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시대적 상황(봉건제와 봉건 사회에 대한 사상)
2.봉건제도의 의의
본론
1.아퀴나스의 사회철학
결론
1.아퀴나스의 사상에 대해
1.시대적 상황(봉건제와 봉건 사회에 대한 사상)
2.봉건제도의 의의
본론
1.아퀴나스의 사회철학
결론
1.아퀴나스의 사상에 대해
본문내용
지각되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으로부터 보편적인 형상을 추상해 내는 능력이 있는데 이를 능동 지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능동 지성은 또다시 감각으로 환원되는데 이는 능동 지성의 기본아래 수동 지성이 이루어진다는 일련의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과정을 추상과정이라고 하는데 지성의 추상활동은 참도 거짓도 아닌 단순한 파악 또는 개념의 산출을 결과한다. 이 추상적 인식은 우리가 보편적인 것에 의해서 비로소 개별적인 것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퀴나스의 인식론은 경험주의적이다. 아퀴나스와 쌍벽을 이루었던 중세의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가 진리의 인식을 내면에서 추구하였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인간 인식은 인간의 의무, 특히 경험될 수 있는 물질적 사물로부터 시작된다고 보았던 그의 인식론은 어떤 형태로든 근대 경험론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보여진다. 아퀴나스의 인식론에서 나타난 특징으로는 우리의 지성이 사물의 본질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개별적 사물의 인식에서 보편적 개념을 추출하는 단계를 거쳐 다시 상상력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아퀴나스는 이러한 인식론의 토대를 교회중심이라는 입장에서 인간이 이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