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목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집단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상충될 경우 집단 목표를 우선시하고, 개인적인 신념이나 원칙보다는 집단이 요구하는 의무나 규범을 중시하고, 비록 손해가 있다 손치더라도 인간관계를 소중히 생각하며, 그리고 자기가 소속하고 있는 집단을 기준으로 자신을 소개하거나 규정하는 행동이나 가치성향을 집단주의 또는 집합주의(Collectivism)라고 한다. 그 반대는 개인주의(Individualism)이다.
집단주의자들은 사람들을 넓게 사귀기보다는 깊게 사귀려 하고, 우리 사람(內集團)과 남의 사람(外集團)간에 선을 분명히 긋고자 한다. 그리고는 내집단에서는 똘똘 뭉치고 외집단과는 거리를 유지하며 심지어는 인간 취급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내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과 외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이 상당히 다르기도 하다. 반면에 개인주의자들은 사람들을 깊이 보다는 폭넓게 사귀려 하고 또 소속집단을 자주 바꾼다. 내집단과 외집단을 그리 엄격하게 구분하려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외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이 별로 다르지 않다.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집단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상충될 경우 집단 목표를 우선시하고, 개인적인 신념이나 원칙보다는 집단이 요구하는 의무나 규범을 중시하고, 비록 손해가 있다 손치더라도 인간관계를 소중히 생각하며, 그리고 자기가 소속하고 있는 집단을 기준으로 자신을 소개하거나 규정하는 행동이나 가치성향을 집단주의 또는 집합주의(Collectivism)라고 한다. 그 반대는 개인주의(Individualism)이다.
집단주의자들은 사람들을 넓게 사귀기보다는 깊게 사귀려 하고, 우리 사람(內集團)과 남의 사람(外集團)간에 선을 분명히 긋고자 한다. 그리고는 내집단에서는 똘똘 뭉치고 외집단과는 거리를 유지하며 심지어는 인간 취급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내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과 외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이 상당히 다르기도 하다. 반면에 개인주의자들은 사람들을 깊이 보다는 폭넓게 사귀려 하고 또 소속집단을 자주 바꾼다. 내집단과 외집단을 그리 엄격하게 구분하려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외집단에서 적용되는 기준이 별로 다르지 않다.
본문내용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외로움과 소외다. 개인주의 사회에서 개인에게 부과되는 짐은 말할 수 없이 큰 것이다. 집단주의 사회에서나 개인주의 사회에서나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는 크게 다를 것이 없어서 사람들은 독립적인 개체로서 존재해야 하고도 싶지만, 또 관계를 맺어야 하고 소속감을 느껴야 하고 또 남에게 의지도 해야 한다. 그런데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그것이 어려운 것이다. 그런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함량미달인 것이다. 그래서 개인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정신질환자, 심장쇼크사, 그리고 사회 부적응자들이 많다.
21세기의 한국인은 전통적인 집단주의를 고수하는 사람도 아니고 그렇다고 과거의 집단주의를 버리고 순수한 개인주의를 찾아가는 사람도 아니다. 양자를 지혜롭게 통합하는 다원주의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한국인은 전통적인 집단주의를 고수하는 사람도 아니고 그렇다고 과거의 집단주의를 버리고 순수한 개인주의를 찾아가는 사람도 아니다. 양자를 지혜롭게 통합하는 다원주의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청소년 왕따,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고찰
집단따돌림(왕따)의 원인, 실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남 북한 교육의 비교와 통합방향
북한의문화요약
인센티브제도의 유형과 도입가능성에 대한 고찰
나는 매일 매너를 입는다. //독후감//
사회적 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자연법][자연법사상][자연법이론][자연법사상이론]자연법(자연법사상)의 정의, 자연법(자연...
집단따돌림-왕따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독후감
일본의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가족복지측면 시각으로서의 가치관, 정책, 프로그램서비스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의 정의, 원인, 유형 및 해결방안
집단따돌림(왕따, 집단괴롭힘)의 정의와 특성, 집단따돌림의 실태 및 원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