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목 : 기독교가 미치는 영향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1. 해방과 교회 재건
2. 북한에서의 교회의 참화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1. 해방과 교회 재건
2. 북한에서의 교회의 참화
본문내용
고려파 간에 싸움이 일어나고 결국 비고려파가 장로교에서 갈라져 나감. 싸움이 여기서 끝난 것이 아니라 같은해 7월 서로 무서운 공격을 하기 시작했고 고려파는 그당시 국회의원22명의 명의로 비고려파를 용공단체라고 비 난함. 1953년 기장과 예장이 갈라짐. 조선신학교의 김재준목사의 신학이 신신학 이라고 해서 그 문제를 총회에 제출했고 신학생 51명이 학교를 나가 장신대를 세움. 1953년 정기 총회에서 조선신학교를 나온 사람은 목사 안수를 예장에서 받을수 없다고 해서 갈라짐.1958년에 같은 예장에서 통합, 합동으로 나뉘게 됨. 학교 부지 관계 때문에, 부정이 있었음을 들고 일어나서 박형용 박사를 지지하 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자들로 각각 나뉘게 되었다. 그 후 합동에서 분열이 이어져 많은 교단이 생김.
추천자료
2000년대의 교회교육
주기도문의 ‘아버지’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김동리 선생님의 전기비평 - 『무녀도』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반공주의와 북한선교
종교에서의 구원
[현대시론]김현승의 시 세계를 세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고 각 ...
한국교회 보수와 진보, 신정통주의의 등장
통일교의 발생과 현대적 비판 완성본
[한국교회사]한국 교회의 토착화(민중신학의 등장) - 선교의 역사와 민중신학에 대하여
[민중신학] 민중신학 역사와 전망 - 민중신학의 개념, 민중신학 탄생, 민중신학 내용, 민중신...
종교적 다원주의
(일본 군국주의 통치하의) 교회의 시련과 교회의 마지막 변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