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흔히 지사제를 투여한다. 지사제 투여 시 간호사는 배변 횟수와 대변의 경도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한다. 또한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사정한다. Lomotil, Imodium을 지사제로 사용하나 Lomotil의 부작용은 구강건조, 빈맥 및 소변정체 등이며 Imodium은 졸음, 구강건조, 오심과 구토 및 변비가 나타날 수 있다. 항문 주변의 피부 벗겨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변 후 따뜻한 물로 피부를 청결히 닦고 건조 시킨다.
7. 간호력
1) 주호소
- “1주 전부터 시작된 발열로 감기약을 먹었는데도 낫질 않아요.”
2) 현재병력
- 33세 여성 환자로 1주일 전부터 지속적인 발열과 오한 및 전두부 두통이
동반되었고, 기침, 가래, 콧물, 근육통이나 설사증상이 있었음. 감기약을
복용했으나 완화되지 않아 본원 외래를 통하여 입원함.
3) 과거병력
당뇨
없음
고혈압
없음
결핵
없음
악성종양
없음
4) 가족력
①부
당뇨
없음
고혈압
없음
결핵
없음
악성종양
없음
②모
당뇨
없음
고혈압
없음
결핵
없음
악성종양
없음
5) 사회력
-음주(-)
-흡연(-)
-운동(+) : 1주일에 3회 정도 1시간 정도 운동함
-최근 코로나로 보건소 업무가 과중하여 스트레스가 많은 편임
-아침은 먹지 않으며 점심, 저녁은 일주일에 3번 정도 인스턴트 섭취함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 선호함
6) 계통별 문진
일반적 외모
generalized weakness(+), easy fatigability(-), dizziness(-) weight loss(-), fever(+)
피부
purpura(-), ertyhema(-)
머리/눈/귀,코,인두
dizziness(-), hearing disturbance(-), dry eyes(-), tinnitus(-)
호흡기계
dyspnea(-), hemoptysis(-)
심혈관계
chest pain(-), palpitation(-), orthopnea(-), dyspnea on exertion(-)
소화기계
abdominal pain(+), constipation(-), melena(-), hematochezia(-)
비뇨생식기계
flank pain(-), gross hematuria(-), genital ulcer(-), costovertebral angle tenderness(-)
신경계
seizure(-), cognitive dysfunction(-), psychosis(-), motor-sensory change(-)
근골격계
pretibial pitting edema(-), tingling sense(-), back pain(-), muscle pain(-)
Ⅱ. 검사결과 분석
1. CBC검사
검사명
검사결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날짜(3/26)
WBC
16,800↑
mm3
4,000-
10,000
▲세균감염, 백혈병, 스트레스
▼재생불량성빈혈, 조혈성질환
MCV
90.8
fl
81-96
▲갑상선 기능저하증, 만성 저산소증
▼납중독, 철분결핍
Hb
12.8↓
g/dl
13-17
▲심장질환, 화상, 탈수
▼빈혈, 출혈, 백혈병, 골수장애
MCHC
34.3
%
32-36
▲악성 빈혈, 재생불량성빈혈
▼철결핍성 빈혈
2. 일반화학검사
검사명
검사결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날짜(3/26)
Ca/P
8.8/3.3
mg/dL
8.3-10
▲오심, 구토, 변비
▼만성신부전, 근육경직 및 감축
glucose
106
mg/dL
70-110
▲당뇨, 쿠싱병, 췌장염
▼간질환, 알콜중독증
검사명
검사결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날짜(3/26)
protein
7.8
g/dL
6~8
▲ 화상, 탈수, 고감마글로불린혈증
▼ 영양불량, 합성장애(심한 간질환), 신증후군, 발열, 염증, 악성종양, 만성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수액투여
albumin
3.8
g/dL
3.3~5.2
▲크기(64kD), 음이온전하, 세뇨관 재흡수, 세뇨관 장애, 신사구체 기능장애, 안뇨병성 신질환
▼마이크로 알부민뇨, 영양불량, 흡수장애, 간질환, 임신, 갑상선기능항진증, 종양, 감염, 신증후군, 수액투여
alkaline phosphatase
(ALP)
102
IU/L
40~120
▲급만성감염, 담낭염, 담관염, 간암
▼임상적 의의 없음
BUN
8↓
mg/dL
10~26
⇒ 단백질의 주요 최종분해산물로서 간에서 요소회로에 의해 생성되어 신장으로 배출된다.
▲ 신기능장애, 심부전, 탈수, 장출혈, 심근경색, 폐쇄성요로병증
▼ 중증간질환, 임신, 영양불량, 신증후군, 저단백식이
Cr
0.57↓
mg/dL
0.7~1.4
⇒ BUN보다 신질환에 더 특이적이고 예민한 검사로 신장기능의 평가를 위한 기초검사이다.
▲ 신기능장애, 혜쇄성요로병증, 근질환
▼ 임상적 의의 없음, 임신
C-reactive protein
5.2↑
mg/dL
~0.6
⇒ 급성기 반응 물질을 진단하는 검사로 각종 염증(감염, 자가면역질환 등)이나 조직손상(외상, 수술, 심근경색, 악성종양)에 반응하여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질을 말한다.
▲ 중증세균감염증, 관절염, 바이러스감염증, 진균감염, 뇌경색, 심장질환, 암, 통증, 열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85↑
IU/L
~40
⇒ 간기능을 평가하는 기초검사 항목으로서 알코올성 간 장애나 만성 간질환에서 주로 증가한다.
▲ 간질환, 근질환, 심부전, 간독성약물복용, 심근경색, 췌장염, 급성순환부전, 용혈성 빈혈
▼ 임상적 의의 없음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76↑
IU/L
~40
⇒ 간기능을 평가하는 기초검사 항목으로서 급성 간엽시 주로 증가한다.
▲ 간질환, 심근경색, 지방간, 비만
▼ 임상적 의의 없음
toral bilirubin
0.5
mg/dL
0.2~1.2
⇒ 빌리루빈은 담즙에서 볼 수 있는 색소이다.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성된다. 간질환을 선별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검사한다.
▲ 탈수, 고감마글로불린혈증
▼ 영양불량, 합성장애(심한 간질환), 신증후군, 발열, 염증, 악성종양, 갑상선기능항진증
estimated GFR
≥60
ml
≥60ml/min/1.7m²
⇒ 신장기능 검사로서 신사구체 여과율을
7. 간호력
1) 주호소
- “1주 전부터 시작된 발열로 감기약을 먹었는데도 낫질 않아요.”
2) 현재병력
- 33세 여성 환자로 1주일 전부터 지속적인 발열과 오한 및 전두부 두통이
동반되었고, 기침, 가래, 콧물, 근육통이나 설사증상이 있었음. 감기약을
복용했으나 완화되지 않아 본원 외래를 통하여 입원함.
3) 과거병력
당뇨
없음
고혈압
없음
결핵
없음
악성종양
없음
4) 가족력
①부
당뇨
없음
고혈압
없음
결핵
없음
악성종양
없음
②모
당뇨
없음
고혈압
없음
결핵
없음
악성종양
없음
5) 사회력
-음주(-)
-흡연(-)
-운동(+) : 1주일에 3회 정도 1시간 정도 운동함
-최근 코로나로 보건소 업무가 과중하여 스트레스가 많은 편임
-아침은 먹지 않으며 점심, 저녁은 일주일에 3번 정도 인스턴트 섭취함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 선호함
6) 계통별 문진
일반적 외모
generalized weakness(+), easy fatigability(-), dizziness(-) weight loss(-), fever(+)
피부
purpura(-), ertyhema(-)
머리/눈/귀,코,인두
dizziness(-), hearing disturbance(-), dry eyes(-), tinnitus(-)
호흡기계
dyspnea(-), hemoptysis(-)
심혈관계
chest pain(-), palpitation(-), orthopnea(-), dyspnea on exertion(-)
소화기계
abdominal pain(+), constipation(-), melena(-), hematochezia(-)
비뇨생식기계
flank pain(-), gross hematuria(-), genital ulcer(-), costovertebral angle tenderness(-)
신경계
seizure(-), cognitive dysfunction(-), psychosis(-), motor-sensory change(-)
근골격계
pretibial pitting edema(-), tingling sense(-), back pain(-), muscle pain(-)
Ⅱ. 검사결과 분석
1. CBC검사
검사명
검사결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날짜(3/26)
WBC
16,800↑
mm3
4,000-
10,000
▲세균감염, 백혈병, 스트레스
▼재생불량성빈혈, 조혈성질환
MCV
90.8
fl
81-96
▲갑상선 기능저하증, 만성 저산소증
▼납중독, 철분결핍
Hb
12.8↓
g/dl
13-17
▲심장질환, 화상, 탈수
▼빈혈, 출혈, 백혈병, 골수장애
MCHC
34.3
%
32-36
▲악성 빈혈, 재생불량성빈혈
▼철결핍성 빈혈
2. 일반화학검사
검사명
검사결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날짜(3/26)
Ca/P
8.8/3.3
mg/dL
8.3-10
▲오심, 구토, 변비
▼만성신부전, 근육경직 및 감축
glucose
106
mg/dL
70-110
▲당뇨, 쿠싱병, 췌장염
▼간질환, 알콜중독증
검사명
검사결과
단위
정상치
임상적 의의
날짜(3/26)
protein
7.8
g/dL
6~8
▲ 화상, 탈수, 고감마글로불린혈증
▼ 영양불량, 합성장애(심한 간질환), 신증후군, 발열, 염증, 악성종양, 만성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수액투여
albumin
3.8
g/dL
3.3~5.2
▲크기(64kD), 음이온전하, 세뇨관 재흡수, 세뇨관 장애, 신사구체 기능장애, 안뇨병성 신질환
▼마이크로 알부민뇨, 영양불량, 흡수장애, 간질환, 임신, 갑상선기능항진증, 종양, 감염, 신증후군, 수액투여
alkaline phosphatase
(ALP)
102
IU/L
40~120
▲급만성감염, 담낭염, 담관염, 간암
▼임상적 의의 없음
BUN
8↓
mg/dL
10~26
⇒ 단백질의 주요 최종분해산물로서 간에서 요소회로에 의해 생성되어 신장으로 배출된다.
▲ 신기능장애, 심부전, 탈수, 장출혈, 심근경색, 폐쇄성요로병증
▼ 중증간질환, 임신, 영양불량, 신증후군, 저단백식이
Cr
0.57↓
mg/dL
0.7~1.4
⇒ BUN보다 신질환에 더 특이적이고 예민한 검사로 신장기능의 평가를 위한 기초검사이다.
▲ 신기능장애, 혜쇄성요로병증, 근질환
▼ 임상적 의의 없음, 임신
C-reactive protein
5.2↑
mg/dL
~0.6
⇒ 급성기 반응 물질을 진단하는 검사로 각종 염증(감염, 자가면역질환 등)이나 조직손상(외상, 수술, 심근경색, 악성종양)에 반응하여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질을 말한다.
▲ 중증세균감염증, 관절염, 바이러스감염증, 진균감염, 뇌경색, 심장질환, 암, 통증, 열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85↑
IU/L
~40
⇒ 간기능을 평가하는 기초검사 항목으로서 알코올성 간 장애나 만성 간질환에서 주로 증가한다.
▲ 간질환, 근질환, 심부전, 간독성약물복용, 심근경색, 췌장염, 급성순환부전, 용혈성 빈혈
▼ 임상적 의의 없음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76↑
IU/L
~40
⇒ 간기능을 평가하는 기초검사 항목으로서 급성 간엽시 주로 증가한다.
▲ 간질환, 심근경색, 지방간, 비만
▼ 임상적 의의 없음
toral bilirubin
0.5
mg/dL
0.2~1.2
⇒ 빌리루빈은 담즙에서 볼 수 있는 색소이다.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성된다. 간질환을 선별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검사한다.
▲ 탈수, 고감마글로불린혈증
▼ 영양불량, 합성장애(심한 간질환), 신증후군, 발열, 염증, 악성종양, 갑상선기능항진증
estimated GFR
≥60
ml
≥60ml/min/1.7m²
⇒ 신장기능 검사로서 신사구체 여과율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