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 장애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발달 및 언어발달의 특성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환경 마련 방안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폐성 장애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발달 및 언어발달의 특성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환경 마련 방안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폐성 장애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발달의 특성
① 눈 응시
② 옹알이
③ 몸 짓
2) 자폐성 장애아동의 언어발달의 특성
1. 언어 발달의 기본
① 운동기능 모방(motor imitation)
② 공동 관심 (주의 공유하기)
③ 사물놀이 (물건을 가지고 하는 놀이)
2. 언어 획득
(1) 언어의 구성요소
(2) 반향어
(3) 음성상동행동
3)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환경 마련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하기 셋째, 학생의 선호와 상황에 맞게 개별적으로 동기화하기 넷째, 학생에게 구조화된 의사소통 기회 제공하기 다섯째, 학생이 의사소통 시간과 기회를 경험하도록 학생의 반응 기다려주기가 있으며, 교사는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사회적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설계에는 활동 지원, 활동의 전환지원, 영역이 표시된 놀이 공간 제공, 모든 구성원이 최소한의 부분 참여가 가능한 연령에 적합한 활동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말하는 활동 지원은 아동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활동의 목록이나 과제 단계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하며, 필자의 경우 유아들이 자주 하는 역할 놀이를 통해 각 역할에 필요한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과제단계를 설명해주었고, 활동의 전환 지원의 경우에는 타이머나 그림 혹은 사진 일정표를 활용하는 것으로 발달이 늦거나,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의 경우 숫자를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모래시계를 보여주며 놀이를 끝내야 하는 시간을 알려주거나, 하루 일과표에 나와 있는 그림을 설명하며 다음에 진행될 일과에 대해 안내해주기도 하였다. 또 영역이 표시된 놀이 공간 제공의 경우에는 놀잇감의 사진을 찍어 놀잇감의 이름과 함께 영역이나, 놀이 바구니에 붙여 주어 놀잇감을 영역에 맞지 않게 가지고 돌아다니며 놀이하거나 정리하는 것을 어려워했던 유아가 익숙해지면서 놀잇감의 자리를 기억하거나, 영역에 맞는 공간에서 놀이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에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들이 활동에 참여하기 힘들어하고, 참여를 하더라도 완성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아예 활동에서 배제하기 보다는 색칠하기나, 점토로 만드는 등의 소근육 사용만 가능하더라도 참여가 가능한 활동을 제공하므로 부분적으로라도 참여가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Ⅲ. 결론
보육 현장에서 일을 하며 자폐성 장애 이 외에도 언어 발달 지연, ADHD 등의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영·유아들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한 명의 교사가 많은 영·유아를 보육하고, 교육하면서 장애를 가진 유아에게 더 많은 관심을 주기란 쉽지 않은 일이며, 또한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들의 경우 성장에 따라 요구되는 행동이나 기능 수행에 있어 일반 아동과는 매우 다르면서도 다양한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자폐성 장애에 대한 정보나 이해가 부족했던 나는 소통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혹은 어떻게 도움을 주어야 할지 모른다는 이유로 그 아이들의 어려움을 외면하거나, 버겁다고 생각했던 적이 많았다. 하지만 장애 영유아에 대해 공부하면서 아직 부족한 부분들이 많이 있지만, 자폐를 가진 영유아의 담임 교사가 된다면, 첫째, 교사나 또래와의 의사소통 자체를 거부하는 유아들이 많으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둘째, 의사소통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유아가 선호하는 놀잇감이나, 활동들을 지원하며 셋째, 그림 카드나 사진, 하루 일과표 등의 시각적 교재 교구를 활용하여 하루의 일과나 활동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하고, 넷째, 비구어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유아들도 있으므로 어떤식으로든 의사소통을 시도할 경우 놓치지 않고 반응해 줄 수 있는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의 부모님들은 대부분 교사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거나, 장애 아동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대화하는 것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므로, 어린이집에서의 모습이나, 특별하게 이루어졌던 행동 등에 대해 꾸준한 상담을 통해 우울한 마음이나, 두려움을 낮출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장애와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부모교육이 있을 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가 가진 장애에 대해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더불어 아이의 학습 능력이나, 언어발달과 관련된 기관이나 자료들을 공유함으로써 부모님과 담임 교사가 좀 더 협조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가지므로 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해야겠다.
참고문헌
「자폐장애교육」중앙사이버 평생교육원
「특수교육학개론」학지사, 임경옥 외 2명 (2017)
「특수교육학개론」북앤정 이미아 외 8명 (2022)
「자폐성 장애아동 교육 교사를 위한 단계별 지침서」학지사
Roger Pierangelo·George Giuliani 공저 / 곽승철 외 3명 공역 (2010)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의 실제」시그마 프레스
L.Juane Heflin, Donna Fiorino Alaimo 지음 / 신현기 외 4명 옮김 (2007)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2.20
  • 저작시기202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1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