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감염과 관련된 설사 (간호과정 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장관감염과 관련된 설사 (간호과정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 간호 진단, 정의
3.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5.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6.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본문내용

를 사정하였다.
‘힘이 없어서 그런가 입맛도 뚝 떨어져요’라고 호소하였으며, 밥 반공기 이하로 식사량이 감소하였다.
현재 체중이 증상 발현 이후에 43.7kg으로 감소하였고, 평소 체중은 45kg였다. 또한, 수액은 IV로 5%DW 1L을 투여받고 있다.
4. 대상자의 체력상태 및 피로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상자는 ‘온몸에 힘이 다 빠져요’, ‘어제부터 급격하게 기력이 없어졌어요’라고 표현하였다. 체력저하와 피로감이 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대상자의 체중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증상발현 이후의 체중변화를 기록하였다.
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아침 식전에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초기 체중: 45kg
증상 발현 이후의 체중 변화: 증상 발현 이후에 대상자의 체중이 43.7kg로 감소함
입원 1일차 아침 몸무게: 43.7kg
입원 2일차 아침 몸무게: 43.8kg
입원 3일차 아침 몸무게: 44.0kg
입원 4일차 아침 몸무게: 44.1kg
6. 대상자의 항문 주위 피부의 변화나 이상 징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설사를 계속함으로써 항문주위가 따갑고, 살짝 부은 느낌이 든다고 말하였다.
치료적 수행
1.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지사제를 제공하였다.
지사제는 설사 증상을 관리하기 위함이며, 처방에 따라 하루에 1포를 세 번 복용하셔야 한다. 아침 식사 전, 점심 식사 전, 저녁 식사 식사 전에 복용하고, 지사제를 복용한 후에도 계속해서 설사가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반드시 의사나 간호사에게 알려줘야함을 설명하였다.
2. 다음의 식사요법 변화를 제공하였다.
-섬유질 섭취: 시리얼, 곡물, 메타무실, 치즈
-자극제를 피함: 카페인, 탄산음료
섬유질 섭취를 늘리는 것이 설사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음식을 섭취하면 섬유질을 늘릴 수 있다. 시리얼, 곡물, 메타무실, 그리고 치즈. 이러한 식품들을 식사에 포함해 볼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자극제를 피하는 것이 좋은데, 카페인과 탄산음료는 소화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음료는 소화를 자극할 수 있으며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으니 가능하면 이러한 음료를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3. 금지되어 있지 않은 이상, 1.5~2L의 액체에 묽은 변을 볼때마다 200ml씩 추가하여 마실 수 있게 하였다.
설사로 액체가 손실되고 있으므로 수분 섭취가 중요하므로, 하루에 최소 1.5~2L의 액체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묽은 변을 볼 때마다 추가로 200ml의 물을 마셔 수분 손실을 보충하고 탈수를 방지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묽은 변을 경험할 때 더 많은 액체를 마시도록 권장함으로써 탈수를 예방하고 수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4. 배변 이후 항문치료 및 관리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배변 후 항문 주위를 젖은 휴지나 알코올 및 향기가 없는 물티슈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닦아 청결을 유지하고, 항문 주위 피부에 보호크림을 바르고, 피부를 보호하였다. 항문 주위 피부의 이상 징후를 주시적으로 관찰하고, 피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항문 주위 피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나이, 체중, 상태, 질병, 다른 치료들에 근거하여 장세척을 위한 행동 규칙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자는 77세로 노인 연령대에 속하며, 설사로 인한 수분 및 영양 상실이 발생하였다. 현재 체중은 43.7kg로, 증상 발현 이후에 체중이 감소하였다. 기저질환으로 고혈압(HTN)이 있으며, 혈압은 현재 안정적인 상태이다. 다른 치료로 현재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지사제가 사용 중이며, 수액 치료 중이다. 장세척은 따로 처방이 나지 않아 수행하지 않았다.
교육적 수행
1. 대상자나 보호자에게 설사를 조절하기 위한 다음의 식이 방법을 교육하였다.
맵고 지방이 많은 음식, 알코올, 카페인을 피한다.
그릴에 굽고, 베이킹하거나 끓인 음식을 섭취한다.
튀긴 음식은 피한다.
불쾌한 음식은 피한다.
맵고 지방이 많은 음식, 알코올, 그리고 카페인은 소화를 자극할 수 있으며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므으로 피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튀긴 음식은 소화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피하실 것을 권장한다. 음식을 그릴에 굽거나 베이킹하면 지나치게 지방이 많은 음식을 피하고 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부드럽게 조리하여 소화를 촉진할 수 있다. 자신에게 불쾌한 음식이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불쾌한 음식을 피하시고 소화에 좋은 식사를 섭취하실 것을 권장한다.
2. 처방된 약과 함께 일어나는 설사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 어떠한 이상 증상이 발생하거나 약물과 함께 설사가 나타날 경우 반드시 보고해야 하며, 이러한 정보는 대상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안내하였다. 설사 증상이 나타날 때 설사의 양상, 빈도, 색상, 불쾌함, 혈액 등의 세부 사항에 대해 말해줄 것을 설명하였다.
3. 대상자나 보호자에게 지사제 사용을 교육하였다.
지사제는 설사 증상을 완화하고 장내 감염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로, 약물 복용 방법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의사가 처방한 대로 지사제를 복용하며, 식사 전에 1포 복용하도록 한다. 지사제 사용에 관한 어떠한 질문이나 의문이 있을 시 언제든지 물어봐도 되며, 약물을 올바르게 복용하면 증상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을 설명하였다.
4. 대상자나 보호자에게 배변활동 뒤의 항문 위생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젖은 휴지로 닦거나 클렌징하는 것이 제일 효율적이다.
알코올이나 향이 포함된 물티슈는 사용하지 않는다.
문지르는 것이 아니라 두들겨서 항문부분을 철저하게 건조시킨다.
찰과상을 예방하기 위해 보호크림을 사용한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설사 증상을 완화한다. (1일 최대 2회) -> 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배변 후 항문 위생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하루 1.5L의 수분 섭취를 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한다. -> 달성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4.01.28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