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증( PAIN )의 정의
2. 통증의 경로
3. 신경과 감각기
4. 통증클리닉의 대상이 되는 증상 및 질환
2. 통증의 경로
3. 신경과 감각기
4. 통증클리닉의 대상이 되는 증상 및 질환
본문내용
감각기
ㅇ 감각기 : 자극을 감각하는 조직이나 세포
시각기, 청각기 , 후각기 , 미각기 , 피부감각기 등
ㅇ 감각기관 : 감각기들이 모여 이룬 기관, 눈, 귀, 코 등
ㅇ 자극 : 소리, 냄새, 빛, 맛처럼 생물체에게 반응을 유발시키는 모든 변화
ㅇ 적합자극 ; 특정 감각기가 수용할 수 있는 특정 자극
ㅇ 역 치 :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자극의 최소값
ㅇ 실무율 : 자극의 세기가 역치 이상일 때 더 이상 강한 자극을 주어도 반응의 세기 는 일정하다. 단세포에만 성립.
ㅇ근육의 경우는 다르다. 수많은 근 섬유로 이루어진 근육은 자극이 커질수록 반응하 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므로 반응이 커진다.
ㅇ 베버의 법칙 : 자극의 변화를 느끼려면 일정값 이상의 자극이 가해져야 한다.
나중자극 - 처음자극
베버의 법칙 =――――――――――= K(베버상수)
처음 자극
예) 손위에 50g의 추를 놓은후 여기에 1g을 더 추가시키면 51g으로 더 무거워졌음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0.6g을 더 추가하여 51.6g으로 하면 그때 무거워 졌음을 느낀다. 베버의 법칙에 따르면 65g의 추를 들고 있을 때는 최저 몇g을 더 얹어야 무거워 졌음을 느끼겠는가?
7) 감각기관
(1) 시각기
가. 눈의 구조와 기능
●각 막 :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막으로 눈의 내부를 보호한다.
●홍 채 :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고 조리개 역할을 한다.
●수정체 :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한다.
●모양체 : 수정체의 두께를 변화시켜 원근(遠近)을 조절한다.
●진 대 : 모양체와 수정체를 연결하는 섬유이다.
●맥락막 : 암실(暗室) 역할을 하며, 안구에 영양을 공급한다.
●망 막 : 시세포가 분포하여 상이 맺히는 곳이다.
●공 막 : 안구의 제일 바깥쪽을 싸고 있는 막으로, 흔히 흰자라고 한다.
●황 반 : 시세포가 많이 모여 상이 선명하게 맺히는 곳이다.
●맹 점 : 망막에 퍼진 신경이 모여 망막 밖으로 나가는 부분으로 상이맺히지않는다.
(2) 청각
소리 → 외이도 → 고막 → 청소골 → 전정기관 → 청신경 → 대뇌(피질)
◆ 평형기(전정기관과 반고리관)
●전정기관 : 중력의 자극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감지한다.
●반고리관 : 림프의 유동에 따라 회전 운동을 감지한다.
(3) 미각
●미각기 : 혀의 표면에 작은 돌기로 된 유두가 있고, 그 옆에 미세포가 모인 미뢰가 있다.
< ※사람의 혀에서 느끼는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4가지가 기본 맛이며, 나머지는 이들이 혼합되어 느껴지는 것들이다.
음식(액체 상태) → 유두 → 미세포(미뢰) → 미신경 → 대뇌(피질)
(4) 후각
●후각기 : 콧속의 후각 상피에 후세포가 있고, 후각은 역치가 낮아 예민 하지만, 쉽게 피로해져 같은 자극이 계속되면 역치가 급격히 커진다.
냄새(기체 상태) → 코 → 후세포(후각 상피) → 후신경 → 대뇌
4. 통증클리닉의 대상이 되는 증상 및 질환
먼저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들로 부위별로 보면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악성종양에 의한 통증, 대상포진후 신경통과 외상에 의하지 않은 각종 두통안면부의 3차신경통, 악관절통, 목, 어깨, 상지의 경상완증후군, 경부척추증, 오십견, 경경완증후군과 늑간부위의 늑간신경통, 흉추후관절증, 요하지의 좌골신경통, 요추부염좌, 추간판탈출증(흔히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후 관절증후군, 골다공증이 있고 팔다리 부위의 작열통, 버거씨 병, 변형성 무릎관절통, 미골통이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마비증상을 보이는 안면신경마비, 외상성 신경마비, 요척골 신경마비가 있고 기타 레이노 증후군, 동상, 매니에르 증후군, 다한증, 알레르기성비염, 자율신경 실조 등이 있습니다.
ㅇ 감각기 : 자극을 감각하는 조직이나 세포
시각기, 청각기 , 후각기 , 미각기 , 피부감각기 등
ㅇ 감각기관 : 감각기들이 모여 이룬 기관, 눈, 귀, 코 등
ㅇ 자극 : 소리, 냄새, 빛, 맛처럼 생물체에게 반응을 유발시키는 모든 변화
ㅇ 적합자극 ; 특정 감각기가 수용할 수 있는 특정 자극
ㅇ 역 치 :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자극의 최소값
ㅇ 실무율 : 자극의 세기가 역치 이상일 때 더 이상 강한 자극을 주어도 반응의 세기 는 일정하다. 단세포에만 성립.
ㅇ근육의 경우는 다르다. 수많은 근 섬유로 이루어진 근육은 자극이 커질수록 반응하 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므로 반응이 커진다.
ㅇ 베버의 법칙 : 자극의 변화를 느끼려면 일정값 이상의 자극이 가해져야 한다.
나중자극 - 처음자극
베버의 법칙 =――――――――――= K(베버상수)
처음 자극
예) 손위에 50g의 추를 놓은후 여기에 1g을 더 추가시키면 51g으로 더 무거워졌음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0.6g을 더 추가하여 51.6g으로 하면 그때 무거워 졌음을 느낀다. 베버의 법칙에 따르면 65g의 추를 들고 있을 때는 최저 몇g을 더 얹어야 무거워 졌음을 느끼겠는가?
7) 감각기관
(1) 시각기
가. 눈의 구조와 기능
●각 막 :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막으로 눈의 내부를 보호한다.
●홍 채 :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고 조리개 역할을 한다.
●수정체 :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한다.
●모양체 : 수정체의 두께를 변화시켜 원근(遠近)을 조절한다.
●진 대 : 모양체와 수정체를 연결하는 섬유이다.
●맥락막 : 암실(暗室) 역할을 하며, 안구에 영양을 공급한다.
●망 막 : 시세포가 분포하여 상이 맺히는 곳이다.
●공 막 : 안구의 제일 바깥쪽을 싸고 있는 막으로, 흔히 흰자라고 한다.
●황 반 : 시세포가 많이 모여 상이 선명하게 맺히는 곳이다.
●맹 점 : 망막에 퍼진 신경이 모여 망막 밖으로 나가는 부분으로 상이맺히지않는다.
(2) 청각
소리 → 외이도 → 고막 → 청소골 → 전정기관 → 청신경 → 대뇌(피질)
◆ 평형기(전정기관과 반고리관)
●전정기관 : 중력의 자극에 따라 위치와 자세를 감지한다.
●반고리관 : 림프의 유동에 따라 회전 운동을 감지한다.
(3) 미각
●미각기 : 혀의 표면에 작은 돌기로 된 유두가 있고, 그 옆에 미세포가 모인 미뢰가 있다.
< ※사람의 혀에서 느끼는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4가지가 기본 맛이며, 나머지는 이들이 혼합되어 느껴지는 것들이다.
음식(액체 상태) → 유두 → 미세포(미뢰) → 미신경 → 대뇌(피질)
(4) 후각
●후각기 : 콧속의 후각 상피에 후세포가 있고, 후각은 역치가 낮아 예민 하지만, 쉽게 피로해져 같은 자극이 계속되면 역치가 급격히 커진다.
냄새(기체 상태) → 코 → 후세포(후각 상피) → 후신경 → 대뇌
4. 통증클리닉의 대상이 되는 증상 및 질환
먼저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들로 부위별로 보면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악성종양에 의한 통증, 대상포진후 신경통과 외상에 의하지 않은 각종 두통안면부의 3차신경통, 악관절통, 목, 어깨, 상지의 경상완증후군, 경부척추증, 오십견, 경경완증후군과 늑간부위의 늑간신경통, 흉추후관절증, 요하지의 좌골신경통, 요추부염좌, 추간판탈출증(흔히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후 관절증후군, 골다공증이 있고 팔다리 부위의 작열통, 버거씨 병, 변형성 무릎관절통, 미골통이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마비증상을 보이는 안면신경마비, 외상성 신경마비, 요척골 신경마비가 있고 기타 레이노 증후군, 동상, 매니에르 증후군, 다한증, 알레르기성비염, 자율신경 실조 등이 있습니다.
추천자료
파킨슨씨병에 대해서
골관절염 간호진단 사례
내과 케이스 게실염
csicu case흉부외과 케이스
Buerger's disease 환자 케이스 간호 진단 간호 중재
기생충감염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생활사
고관절치환술 케이스
장폐쇄 케이스
[성병][성인성질환]성병(성인성질환)의 의미, 성병(성인성질환)의 실태, 성병(성인성질환)의 ...
과학과 수업연구 지도안
제왕절개 케이스(간호사례)
[성인 실습] 협심증(狹心症 / Angina pectoris)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Unstab...
Femur Fracture & THR수술
pleural effusion 흉막삼출증 케이스, 흉수 케이스, 흉막삼출증 간호과정, pleural effusion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