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승급 - 6단) 태권도 사범의 역할과 발전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권도 승급 - 6단) 태권도 사범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태권도의 역사와 가치
2.1.1 태권도의 역사
2.2.2 태권도의 가치
2.2.2.1 수련적 가치
2.2.2.2 교육적 가치
2.2.2.3 스포츠적 가치
2.2 태권도 사범과 사범의 역할
2.3 태권도 사범의 발전 방향
2.3.1 태권도 사범의 발전을 위한 교육 과정의 개선
2.3.2 태권도 사범의 발전을 위한 노동 환경의 개선
2.3.2.1 태권도 사범의 직무 인식 개선
2.3.2.2 태권도 사범의 고용 형태 개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형태가 명확해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명확하게 계약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불필요한 감정을 소모함으로써 태권도장의 불안정을 유발하지 않고, 서로 간의 업무를 명확하게 할 경우 사범의 역할은 제대로 인식될 것이고, 그 직위, 환경이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3. 결론
사범들은 태권도 수련생의 교육과 도장관리 등 태권도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하게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태권도 사범의 경우 단순 지도자의 역할 이상을 하게 된다. 태권도 사범은 수련생의 행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잘못된 방향을 안내하고 지시하기 때문에 안내자나 지시자, 영향력 행사자이기 때문이다. 즉, 사범은 신체적 능력을 끌어올리는 것만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사회성 발달, 정서 발달, 그리고 인지 능력이 발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수련을 하였던 수련생들에게는 인생을 이끌어가는 지도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범에 대한 교육 과정, 그리고 노동 환경이 불합리하거나 부족하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사범의 발전은 도태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특히, 태권도 사범의 경우 대부분 대학 교육과정을 거친 후 사범 과정을 추가로 진행하는 사람이거나, 현직 사범 활동을 하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사범 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직무를 중심으로 한 교육보다는 이론적 교육을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교육을 진행 받는 사람들은 중복으로 교육을 받게 될 확률이 높다. 또한, 급별로 사범 교육과정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교육 세부 과정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목표만 분리하여 구분한 경우가 많다.
더불어, 사범이 활동을 하게 되더라도 태권도장에서의 사범들은 보통 자영업인 관장의 아래에서 계약직으로 일을 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취급을 받지 못하고, 등하교 차량을 운영하는 등의 서비스 직을 하게 되면서 자신의 직종에 대해 괴리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범이라는 역할에 대해 의구심을 품거나 자존감이 떨어지는 문제로 연결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범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범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그리고 사범의 노동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이라고 여겨지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해관계들을 서로 인정하게 된다면 발전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병운, 김정록 (1985). 종합 태권도 전서, 서울: 서림문화사
이충훈, 정현도, (2003). 태권도 수련의 이론과 실천. 도서출판 상아기획
김철, (1997). 태권도의 구조적 탐구, 원광대학교 출판부.
조태현, (1997). 태권도 체육관의 교육내용 실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7b1a0164429c8f13
김경숙, (2000). 사회체육지도자론. 서울: 대경북스.
윤익선, (1996). 스포츠 지도론. 서울: 도서출판태근.
이봉춘, (2002).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련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f2676ea8da4edca
국기원, (2005). 국기태권도 교본, 서울: 오성출판사.
임태희, (2006). 태권도 사범의 자질 요인 중요도탐색, 체육과학연구, 17(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38197
국기원, (2007). 3급 사범지도자연수원 교본.
안용규, (2006). 정부의 교육정책과 태권도의 위기극복, 한국체육철학회지, 14(3). pp. 86~9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32465
김기석, (2009). 태권도의 대중화를 위한 수련문화 재고,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810103
김혜경, (2008). 태권도 사범의 유형과 역할,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366525
김병운,김정록(1985).종합 태권도 전서.서울:서림문화사
박정호, 박정준, 김나혜, (2019). WTA 태권도 사범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및 개선 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6(1), pp. 77~9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617501
박정호, (2017). 태권도 교육과정 기준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https://m.riss.kr/search/detail/ssoSkip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6f1d65ed16690a6ffe0bdc3ef48d419
정태겸, (2017). 태권도 사범의 노동환경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국기원, 8(3), pp. 19~39.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5197e42a6b0f10fd18150b21a227875&keyword=%ED%83%9C%EA%B6%8C%EB%8F%84%20%EC%82%AC%EB%B2%94%20%EA%B5%90%EC%9C%A1%20%EA%B0%9C%EC%84%A0
한혜진, 2017.07.14., “[도장 고민] 태권도장, 등/하교 차량운행 꼭 해야 하나요?”, 무카스 미디어
https://mookas.com/news/1576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4.02.02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