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내외 기업 및 기관에서 AI를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활용사례를 조사
2. 도출된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
3. 참고자료
2. 도출된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
3. 참고자료
본문내용
화된 전문가가 인적자원관리의 모든 과정을 통제 및 관리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인적자원관리의 모든 과정을 AI기반 HR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물론 AI기반 HR시스템을 통해 인적자원관리에 드는 비용을 경감할 수도 있고, 보다 손쉽게 인적자원을 관리할 수도 있겠지만, 인적자원관리라는 영역 자체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영역이기에 인간에 의해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 분명 있다고 생각한다. 애초 AI라는 기계가 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인간의 깊고 세밀한 감정이나 생각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힘들다는 점에서 인적자원관리 영역을 AI기반 HR시스템에 100% 의존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다.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KB그룹의 AI기반 HR시스템을 접해보았을 때, KB그룹은 HR시스템의 완전 자동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완전 자동화보다는 반자동화(?)를 지향하고 인적자원관리에 특화된 전문가가 인적자원관리의 모든 과정을 통제 및 관리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3. 참고자료
미래학자의 인공지능 시나리오 (AI 미래보고서), 저자 최윤식, 출판 코리아닷컴(Korea.com), 2016.10.20.
인적자원관리의 모든 과정을 AI기반 HR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물론 AI기반 HR시스템을 통해 인적자원관리에 드는 비용을 경감할 수도 있고, 보다 손쉽게 인적자원을 관리할 수도 있겠지만, 인적자원관리라는 영역 자체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영역이기에 인간에 의해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 분명 있다고 생각한다. 애초 AI라는 기계가 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인간의 깊고 세밀한 감정이나 생각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힘들다는 점에서 인적자원관리 영역을 AI기반 HR시스템에 100% 의존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다.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KB그룹의 AI기반 HR시스템을 접해보았을 때, KB그룹은 HR시스템의 완전 자동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완전 자동화보다는 반자동화(?)를 지향하고 인적자원관리에 특화된 전문가가 인적자원관리의 모든 과정을 통제 및 관리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3. 참고자료
미래학자의 인공지능 시나리오 (AI 미래보고서), 저자 최윤식, 출판 코리아닷컴(Korea.com), 2016.10.20.
추천자료
HR전략수립 및 직무가치
[인적자원][HR][인적자원개발][HRD]인적자원(HR)과 인적자원개발(HRD) 고찰(인적자원(HR) 개...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의 HR 기능전략 수립
[인적자원][HR][인적교류][인적교류 저해요인][인적교류 사례][인적자원개발][HRD]인적자원(H...
[Human Resource Management Term Project] 기업은행 HR system에 관한 고찰 : ‘열린 채용’ ...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독서감상문)
(소비자행동론 3학년) 오픈AI 사의 챗GPT와 같은 고급 능력을 갖는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인공...
인공지능(AI)의 진보와 미래(알파고에서 ChatGPT까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 수학계획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 주요 연구(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