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Bruner의 교수이론
II. Ausubel의 유의미 언어학습이론
III. Cronbach의 적성-처치 상호작용이론
IV.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V. Bloom의 완전학습(mastery learning) 이론
VI. Keller의 학습동기화 모형
VII.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 이론
II. Ausubel의 유의미 언어학습이론
III. Cronbach의 적성-처치 상호작용이론
IV.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V. Bloom의 완전학습(mastery learning) 이론
VI. Keller의 학습동기화 모형
VII.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 이론
본문내용
관계에 대한 예언 가능하게 해 줌
처방적 - 인간의 특성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예언 가능
* 수업설계의 미시적 이론, 매력성과 관련하여 학습동기 유발.유지
2. 학습동기화 모형의 요건과 전략
1) 주의집중(attention) - 학습자의 흥미 충족, 호기심 자극
→ 낯선 것은 친숙하게, 친숙한 것은 낯설게
2) 관련성(relevance) - 학습자의 욕구와 목표에 맞게
→ 현재나 미래 직업과 관련 있게
3) 자신감(confidence) - 성공의 확신을 느끼게
→ 성공의 경험을 갖게
4) 만족감(satisfaction) - 내적.외적 보상으로 학습 수행 재강화
→ 언어적 칭찬, 정보제시적.교정적 피드백 사용
3. ARCS모형의 특징
1) 인간 동기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개념, 변인 종합
2) 동기화의 매력을 높이는 전략
3) 체제적인 동기화 설계모형
4. ARCS 모형의 한계
1) 세부적인 처방적 전략 부족
2) 신선함이 항상 동기를 자극하고 유지하는 것은 아님
VII.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 이론
1. 특징
1) 보다 넓은 범위의 교수설계 강조, 교수내용의 조직
→ 지식을 거시적 수준에서 가능한 한 많이 통합하려 함
2) zoom lens의 비유
전체 → 부분 → 전체
* 단순한 내용에서 복잡한 내용으로 계열 구성
Ausubel의 포섭적 계열화,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Norman의 망상구조학습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이론
3) 문제영역의 4S
교과내용 선정(selection), 계열화(sequencing), 종합(synthesizing), 요약(summarizing)
4) CDT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공통점 - 학습자 통제 촉진, 인지적 영역만 다룸
. 차이점 - 동기유발 방략을 포함시킴
2. 정교화 수업 이론의 전략
1) 정교화된 계열
(1) 정수(개요 epitome) 정리
- 소수의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제시
- 기본적, 대표적, 일반적, 단순한 아이디어
(2) 점진적 정교화
(3) 학습내용의 요약, 종합
2) 선수학습요소의 계열화
(1) 학습구조 또는 학습위계에 기초를 둠
(2) 계열화 지침
. 개념적 조직: 친숙한 조직 개념 먼저 제시
. 절차적 조직: 과제 수행 단계를 순서적으로 제시
. 이론적 조직: 가장 단순한 조직내용 먼저 제시
3) 요약자
가르친 아이디어와 사실의 간결한 진술 - 망각 방지 위한 체계적인 복습
(1) 본시 요약자(학습단원 요약자 internal summarizer) - 수업 끝부분에 제시
(2) 단원 요약자(교과전체 요약자 within-set summarizer) - 단원 내용 요약
4) 종합자
새로운 지식과 선수지식 중 관련된 것의 연결 - 개별 내용의 통합
5) 비유
유사한 부분이 많을수록, 친숙한 아이디어가 많을수록 효과적
6) 인지전략 활성자(cognitive strategy activators)
심상(mental image)을 만들거나 비유의 이해, 기억법 등의 학습기능과 사고기능 포함
7) 학습자 통제
학습자가 학습내용이나 학습전략 통제
처방적 - 인간의 특성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예언 가능
* 수업설계의 미시적 이론, 매력성과 관련하여 학습동기 유발.유지
2. 학습동기화 모형의 요건과 전략
1) 주의집중(attention) - 학습자의 흥미 충족, 호기심 자극
→ 낯선 것은 친숙하게, 친숙한 것은 낯설게
2) 관련성(relevance) - 학습자의 욕구와 목표에 맞게
→ 현재나 미래 직업과 관련 있게
3) 자신감(confidence) - 성공의 확신을 느끼게
→ 성공의 경험을 갖게
4) 만족감(satisfaction) - 내적.외적 보상으로 학습 수행 재강화
→ 언어적 칭찬, 정보제시적.교정적 피드백 사용
3. ARCS모형의 특징
1) 인간 동기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개념, 변인 종합
2) 동기화의 매력을 높이는 전략
3) 체제적인 동기화 설계모형
4. ARCS 모형의 한계
1) 세부적인 처방적 전략 부족
2) 신선함이 항상 동기를 자극하고 유지하는 것은 아님
VII.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 이론
1. 특징
1) 보다 넓은 범위의 교수설계 강조, 교수내용의 조직
→ 지식을 거시적 수준에서 가능한 한 많이 통합하려 함
2) zoom lens의 비유
전체 → 부분 → 전체
* 단순한 내용에서 복잡한 내용으로 계열 구성
Ausubel의 포섭적 계열화, Bruner의 나선형 교육과정, Norman의 망상구조학습
Reigeluth의 정교화 수업이론
3) 문제영역의 4S
교과내용 선정(selection), 계열화(sequencing), 종합(synthesizing), 요약(summarizing)
4) CDT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공통점 - 학습자 통제 촉진, 인지적 영역만 다룸
. 차이점 - 동기유발 방략을 포함시킴
2. 정교화 수업 이론의 전략
1) 정교화된 계열
(1) 정수(개요 epitome) 정리
- 소수의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제시
- 기본적, 대표적, 일반적, 단순한 아이디어
(2) 점진적 정교화
(3) 학습내용의 요약, 종합
2) 선수학습요소의 계열화
(1) 학습구조 또는 학습위계에 기초를 둠
(2) 계열화 지침
. 개념적 조직: 친숙한 조직 개념 먼저 제시
. 절차적 조직: 과제 수행 단계를 순서적으로 제시
. 이론적 조직: 가장 단순한 조직내용 먼저 제시
3) 요약자
가르친 아이디어와 사실의 간결한 진술 - 망각 방지 위한 체계적인 복습
(1) 본시 요약자(학습단원 요약자 internal summarizer) - 수업 끝부분에 제시
(2) 단원 요약자(교과전체 요약자 within-set summarizer) - 단원 내용 요약
4) 종합자
새로운 지식과 선수지식 중 관련된 것의 연결 - 개별 내용의 통합
5) 비유
유사한 부분이 많을수록, 친숙한 아이디어가 많을수록 효과적
6) 인지전략 활성자(cognitive strategy activators)
심상(mental image)을 만들거나 비유의 이해, 기억법 등의 학습기능과 사고기능 포함
7) 학습자 통제
학습자가 학습내용이나 학습전략 통제
추천자료
교수설계이론-Gagne의 9가지 수업사태, 롸이겔루스의 교수설계전략, Keller의 학습동기 설계...
대표적교수설계이론(가네,뢰이겔루스,켈러)
[학습이론]실제 수업에서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적용
Freudenthal 수학화 학습이론에 따른 수업지도안
켈러의 학습동기 이론
서예수업(서예교육, 서예영역지도)의 이론적 내용과 전개, 서예수업(서예교육, 서예영역지도)...
총체적언어접근법(언어교육, 언어학습) 이론적배경과 정의, 총체적언어접근법(언어교육, 언어...
현시적교수법(현시적수업모형)의 이론적 기초, 현시적교수법(현시적수업모형)의 단계와 과정,...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개념,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이론적 기초, 개념학습(개념형성...
프로젝트수업(프로젝트기반학습, PBL)의 이론적 기초와 유형, 프로젝트수업(프로젝트기반학습...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특징과 수...
도덕과교육(학습, 수업)의 목적, 도덕과교육(학습, 수업) 이론, 도덕과교육(학습, 수업) 접근...
한문과교육(학습, 수업) 목표와 성격, 한문과교육(학습, 수업) 구성주의이론, 한문과교육(학...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이론, 초등학교 영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