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T란 어떤 방법인가 다섯 단계를 정리하세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TT란 어떤 방법인가 다섯 단계를 정리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연속 시행 훈련(Discrete Trial Teaching:DTT)

2. DTT 다섯 단계
1) 주의집중
2) 변별 자극
3) 학생의 반응
4) 결과
5) 시도간 간격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 개별시도 후다음 개별시도하기 전에 짧은 간격 즉 시도간 간격을 약 3에서 5초 정도 두고 그 이후에 개별시도를 실시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DTT란 “변별자극-반응-후속결과-시도간간격-변별자극-반응-후속결과-시도간간격”등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빈도 높게 실시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연필 5개를 책상위에 놓고 “연필 2개 주세요”(변별자극)라고 요구할 경우, 학습자가 연필 2개를 주면(반응), 교사는 “참 잘했어요”라고 칭찬(후속결과)을 한 후, 다음시도를 실시하기 전에 3-5초정도 간격을 둔다(시도간간격). 그 후 다음 개별시도로 교사가 연필 5개를 책상위에 놓고 “연필 2개 주세요”(변별자극)-학습자가 연필 2개를 준다(반응)-교사의 칭찬(후속결과)-시도간간격(3-5초)등이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소현, 홍경, 강수연(2012).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연속 개별시도교수(DTT)에 대한 고찰:중재 성과 및 실행자 변인을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진흥신 (2010). 불연속 개별시도 훈련(Discrete Trial Training:DTT)을 적용한 수개념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이효신, 최효분 (2007).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발화능력을 위한 DTT의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유창수 (2014).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기반(DTT: Discrete Trial Training) 모바일 앱 학습이 발달장애아의 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경기.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11.16
  • 저작시기202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625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