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
2. 도구주의의혹은 실용주의
3. 비판적 실재론
2. 도구주의의혹은 실용주의
3. 비판적 실재론
본문내용
말하는 도구주의가 함께 있는 유기적 결합 속에서만 '세계'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파악해가는 과정은 진리의 근사치를 추구하는 끊임없는 인식과정인 것이다. 엥겔스는 상대적 진리와 절대적 진리 사이에는 심연이 없으며 오히려 절대적 진리(절대적으로 올바른 부분적 인식이란 의미에서가 아니라, 총체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총체적 인식이라는 의미)는 상대적 진리의 축적을 통하여 형성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인간의 인식을 통하여 현실에 대한 보다 깊은 통찰과 보다 정확한 반영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상대적인 진리와 절대적 진리의 관계에 대한 변증법은 과정으로서의 진리론의 중심문제이다. 인식의 진보는 그러한 근사적 진리의 축적과 개선의 결과로 일어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우리의 인식재료로부터 오류를 끊임없이 축출해 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우리의 지식이 객관적, 절대적 진리에 접근할수 있는 한계는 역사적으로 조건지워져 있지만 이러한 진리의 존재자체는 무조건적이며 무조건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거기에 접근하고있는 것이다. 모사된 상의 윤곽은 역사적으로 조건지워져 있지만 이 상이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모델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은 무조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