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당맥과 단가.
1)도산십이곡이란?
2)도남(陶南) 조윤제(趙潤濟)
3)`어 부 가 (漁 父 歌) `
1)도산십이곡이란?
2)도남(陶南) 조윤제(趙潤濟)
3)`어 부 가 (漁 父 歌) `
본문내용
라고 한 것은 어부가가 중국의 사곡(詞曲)과 관련된 것임을 염두에 둔 것으로 여겨진다. 남인 가곡의 경우 ' 가'라고 했을 때는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노니는 유희적 경향이 있는 작품이라는 함의(含意)가 있다 볼 수 있으며, ' 곡'일 경우 ' 가'와는 달리 퇴계가 정의한 '언지(言志)', 즉 주리적(主理的) '성정미학(性情美學)`에 입각하여 창작된 작품일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남인가곡의 주류인 <도산십이곡>계의 작품이 철저하게 유가적(儒家的)인데 반해, <어부가>계 가곡은 노장적(老莊的)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산십이곡>이 유가적 미의식에 의해 창작된 작품이기 때문에 <도산십이곡>에 깔려있는 주제의식과 미의식을 철저하게 검토하면 남인가곡의 실상을 자연스럽게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과학사상][중국 과학사상][한국 과학사상][조선시대 과학사상][서재필][소태산 대종사]과학...
[A+]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비교 고려시대 생활상 외래문화영향 고기음식 김치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
한국 조선시대 조경 - 특징과 궁궐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및 사상적 배경 & 궁궐 정원 (...
현대의 새로운 미(美)의 해석과 조선시대의 미(美) - 기호소비 (영화 ‘미녀는 괴로워’의 줄거...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
[미용예술사] 화장의 기원, 시대별화장_단군신화부터 조선시대까지, 개화기부터 일제시대 이...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
[한국문학개론]조선시대 전기 악장, 시조 - 조선 전기 시대의 배경과 시조 및 악장의 이해
[조선시대 재정] 조선시대의 재무행정 - 세제, 재무기관, 재정의 문란
[조선시대행정조직체계] 조선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