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동학사상의 형성과 신유학, 무격신앙
3. 최제우의 사회적 배경과 동학사상
4. 맺음말
2. 동학사상의 형성과 신유학, 무격신앙
3. 최제우의 사회적 배경과 동학사상
4. 맺음말
본문내용
곡과 함께 한다. 즉, 그 이름만이 무성하고 그 뜻은 제대로 세워지지 않은 것이다. 오늘날의 동학이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어 사상에서 신앙이 되었으나 일반인들에게 민족종교중의 하나로 밖에 인식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인내천 사상의 왜곡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왜곡을 바로 잡고 근대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으로서 다시금 동학은 재평가되어야 하며 100년전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사상으로서 동학은 신동학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동학사상이 아직 그 이론의 틀을 신유학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현대의 정신 과학적 방법과 서구의 새로운 사상을 대폭 수용하여 그 실천적 틀에서나 이론적 틀에서나 개벽이 있어야만 동학은 신동학으로서 새롭게 태어날것이다. 이 재탄생의 몫은 최제우가 했던 것처럼 더 이상 어떤 한사람의 몫은 아니다. 이것은 오늘을 고민하는 지식인과 민중들의 몫인 것이다.
참고문헌
。石井壽夫, 敎祖 崔濟愚에 있어서 東學思想의 歷史的 展開',「歷史學 硏究」 제 11권 제 1호 , 1941.1.
。정경홍,「侍天人間」,개벽사,1992.8
。崔濟愚,「東經大典」-敎材用,天道敎 中央本部 刊,1986.2.
참고문헌
。石井壽夫, 敎祖 崔濟愚에 있어서 東學思想의 歷史的 展開',「歷史學 硏究」 제 11권 제 1호 , 1941.1.
。정경홍,「侍天人間」,개벽사,1992.8
。崔濟愚,「東經大典」-敎材用,天道敎 中央本部 刊,19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