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책 선정 이유
Ⅱ. 책의 내용
1) 가족 내 폭력 - 자식을 소유물로 보는 부모
2) ‘정상가족’만 권장하는 사회
3) 개별성과 다양성을 배척하게 하는 가족주의
4) 독립성은 존중, 삶의 질 문제는 집단적 해결
Ⅲ. 감상평 및 느낀 점
Ⅳ. 참고문헌
Ⅰ. 책 선정 이유
Ⅱ. 책의 내용
1) 가족 내 폭력 - 자식을 소유물로 보는 부모
2) ‘정상가족’만 권장하는 사회
3) 개별성과 다양성을 배척하게 하는 가족주의
4) 독립성은 존중, 삶의 질 문제는 집단적 해결
Ⅲ. 감상평 및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얼마나 뿌리 깊은지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체벌 금지법이 시행된 지 몇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부모가 자녀를 훈육의 대상으로 보는 현실은 아동권리 보호가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를 보여준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를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더 깊이 있는 성찰을 해볼 기회를 갖게 했다.
저자는 아이를 하나의 독립적인 인격체로 바라보지 않는 태도가 아동 학대의 원인이라고 말한다. 아이를 소유물로 보거나 부모와 동일시하기보다는 독립적인 인격체로 대할 수 있어야만 아동 학대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역설한다. 실제로 한국에서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대하는 부모를 찾기란 쉽지 않다. 아이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과잉보호하거나 부모가 못 이룬 꿈을 이루게 하기 위해 과도한 사교육을 시키는 경우를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아이를 인격체로 대하는 태도로 보기 어렵다.
또한 가족주의라는 개념이 단순히 가정 내에서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억압하는 구조적 문제라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느꼈다. 배타성이 심해질 경우 약자에 대한 멸시와 차별로도 이어질 수 있기에 더욱 그렇다.
책의 말미에서 제시된 스웨덴의 사회적 시스템은 한국에서도 도입을 고려해 볼만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이 존중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도 매우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이 책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학대를 당하고 있는 아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남의 아이를 대가족 구성원의 마음가짐으로 내 아이처럼 돌보아야 하기 때문이 아니다‘라는 부분이었다. 성인을 폭행하는 것이 용납되지 않는 일인 것처럼 아이를 때리는 것도 어떤 이유에서든 용서할 수 없는 일이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가족주의는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폭력을 용납하지 않는 인권의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 책은 단순한 사회 비판서라기보다는 한국 사회가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며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중요한 지침서다. 앞으로 가족 내에서 어린이의 자율성과 권리가 더욱 존중받고,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Ⅳ. 참고문헌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동아시아, 2017; 2022
-\'자녀 징계권\' 폐지…\'사랑의 매\' 이젠 범죄입니다, 조희경, 중앙일보, 2021.07.19.,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08805
-\'사랑의 매\' 징계권 폐지 2년반…성인 10명중 7명 여전히 몰라, 성도현, 연합뉴스, 2023. 06.14., https://www.yna.co.kr/view/AKR20230614112800371
-부모의 극단선택…정작 아이는 선택한 적이 없다, BBC 코리아, 2022.06.30.,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1992040
저자는 아이를 하나의 독립적인 인격체로 바라보지 않는 태도가 아동 학대의 원인이라고 말한다. 아이를 소유물로 보거나 부모와 동일시하기보다는 독립적인 인격체로 대할 수 있어야만 아동 학대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역설한다. 실제로 한국에서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대하는 부모를 찾기란 쉽지 않다. 아이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과잉보호하거나 부모가 못 이룬 꿈을 이루게 하기 위해 과도한 사교육을 시키는 경우를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아이를 인격체로 대하는 태도로 보기 어렵다.
또한 가족주의라는 개념이 단순히 가정 내에서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억압하는 구조적 문제라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느꼈다. 배타성이 심해질 경우 약자에 대한 멸시와 차별로도 이어질 수 있기에 더욱 그렇다.
책의 말미에서 제시된 스웨덴의 사회적 시스템은 한국에서도 도입을 고려해 볼만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이 존중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도 매우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이 책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학대를 당하고 있는 아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남의 아이를 대가족 구성원의 마음가짐으로 내 아이처럼 돌보아야 하기 때문이 아니다‘라는 부분이었다. 성인을 폭행하는 것이 용납되지 않는 일인 것처럼 아이를 때리는 것도 어떤 이유에서든 용서할 수 없는 일이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가족주의는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폭력을 용납하지 않는 인권의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 책은 단순한 사회 비판서라기보다는 한국 사회가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며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중요한 지침서다. 앞으로 가족 내에서 어린이의 자율성과 권리가 더욱 존중받고,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Ⅳ. 참고문헌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동아시아, 2017; 2022
-\'자녀 징계권\' 폐지…\'사랑의 매\' 이젠 범죄입니다, 조희경, 중앙일보, 2021.07.19.,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08805
-\'사랑의 매\' 징계권 폐지 2년반…성인 10명중 7명 여전히 몰라, 성도현, 연합뉴스, 2023. 06.14., https://www.yna.co.kr/view/AKR20230614112800371
-부모의 극단선택…정작 아이는 선택한 적이 없다, BBC 코리아, 2022.06.30.,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1992040
추천자료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 B형 가족 고정관념과 가족변화의 모습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만들어내는 사회문제와 ...
성사랑사회 2022 참고문헌에 제시된 저서 중 하나[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
(성,사랑,사회, 공통)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의 독후감
(2024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성사랑사회, 공통형) 다음 참고문헌에 제시된 저서 중 하나...
(성사랑사회 4학년) 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독후감
[성사랑사회 2024년] 김희경(2022)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동...
(2024학년도 2학,기 기말과제물, 인간과사회) 이상한 정상가족: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