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부분에 집착.(깊이 있게 그림)
| 인물이 크게 강조(산수인물-50%)
| 자연과 인물이 시선을 통해 일치를 이룸.
| 날카롭게 각이 진 나무,부벽준(표현성부곽)
+- 마하파(남송)
4)절파+-마하파의 화풍 + 산의 전경이 엎어질듯.흑백의 대비가 강하다.
+-대진이 정치사건으로 항주로 쫓겨나 만듬.
+-명대 복고주의 영향을 받아 마하파의 화풍을 계승.
cf)이제:곽희(이곽)파 + 마하파
#남종화의 시조#
1) 왕유- 진품이 남아있지 않다.
2)+-동원+-피마준을 이용.산은 구축적으로 쌓아올린것.
++ +-그림의 근경에 물이 등장.
|+-거연 - 산세를 포탄형으로 쌓아올림.피마준.나무는 산꼭대기에..
+--- >실질적인 시조.남경출신..
>예찬에게 영향;근경에 교목.중경에 강물.원경에 산(절대준)
3) 원말 4대가(송의 화풍계승)
+-오 진 +-피마준.강.
| +-시상에 잠긴 어부의 모습 -"쓸쓸하고 담박한 정조"
+-황공망 --표현이 간략(거연의 피마준 사용)
+-예 찬 +-그림에 사람이 등장하지 않음(인간으로 오염되지않은 자연)
| +-물삽입 (동원의 영향)
| +-전경에 큰 교목 삽입
| +-바위는 절대준 사용.
+-왕 몽 --여백이 없다. 복잡한 구도.선이 매우 복잡.
4)오파+-심중--구도는 예찬.산은 황공망의 피마준을 조합.
+-문징명-- 심주의 제자.
+-전통의 계승..
5)송강 -+-동기창-+
+-막시룡 +- 북종화와 남종와의 대립은 이들로 인해
+-진계유-+ 남종화의 승리로 끝을 맺는다..
#북종화 남종화#
= 직업화가 vs 문인화가 = 항주 vs 소주 = 송대화풍 vs 원대화풍
| 인물이 크게 강조(산수인물-50%)
| 자연과 인물이 시선을 통해 일치를 이룸.
| 날카롭게 각이 진 나무,부벽준(표현성부곽)
+- 마하파(남송)
4)절파+-마하파의 화풍 + 산의 전경이 엎어질듯.흑백의 대비가 강하다.
+-대진이 정치사건으로 항주로 쫓겨나 만듬.
+-명대 복고주의 영향을 받아 마하파의 화풍을 계승.
cf)이제:곽희(이곽)파 + 마하파
#남종화의 시조#
1) 왕유- 진품이 남아있지 않다.
2)+-동원+-피마준을 이용.산은 구축적으로 쌓아올린것.
++ +-그림의 근경에 물이 등장.
|+-거연 - 산세를 포탄형으로 쌓아올림.피마준.나무는 산꼭대기에..
+--- >실질적인 시조.남경출신..
>예찬에게 영향;근경에 교목.중경에 강물.원경에 산(절대준)
3) 원말 4대가(송의 화풍계승)
+-오 진 +-피마준.강.
| +-시상에 잠긴 어부의 모습 -"쓸쓸하고 담박한 정조"
+-황공망 --표현이 간략(거연의 피마준 사용)
+-예 찬 +-그림에 사람이 등장하지 않음(인간으로 오염되지않은 자연)
| +-물삽입 (동원의 영향)
| +-전경에 큰 교목 삽입
| +-바위는 절대준 사용.
+-왕 몽 --여백이 없다. 복잡한 구도.선이 매우 복잡.
4)오파+-심중--구도는 예찬.산은 황공망의 피마준을 조합.
+-문징명-- 심주의 제자.
+-전통의 계승..
5)송강 -+-동기창-+
+-막시룡 +- 북종화와 남종와의 대립은 이들로 인해
+-진계유-+ 남종화의 승리로 끝을 맺는다..
#북종화 남종화#
= 직업화가 vs 문인화가 = 항주 vs 소주 = 송대화풍 vs 원대화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