는 외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확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거라 보기에 지금부터라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런 파생어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교수법의 개발도 시급하다. 영어 단어들을 암기할 때도 접두사, 접미사를 활용해 변형 어휘도 익힌 방법처럼 외국인들이 쉽게 어휘를 습득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4. 참고 문헌
국어학 특강. 7강. 단어 형성법. 조창규. 원광대학교. 2013년 1학기
http://kocw.net/home/cview.do?cid=ee8fd0ef12add719
한국어 교육학개론 강현화, 이미혜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파생어 교육-학습 방안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년 2월 국어국문학과 고주환 nanet.go.kr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파생어 교육, 이지욱, 이화어문논집, 2009년 12월, nanet.go.kr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1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5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