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기관절개관이란?
2. 기관절개술 관리법
3. 기관절개관 삽입 환자의 간호
1) 절개 부위 간호
2) 흡인 간호
3) 커프가 있는 기관절개관 관리
4)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의 간호
5) 기관절개관 제거와 간호
6) 기관절개관 환자의 언어장애 간호
7) 기관절개관 환자의 연하장애 간호
4. 참고문헌
1. 기관절개관이란?
2. 기관절개술 관리법
3. 기관절개관 삽입 환자의 간호
1) 절개 부위 간호
2) 흡인 간호
3) 커프가 있는 기관절개관 관리
4)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의 간호
5) 기관절개관 제거와 간호
6) 기관절개관 환자의 언어장애 간호
7) 기관절개관 환자의 연하장애 간호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개관을 제거한다. 누공은 테이프로 막고 폐쇄 드레싱을 하면 누공은 며칠 내로 막힌다. 기침을 하거나, 삼키거나, 말을 할 때는 손가락으로 누공을 막도록 교육한다.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8
6) 기관절개관 환자의 언어장애 간호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환자는 목소리를 내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의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호출벨을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글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필기도구를 준비해 준다.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더라도 자발호흡이 가능한 환자일 경우에는 커프를 수축시켜 호기가 성대로 올라오게 할 경우 말을 할 수 있으며 누공을 막으면 더욱 도움이 된다. 커프가 없는 관을 사용하면 호기가 절개관 주위로 올라와 말을 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기관절개관 또는 밸브를 사용하는 것도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외관에 구멍이 뚫린 절개관을 사용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공기가 성대로 올라가 절개관이 있는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호흡하며 말을 할 수 있고, 분비물도 뱉어낼 수 있다. 이때 호흡곤란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환자가 힘들어할 경우에는 바로 덮개를 제거하고 내관을 삽입한 후 커프를 팽창시킨다.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8
7) 기관절개관 환자의 연하장애 간호
기관절개관 환자 중 흡인 위험이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음식물 섭취 시 커프는 수축시키지 않는다. 흡인의 위험성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커프를 수축시키고 포도주스나 푸른색 물 30ml 정도를 삼키게 한 후 기침을 하는지 혹은 분비물에 색이 묻어 나오는지를 확인한다. 푸른색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으면 성문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흡인 위험성이 높은 환자는 음식의 농도가 진한 음식을 제공하여 흡인의 위험성을 줄인다.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8
4.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기관절개술.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REAT&medid=BB000257
-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5-609
-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기관절개술 관리.
https://www.mskcc.org/ko/cancer-care/patient-education/caring-your-tracheostomy
6) 기관절개관 환자의 언어장애 간호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환자는 목소리를 내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의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호출벨을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글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필기도구를 준비해 준다.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더라도 자발호흡이 가능한 환자일 경우에는 커프를 수축시켜 호기가 성대로 올라오게 할 경우 말을 할 수 있으며 누공을 막으면 더욱 도움이 된다. 커프가 없는 관을 사용하면 호기가 절개관 주위로 올라와 말을 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기관절개관 또는 밸브를 사용하는 것도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외관에 구멍이 뚫린 절개관을 사용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공기가 성대로 올라가 절개관이 있는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호흡하며 말을 할 수 있고, 분비물도 뱉어낼 수 있다. 이때 호흡곤란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환자가 힘들어할 경우에는 바로 덮개를 제거하고 내관을 삽입한 후 커프를 팽창시킨다.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8
7) 기관절개관 환자의 연하장애 간호
기관절개관 환자 중 흡인 위험이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음식물 섭취 시 커프는 수축시키지 않는다. 흡인의 위험성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커프를 수축시키고 포도주스나 푸른색 물 30ml 정도를 삼키게 한 후 기침을 하는지 혹은 분비물에 색이 묻어 나오는지를 확인한다. 푸른색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으면 성문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흡인 위험성이 높은 환자는 음식의 농도가 진한 음식을 제공하여 흡인의 위험성을 줄인다.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8
4.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기관절개술.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REAT&medid=BB000257
- 첨부파일.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일반 간호. p605-609
-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기관절개술 관리.
https://www.mskcc.org/ko/cancer-care/patient-education/caring-your-tracheostom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