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 표현교육론에서 ‘말하기
2. 한국어 말하기 교육 개요
3. 말하기 교육의 방향
2. 한국어 말하기 교육 개요
3. 말하기 교육의 방향
본문내용
맥에 초점을 두고 해야 한다. 발음의 지도에서 개별적인 음에 치우치지 않고 ‘발음하는 방법’, ‘음을 대조해서 듣고 평가하기’, ‘문맥 속에서 연습’, 긴 문장을 말할 때 밀접한 어구를 함께 연결시키고 적절하게 호흡하는 방법 등의 실전적인 연습기회를 제공한다.
다섯째는 담화능력을 키우기 위한 말하기 활동을 유도하여 문법규칙과 형태교육에 치우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 ‘기능’을 중시하고 ‘형태’를 함께 고려하여 의미의 전달과 이해에 초점을 둔 담화 차원의 말하기 교육을 하여야 한다.
여섯째는 의사소통의 핵심 상호작용에 있으므로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교실수업에서는 소그룹활동이나 짝활동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학생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책상의 배치를 마주보게 하거나, 교사의 열린 질문 등에 신경을 쓴다.
일곱째는 과제중심의 수업으로 구성해야 한다.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하는 것에서 벗어나 특정한 상황에서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말하기 과제를 중심으로 주어진 과제(실제 상황) 속에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표현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다섯째는 담화능력을 키우기 위한 말하기 활동을 유도하여 문법규칙과 형태교육에 치우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 ‘기능’을 중시하고 ‘형태’를 함께 고려하여 의미의 전달과 이해에 초점을 둔 담화 차원의 말하기 교육을 하여야 한다.
여섯째는 의사소통의 핵심 상호작용에 있으므로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교실수업에서는 소그룹활동이나 짝활동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학생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책상의 배치를 마주보게 하거나, 교사의 열린 질문 등에 신경을 쓴다.
일곱째는 과제중심의 수업으로 구성해야 한다.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하는 것에서 벗어나 특정한 상황에서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말하기 과제를 중심으로 주어진 과제(실제 상황) 속에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표현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
배론 과제 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정보 차이 활동...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과제 활동 유형 중 정보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 의견 차이 ...
한국어표현교육론)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과제 활동 유형 중 ‘정보 차이...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과제 과제 활동 유형 중 정...
[한국어표현교육론]‘계획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2급 수준의 말하기를 교재에 넣는다고 가정...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2급 수준의 주제와 상황을 설정해서 계획하기의 기능을 수행하...
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과제 활동 유...
한국어표현교육론) 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