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본론
1. 시나리오
2. PICO
3. 문제해결 접근방식
4. 문헌고찰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
3)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5. 간호중재
Ⅲ. 참고문헌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본론
1. 시나리오
2. PICO
3. 문제해결 접근방식
4. 문헌고찰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
3)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5. 간호중재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것에 증상개선에 도움을 준다. 더불어 후두를 건조하게 만드는 탄산이 함유된 음료나 후두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맵고 짠 음식은 삼가는 것이 좋다.
소아에서 크루프증상이 나타난다면, 치명적일 수 있는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거나 많이 울면 호흡곤란 증세가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호흡곤란 증세가 심하다면 병원에서는 에피네프린이라는 약을 분무기로 투여하거나 필요에 따라 스테로이드라는 약물을 투여하여 염증을 가라앉히고 호흡곤란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다. 후두가 부어 기도 폐쇄가 심하여 폐로 흡입하는 산소량이 부족한 경우 산소를 투여하기도 한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산소가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면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며 기관 삽관이나 기도 절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5. 간호중재진단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중재
이론적근거
1. 4시간마다 Vital sign을 사정하고 관찰한다.
기도 청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호흡이 빨라지고 SPO 떨어진다.
2. 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해준다.
호기동안 흉벽에 반복적인 진동의 압력을 줌으로써 호기의 촉진과 기침의 유도, 점액을 묽게 한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Nebulizer를 한다.
Nebulizer를 통해 진하고 끈적끈적한 분비물을 묽게 하여 효과적인 기침을 통해 배출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4. 하루에 충분한 수분섭취와 가습기 사용을 권장한다.
습기가 많은 주변 환경은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5. 체위변경을 보호자에게 교육시킨다.
-semi fowler\'s position
semi fowler\'s position은 흉근, 경근 등의 호흡부속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도와서 호흡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며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진단2. 잦은 기침과 관련된 수면장애
중재
이론적근거
1. 의사처방에 따라 진해 거담제를 제공한다.
풀미코트 레스퓰은 진해거담제로, 진해거담제는 기침 억제와 분비물 배출을 위해 사용하는 약이다.
2.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있는 체위를 취하게 할 것이다.
좌위는 상반신을 90o 혹은 그에 가까운 상태로 일으킨 자세를 말한다. 폐를 확장시켜주는 자세이다.
3. 하루에 충분한 양의 물 섭취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시킬 것이다.
충분한 수분섭취는 호흡기 점막이 촉촉해져서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4. 병실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 할 것이다.
찬 수증기는 기도를 촉촉하게 만들어 분비물을 묽게 해주며 부종을 감소시켜 기침을 줄여준다.
5.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수면 후의 대상자 상태 관찰을 통해 수면패턴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수면 후 대상자의 상태 관찰이 필요하다.
6. 취침 전 안정을 취하게 할 것이다.
격한 운동, 말은 구강을 건조하게 만들어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3. 불수의적인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중재
이론적근거
1. 잠재적인 안전위험이 있는지 관찰한다.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적인 요소를 사정하여 미리 예방한다.
(사이트레일 올리기)
2. 사이드레일을 올려주었다.
전조증상이 보일시 보고할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하여 즉각적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3. 보호자에게 아이가 전조증상을 보이면 의료진을 호출하도록 교육하였다.
아동의 발열관리에 대해 혼동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부모들의 불안 및 공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발열공포를 경감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Ⅲ. 참고문헌
정창호 외. (2005). 급성후두염에 대한 문헌적 고찰, 혜화의학회지, 14권 1호, 113-128.
질병관리본부. (2016). 후두염.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530
서울대학교병원. (2017). 후두염.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67
서울아산병원. (2014). 후두염.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9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만성후두염(2011). Retrieved march 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46&cid=51007&categoryId=51007
인천국제공항의료센터 후두염(2013). Retrieved march 15. from
https://www.inha.com/air/health_info/health1_view.htm?idx=12
병원간호사회 급성후두염(2024). Retrieved march 22. from
https://khna.or.kr/homecare/01_first/child11.php
혜인의료재단한국병원 후두염(2010). Retrieved march 15. from
http://www.hankookhospital.co.kr/knowledge_dept8/13050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편도염과 후두염(2010). Retrieved March 23.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53342&cid=58505&categoryId=58519
서울아산병원. 후두경검사(법).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4959
조경숙 외(2017).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약학정보원. (). 약물. Retrieved march 23, 2024, from
http://www.health.kr/
소아에서 크루프증상이 나타난다면, 치명적일 수 있는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거나 많이 울면 호흡곤란 증세가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호흡곤란 증세가 심하다면 병원에서는 에피네프린이라는 약을 분무기로 투여하거나 필요에 따라 스테로이드라는 약물을 투여하여 염증을 가라앉히고 호흡곤란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다. 후두가 부어 기도 폐쇄가 심하여 폐로 흡입하는 산소량이 부족한 경우 산소를 투여하기도 한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산소가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면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며 기관 삽관이나 기도 절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5. 간호중재진단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중재
이론적근거
1. 4시간마다 Vital sign을 사정하고 관찰한다.
기도 청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호흡이 빨라지고 SPO 떨어진다.
2. 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해준다.
호기동안 흉벽에 반복적인 진동의 압력을 줌으로써 호기의 촉진과 기침의 유도, 점액을 묽게 한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Nebulizer를 한다.
Nebulizer를 통해 진하고 끈적끈적한 분비물을 묽게 하여 효과적인 기침을 통해 배출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4. 하루에 충분한 수분섭취와 가습기 사용을 권장한다.
습기가 많은 주변 환경은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5. 체위변경을 보호자에게 교육시킨다.
-semi fowler\'s position
semi fowler\'s position은 흉근, 경근 등의 호흡부속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도와서 호흡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며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진단2. 잦은 기침과 관련된 수면장애
중재
이론적근거
1. 의사처방에 따라 진해 거담제를 제공한다.
풀미코트 레스퓰은 진해거담제로, 진해거담제는 기침 억제와 분비물 배출을 위해 사용하는 약이다.
2.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있는 체위를 취하게 할 것이다.
좌위는 상반신을 90o 혹은 그에 가까운 상태로 일으킨 자세를 말한다. 폐를 확장시켜주는 자세이다.
3. 하루에 충분한 양의 물 섭취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시킬 것이다.
충분한 수분섭취는 호흡기 점막이 촉촉해져서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4. 병실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 할 것이다.
찬 수증기는 기도를 촉촉하게 만들어 분비물을 묽게 해주며 부종을 감소시켜 기침을 줄여준다.
5.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수면 후의 대상자 상태 관찰을 통해 수면패턴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수면 후 대상자의 상태 관찰이 필요하다.
6. 취침 전 안정을 취하게 할 것이다.
격한 운동, 말은 구강을 건조하게 만들어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3. 불수의적인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중재
이론적근거
1. 잠재적인 안전위험이 있는지 관찰한다.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적인 요소를 사정하여 미리 예방한다.
(사이트레일 올리기)
2. 사이드레일을 올려주었다.
전조증상이 보일시 보고할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하여 즉각적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3. 보호자에게 아이가 전조증상을 보이면 의료진을 호출하도록 교육하였다.
아동의 발열관리에 대해 혼동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부모들의 불안 및 공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발열공포를 경감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Ⅲ. 참고문헌
정창호 외. (2005). 급성후두염에 대한 문헌적 고찰, 혜화의학회지, 14권 1호, 113-128.
질병관리본부. (2016). 후두염.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530
서울대학교병원. (2017). 후두염.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67
서울아산병원. (2014). 후두염.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9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만성후두염(2011). Retrieved march 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46&cid=51007&categoryId=51007
인천국제공항의료센터 후두염(2013). Retrieved march 15. from
https://www.inha.com/air/health_info/health1_view.htm?idx=12
병원간호사회 급성후두염(2024). Retrieved march 22. from
https://khna.or.kr/homecare/01_first/child11.php
혜인의료재단한국병원 후두염(2010). Retrieved march 15. from
http://www.hankookhospital.co.kr/knowledge_dept8/13050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편도염과 후두염(2010). Retrieved March 23.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53342&cid=58505&categoryId=58519
서울아산병원. 후두경검사(법). Retrieved march 24. 2024,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4959
조경숙 외(2017).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약학정보원. (). 약물. Retrieved march 23, 2024, from
http://www.health.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