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Martens(2004)가 제시한 스포츠기술 학습의 3단계와 단계별 스포츠지도사의 역할
(1) 인지단계 (mental stage) :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가
(2) 연습단계 (practice stage) : 기술 완성도를 위한 적극적 지도자
(3) 자동화단계 (automatic stage) : 소극적 지도자
2. 전습법과 분습법과 각 지도방법에 대한 예시
Ⅲ결론
출처
Ⅰ서론
Ⅱ본론
1. Martens(2004)가 제시한 스포츠기술 학습의 3단계와 단계별 스포츠지도사의 역할
(1) 인지단계 (mental stage) :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가
(2) 연습단계 (practice stage) : 기술 완성도를 위한 적극적 지도자
(3) 자동화단계 (automatic stage) : 소극적 지도자
2. 전습법과 분습법과 각 지도방법에 대한 예시
Ⅲ결론
출처
본문내용
복잡하지 않고 상호의존성이 높은 스포츠 기술의 경우 활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으며 분습법은 기술의 복잡성이 높고 상호의존성이 낮을 때 활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달리기, 사이클과 같은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진 기술은 전습법을 통해 익히는 것이 효과가 좋으나 마루운동은 구르기, 공중돌기, 물구나무서기 등 각 기술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세분화된 기술을 각각 익혀서 연습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좋다고 할 것이다. 또한 한 종목도 전습법, 분습법으로 나누어 연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축구의 경우 축구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킥, 패스, 헤딩 각각의 부분을 익혀야 하지만 이러한 세부 기술들을 각각 따로 시간을 내어 연습하게 되면 분습법이고 축구경기를 통해 전체적으로 익히게 한다면 전습법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Ⅲ결론
레이너 마튼스가 스포츠기술 학습과정과 스포츠기술의 지도 단계를 각 구분하여 개념을 확립한 것은 결과적으로 선수들에게 더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통해 선수들이 목표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것이다.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는 매우 가까우면서도 때로는 매우 배타적이다.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나아가면서도 동시에 목표를 추구하는 방식이 서로 동의하지 않아 갈등을 빚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코치진과 선수는 모두 선수의 성과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고 지도자가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선수의 역량이 받쳐주지 않으면 원하는 성과를 얻기 어렵다. 아무리 좋은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더라도 그를 실천하는 사람은 선수이기 때문에 스포츠 지도자는 선수와의 감정의 간극을 줄이고 더욱 효과적으로 기술을 지도하고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마튼스는 스포츠기술 학습과정을 세분화하여 선수들이 해당 기술을 배워야 하는 필요성과 중요성을 스스로 인지하게 하고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자신감을 갖게 하여 실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을 위해서는 유효한 피드백이 중요하며 피드백은 항상 긍정적이고 구체적이고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튼스가 주장하는 각 단계에 따라 훈련하면 지도자와 선수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다. 선수들과 지도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하면 선수들은 스스로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부족한 부분을 적극 수용하여 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코치진과 선수 모두 원하는 공동의 목표를 이루게 될 것이다.
출처
스포츠코칭론 강의자료
[사커&사이언스] 리더의 조건은 강한 원칙과 부드러운 신념, 박상혁, 스포츠동아, 2014.07.11
https://sports.donga.com/3/all/20140710/65100000/3
[인하대학교 스포츠심리연구팀 인터뷰]-①에이스들의 히든카드, 김병준의 스포츠 심리학, 권재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2018.10.24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73&aid=0000002167
Ⅲ결론
레이너 마튼스가 스포츠기술 학습과정과 스포츠기술의 지도 단계를 각 구분하여 개념을 확립한 것은 결과적으로 선수들에게 더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통해 선수들이 목표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것이다.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는 매우 가까우면서도 때로는 매우 배타적이다.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나아가면서도 동시에 목표를 추구하는 방식이 서로 동의하지 않아 갈등을 빚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코치진과 선수는 모두 선수의 성과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고 지도자가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선수의 역량이 받쳐주지 않으면 원하는 성과를 얻기 어렵다. 아무리 좋은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더라도 그를 실천하는 사람은 선수이기 때문에 스포츠 지도자는 선수와의 감정의 간극을 줄이고 더욱 효과적으로 기술을 지도하고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마튼스는 스포츠기술 학습과정을 세분화하여 선수들이 해당 기술을 배워야 하는 필요성과 중요성을 스스로 인지하게 하고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자신감을 갖게 하여 실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을 위해서는 유효한 피드백이 중요하며 피드백은 항상 긍정적이고 구체적이고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튼스가 주장하는 각 단계에 따라 훈련하면 지도자와 선수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다. 선수들과 지도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하면 선수들은 스스로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부족한 부분을 적극 수용하여 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코치진과 선수 모두 원하는 공동의 목표를 이루게 될 것이다.
출처
스포츠코칭론 강의자료
[사커&사이언스] 리더의 조건은 강한 원칙과 부드러운 신념, 박상혁, 스포츠동아, 2014.07.11
https://sports.donga.com/3/all/20140710/65100000/3
[인하대학교 스포츠심리연구팀 인터뷰]-①에이스들의 히든카드, 김병준의 스포츠 심리학, 권재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2018.10.24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73&aid=000000216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