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중심주의에 대한 설명과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구중심주의의 개념
○서구중심주의의 연원과 세계사적 전개과정
○서구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와 대안들
○결론

본문내용

우리 모두에게 서구적인 것이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새삼 지적할 필요마저 없는 진부한 현실이다. 수년 전 남한 언론에 비친, 김일성의 죽음에 오열하는 북한 인민의 모습은 촌스럽거나 광신적인 종교집단의 작태로 묘사된 반면, 영국의 왕세자빈이었던 다이애나의 죽음에 대해 ‘세기의 장례식’으로 오열하는 서구인의 모습은 전혀 비정상적인 행위로 묘사되지 않았다. 아이들이 갖고 노는 인형에서 한국인을 모델로 만든 인형은 거의 없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사실상 ‘진실한 것’, ‘선한 것’, ‘아름다운 것’은 거의 모두 원산지를 서구에 두고 있다.
한국 자동차 회사가 만든 자동차 또한 모두 영어로 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거리의 음식점, 술집, 찻집 등의 이름에도 외래어가 즐비하다. 이제 우리에게 서구적인 것은 친숙하고 전통적인 것은 낯설다. 우리는 서구적인 것에 둘러싸여 살고 있고, 또 서구적인 것은 우리 안에 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정치세계에도 예외가 아니다. 9년 전 겨울 이라크와 미국 사이에 ‘걸프전’이 일어났을 때, 국내 텔레비전은 거의 아무런 편집이나 정리과정 없이 직접 미국의 케이블 뉴스방송(CNN)을 방영했다. 그리하여 미국군을 ‘아군’이라 표현하는 등 마치 ‘미국의 소리’의 일방 통행로가 된 듯한 느낌을 주었고, 일반 국민들은 마치 ‘우리’가 전쟁에서 승리하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했다.
이러한 서구중심주의는 일상생활에만 국한된 현실이 아니라 우리 학계의 지배적인 현실이기도 하다. 우리 학계에서 서양 철학은 ‘철학’이라는 보편 명사의 지위를 누리고, 전통 철학은 한국 철학 혹은 동양 철학이라는 특수명사가 된 지 오래다. 사정은 정치사상분야도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대학에서 정치사상은 ‘서양’ 정치사상을, 전통사상은 한국 정치사상 또는 동양 정치사상을 지칭한다. 정치학자 김석근 박사는 ‘한국정치학계의 불모성’을 지적하면서, 그 원인의 일단으로 발표된 대다수 논문들이 한국의 정치적 현실과 거리가 먼 서구사회 자체의 필요로 인해 생산된 서구의 이론을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1.06.18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189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