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훈련 이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의 소개

Ⅲ. 도림교회 사례

Ⅳ. 동산교회 사례

Ⅴ. 교인의 영성훈련 강화를 위한 몇가지 대안

Ⅵ. 영성개발과 훈련을 위한 결론적 제언

본문내용

배의 부름(the call to worship), 기원(invocation), 찬양과 경배의 찬송(hymn of praise), 고백의 기도(prayer of confession), 영광송(gloria patri), 중보의 기도(the prayer of intercession), 말씀 봉독(scriptural lesson), 성가대의 찬양(the anthem), 설교전 기도(prayer for illumination), 설교(preaching), 감사와 응답의 찬송(hymn of response), 봉헌(offering), 축복기도(benediction)
4 성서연구
지금까지 성서연구에 있어서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문제는 성서가 삶과 괴리되어 지적인 영역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성서는 인간들의 하나님 체험에 대한 보고서이다. 또한 그 경험은 과거의 경험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재도 하나님의 백성들의 삶 속에서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신앙의 경험이다. 성서는 이러한 경험에 참여하는 통로가 되며, 성서연구는 이러한 경험에 자신의 삶을 연결하는 과정이 된다. 따라서, 지적인 연구가 아닌 성서와 삶을 연결하는 성서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5. 일(작업)을 통한 영성훈련
영성훈련이 묵상, 기도, 예배, 성서연구 등의 과정을 통해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삶, 특히 직업과 관련된 일을 통하여도 끊임없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리(J.M.Lee)는 이것을 lifework spirituality 라고 하였다. 이것은 '일'에 대한 신학적 개념의 이해(창조질서로서의 일, 봉사로서의 일, 소명으로서의 일)을 통하여 자신의 일(직업)이 하나님의 소명이며, 이 일을 통하여 하나님의 소명에 부응할 때에 일상적 삶을 통한 영성훈련의 가능성을 보게되는 것이다.
Ⅵ. 영성개발과 훈련을 위한 결론적 제언
우리 목회실습조는 앞으로의 과제와 그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테마식으로 몇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1) 목회자가 먼저 교회의 영성전통과 교훈에 관해서 새롭게 배우고 정리하는 독서, 연구, 명상, 기도회 이런 기회를 가져야 한다. 모든 것의 방법도 마찬가지지만 영성 자체도 목사님이 거기에 빨려 들어가지 않으면서 교인들을 지도해야 한다. 실제로 교인들의 영성이 목사님의 영성보다 나을 때도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그럴 때 교인들의 영성을 활용해서 교회를 키워가는 영성개발의 안목을 목사님이 가져야 한다.
(2)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시대마다 영성운동의 진원역활을 했던 수도원운동들의 역사와 배경, 그 공헌과 문제점들을 함께 공부하는 기회를 기지는 것이 좋다. 주일 저녁이나 수요일 저녁의 프로그램으로서 생각할 수도 있다. 기독교 역사 2000년에 있어서 교인들의 신앙이 메마르고, 타락하고, 전쟁에 시달리고 있을 때 기독교 영성이 기독교 신앙의 힘을 불러 일으킨 운동이었다. 그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광야의 교부운동, 베네딕드 수도운동, 프란시스코 수도운동, 도미니크 수도운동, 동방교회 수도운동, 영국교회 수도운동, 예수회 수도운동, 최근의 것으로는 떼제의 수도운동을 들 수 있다.
(3) 역대 기독교 영성가들의 산물인 영성의 고전들을 교인들과 함께 읽고 연구하는 기회도 중요하다. 그저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읽으며 취사선택 할 수 있고 적절한 영혼의 양식으로 소화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거스틴의「참회록」, 성프란시스의「작은 꽃들」, 작자미상의「독일의 신학」, 죠지 폭스의「일기」, 죤 번연의「천로역정」, 토마스 아켐퍼스의「그리스도를 본받아」, 성 이그나시우스의「영성수련」… 그 밖에도 많은 고전들을 함께 읽으며 배경을 설명하고 함께 기도하면 되겠다. 신앙의 깊은 경지에 들어가기를 원하는 자를 중심으로 새벽기도회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목회자들이 빠져도 그들이 영성을 지도해 갈 수 있는 영성코이노니아를 형성해야 한다. 영성의 힘에 의하여 교회제단이 유지된다. 신앙적으로 거듭난 신앙으로 살려고 몸부림치는 사람들의 그룹을 키워가야 한다.
(4) 개신교회 신앙의 전통에서는 성서가 영성훈련의 교과서이다. 크리스챤의 신앙생활과 특히 영성에 관계된 성서의 부분을 함께 공부하면서 기도와 명상에로 이끄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성서 안에 무진장한 영성의 변화가 잠재해 있는 예를 들면 빌1:3-11, 골1:3-13, 딤전1:12-17, 고전1:4-9 등등 성서연구를 그런 방향으로 인도하면 도움이 된다.
(5) 전체 교인들을 상대로는 이상과 같은 내용의 프로그램을 진행시키면서, 이 보다는 깊은 차원의 영성생활을 간구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영성훈련이 요청된다. 나는 모른다고 내맡겨 버리거나 포기해 버리면 그들은 영성적으로 방황하게 되고 영성적인 미아가 된다. 교회 안에 그들을 위한 영성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철야와 금식, 치유와 평안을 위한 특별 기도회 같은 것을 제멋대로 맡겨두지 말고 영성적으로 목회자가 주도해 가면서 지도해 가야 한다.
(6) 교회 안에서 영성 지도를 할 수 있는 영성지도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이런 방면에 은사받은 이들을 묶어서 목회자가 교육하고, 함께 명상과 기도를 통한 체험을 나누며 그들을 통해서 개교회의 영성적인 요구를 감당하도록 목회구조를 갖춰가야 한다.
(7) 짧은 기간에 너무 많은 것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이다. 중요한 것은 성서와 교회 전통의 건전한 영성신학과 방법을 함께 배우며 익힘으로서, 지난 한 세기 동안 영성운동에서 야기된 문제점들을 극복해 갈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의 건전한 영성개발에도 새로운 전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교회의 앞으로의 영성훈련은 아동기적 신앙 형태를 재강화시키는 방향이 아니라 성숙한 신앙을 향한 뚜렷한 비전을 가져야 한다.
율법적인 신앙을 포괄하면서도 그것을 뛰어 넘는 복음적 신앙 훈련이 필요하며, 인본주의적 윤리 규범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성령으로 승리하는 삶의 비결을 개발해야 하며, 개인주의적 구원의 과정을 중시하면서도 공동체적 구원의 측면을 보완하며 진정으로 통합적이요 전인적 구원의 방향으로 영성훈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