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I. 이전적지의 특성 및 이용
1 >. 이전적지의 정의
1. 인구집중유발시설과 이전적지
2. 이전적지의 특성
2 >. 이전적지의 발생배경과 이용
1. 이전적지의 발생과 수도권 정책
2. 이전적지 현황
III. 이전적지의 공원화
1 >. 이전적지 공원화 현황
1. 이전적지 공원화 필요성
1 >. 이전적지의 정의
1. 인구집중유발시설과 이전적지
2. 이전적지의 특성
2 >. 이전적지의 발생배경과 이용
1. 이전적지의 발생과 수도권 정책
2. 이전적지 현황
III. 이전적지의 공원화
1 >. 이전적지 공원화 현황
1. 이전적지 공원화 필요성
본문내용
적 제 324호, 88.2.10) 29,217.8㎡
면적의 건물 4동 지정
-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 공원녹지관리사업소
12
용산 가족공원
1989 용산가족공원 발표
1991.5.30 미 8군
골프장 이전
1993 개원
용산구
용산 6가 168
용산 미 8군
297,000㎡
·서울 북한산에서 관악산을 잇는 남북축을 연결
·공원녹지관리사업소
13
용마자연 공원
1985 개원
1997 폭포공원 개장
중랑구
면목동 산 1-1
2,799,443㎡
건설자재사업소
- 골재채취를 위해 암석을 절취했던 지역
- 암석절개지를 폭포공원화
- 공원녹지관리사업소
14
훈련원 공원
1989.3.14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104호)
중구
을지로 5가 40-3
16,734㎡(5,062평)
헌법재판소
- 상업지역/주차장정비지구
- 미관지구/공원지구
- 우리나라 최초로 대규모 지하상가, 지하주 차장을 연계한 신개념의 공원(민자유치)
15
남산자연공원
- 횐현지구(수방사터)·남산골공원
- 예장지구(안기부터)
- 한남지구(외인주택터)·남산야외식물원
- 남산경관 회복
- 서울 정도 600주년 기념사업
- 남산제모습가꾸기 사업
16
영등포 공원
1997.1.20 철거작업시작
1997.5.6 공원결정
1998.7 개원
영등포구
여의도동 582-3
61,544㎡(18,617평)
영등포 OB공장
- 전시관, 문화마당, 벽천, 잔디마당, 야외 무대, 산책로
-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 공원녹지확충5개년계획
- 토지보상비:114,269,000,000
- 설계비:340,000,000
- 시설비:7,935,000,000
17
성수공원
1998.5 개원
성동구
성수동 2가 302-25
5,198㎡(1,572평)
삼익악기공장
- 준공업지역에 위치
- 산책로, 중앙광장, 화단, 간이농구장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No
공원
시설일자(계획일자
위치 및
종전기능
비고
2
경희궁
1620 慶德宮 창건
1760 慶熙宮 개칭
1910 총독부 이관
1962 근린공원지정
1985.6.19 근린공원지정
(건고 제 258호)
1986.5.8 개원
종로구 신문로
2가 2-1
100.930㎡(3.584평)
경희궁-서울고
- 문화재보존지역: 28,722㎡(28%),
-완충녹지지역:12,976㎡(13%),시민공원지역:59,232㎡(59 %)으로 나누어 조성
- 시립박물관, 미술관
- 시민공용공간조성
- 문화재보존과 시민이용공간의 완충기능을 부여
- 사적지보존의 측면에서 의의가 깊음
- 근린공원
3
원서공원
1983.12.23근린공원지정
(건고 제 423호)
종로구 원서 206-4
8,950㎡
휘문고
- 지하부는 현대주택문화관, 현대건설이 소유
- 지상부는 원서공원, 시 소유
- "현대원서공원" 표석설치
- 현대건설, 원인자부담(민자사업공원)
- 근린공원
4
수송공원
1984.5.28 어린이공원
지정(서고 제 317호)
종로구 수송 85
3,521㎡
숙명여구, 중동고
- 연합통신 외 1, 원인자부담(민자사업공원)
- 사업비: 66,900,000
- 어린이공원
5
배재공원
1984.5.28 어린이공원
지정(서고 제 319호)
중구 정동 34-27
2,877㎡
배재고
- 코오롱건설, 원인자부담(민자사업공원)
- 사업비:180,000,000
- 어린이공원
6
마로니에
공원
1986.3.11 근린공원지정
(서고 제 47호)
1984.5.10 마로니에공원
개원
종로구
동숭동 1-124
7,800㎡
서울대 문리대
- 시민이용으로인한 자연발생적 공원성격 큼
7
보라매
공원
1985.12.31 공원지정
1986.5. 개원
1986.6.16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265호)
동작구
신대방동 395
419,546㎡
공군사관학교
-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 공원녹지관리사업소
8
노량진
근린공원
1977.7.9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138호)
동작구 상도 7-55
364,772㎡
공군본부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9
문래공원
1985.5.27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361호)
문래3 60
24,.408㎡
국가시설이적지
10
손기정 공원
1918.5 학교법인 양정의 숙건립
1987.1 서울시 공원계획에 의거 양정의숙 부지교환매입
1987.9.18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479호)
1988.2 양정의숙 이전
1988.12∼90.12 공원
조성
중구 만리동
2가 6의 1
29,682,20㎡
양정중·고
- 4,800평 크기의 운동장은 청소년의 체육공간으로,
학교건물은 시립도서관, 독서실 등 복지시설로 이용, 강당은 구민회관으로 이용
- 양정중고교지기념비
- 근린공원 지정을 97년 체육공원으로 변경
No
공원
시설일자(계획일자)
위치 및
종전기능
비고
18
매화공원
1998.6 개원
강서구 등천동
630-14
1,980㎡(599평)
성진유리
- 인근에공장, 고층아파트 등이 있으며, 대기오염이 심한 곳
- 전통놀이마당, 팔각정, 잔디광장, 전통담장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 유리공장이 있던 곳의 특성을 살려 유리원석을
소재로 한 조형물
19
천호동 공원
1997. 1.25 공원시설결정
강동구
천호동 360
26,697㎡(8,076평)
파이롯트공장
- 잔디광장, 연못, 정자, 자연학습장, 체력단련시설
- 지구중심공원으로 조성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20
간데메 공원
1998. 7 개원
동대문구
답십리 471
15,180㎡(4,592평)
전매청창고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21
중마루
공원
1997.11 개원
영등포구
영등포동 2가 222
6,456㎡(1,956평)
영등포 시립병원
- 공구상 등이 밀집한 구 시가지
- 동사무소(영등포 2동)입지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22
광화문
시민
열린마당
1997.7 기본계획
1998.11 개원
종로구 세종로 76-2
8,938㎡(2,708평)
치안본부별관,
정부종합청사별관,
경기도청사
- 도심(CBD)지역으로 서울시 녹지축의
중심축선상에 위치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 주변 관광문화벨트와 연계구상
- 도시계획시설상 미관광장
자료 : 서울시 공원현황'98, 각 공원기본계획보고서, 『환경과 조경』, 해당공원 신문기사
면적의 건물 4동 지정
-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 공원녹지관리사업소
12
용산 가족공원
1989 용산가족공원 발표
1991.5.30 미 8군
골프장 이전
1993 개원
용산구
용산 6가 168
용산 미 8군
297,000㎡
·서울 북한산에서 관악산을 잇는 남북축을 연결
·공원녹지관리사업소
13
용마자연 공원
1985 개원
1997 폭포공원 개장
중랑구
면목동 산 1-1
2,799,443㎡
건설자재사업소
- 골재채취를 위해 암석을 절취했던 지역
- 암석절개지를 폭포공원화
- 공원녹지관리사업소
14
훈련원 공원
1989.3.14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104호)
중구
을지로 5가 40-3
16,734㎡(5,062평)
헌법재판소
- 상업지역/주차장정비지구
- 미관지구/공원지구
- 우리나라 최초로 대규모 지하상가, 지하주 차장을 연계한 신개념의 공원(민자유치)
15
남산자연공원
- 횐현지구(수방사터)·남산골공원
- 예장지구(안기부터)
- 한남지구(외인주택터)·남산야외식물원
- 남산경관 회복
- 서울 정도 600주년 기념사업
- 남산제모습가꾸기 사업
16
영등포 공원
1997.1.20 철거작업시작
1997.5.6 공원결정
1998.7 개원
영등포구
여의도동 582-3
61,544㎡(18,617평)
영등포 OB공장
- 전시관, 문화마당, 벽천, 잔디마당, 야외 무대, 산책로
-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 공원녹지확충5개년계획
- 토지보상비:114,269,000,000
- 설계비:340,000,000
- 시설비:7,935,000,000
17
성수공원
1998.5 개원
성동구
성수동 2가 302-25
5,198㎡(1,572평)
삼익악기공장
- 준공업지역에 위치
- 산책로, 중앙광장, 화단, 간이농구장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No
공원
시설일자(계획일자
위치 및
종전기능
비고
2
경희궁
1620 慶德宮 창건
1760 慶熙宮 개칭
1910 총독부 이관
1962 근린공원지정
1985.6.19 근린공원지정
(건고 제 258호)
1986.5.8 개원
종로구 신문로
2가 2-1
100.930㎡(3.584평)
경희궁-서울고
- 문화재보존지역: 28,722㎡(28%),
-완충녹지지역:12,976㎡(13%),시민공원지역:59,232㎡(59 %)으로 나누어 조성
- 시립박물관, 미술관
- 시민공용공간조성
- 문화재보존과 시민이용공간의 완충기능을 부여
- 사적지보존의 측면에서 의의가 깊음
- 근린공원
3
원서공원
1983.12.23근린공원지정
(건고 제 423호)
종로구 원서 206-4
8,950㎡
휘문고
- 지하부는 현대주택문화관, 현대건설이 소유
- 지상부는 원서공원, 시 소유
- "현대원서공원" 표석설치
- 현대건설, 원인자부담(민자사업공원)
- 근린공원
4
수송공원
1984.5.28 어린이공원
지정(서고 제 317호)
종로구 수송 85
3,521㎡
숙명여구, 중동고
- 연합통신 외 1, 원인자부담(민자사업공원)
- 사업비: 66,900,000
- 어린이공원
5
배재공원
1984.5.28 어린이공원
지정(서고 제 319호)
중구 정동 34-27
2,877㎡
배재고
- 코오롱건설, 원인자부담(민자사업공원)
- 사업비:180,000,000
- 어린이공원
6
마로니에
공원
1986.3.11 근린공원지정
(서고 제 47호)
1984.5.10 마로니에공원
개원
종로구
동숭동 1-124
7,800㎡
서울대 문리대
- 시민이용으로인한 자연발생적 공원성격 큼
7
보라매
공원
1985.12.31 공원지정
1986.5. 개원
1986.6.16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265호)
동작구
신대방동 395
419,546㎡
공군사관학교
-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 공원녹지관리사업소
8
노량진
근린공원
1977.7.9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138호)
동작구 상도 7-55
364,772㎡
공군본부
·지구중심적 근린공원(지구공원)역할
9
문래공원
1985.5.27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361호)
문래3 60
24,.408㎡
국가시설이적지
10
손기정 공원
1918.5 학교법인 양정의 숙건립
1987.1 서울시 공원계획에 의거 양정의숙 부지교환매입
1987.9.18 공원결정고시
(건고 제 479호)
1988.2 양정의숙 이전
1988.12∼90.12 공원
조성
중구 만리동
2가 6의 1
29,682,20㎡
양정중·고
- 4,800평 크기의 운동장은 청소년의 체육공간으로,
학교건물은 시립도서관, 독서실 등 복지시설로 이용, 강당은 구민회관으로 이용
- 양정중고교지기념비
- 근린공원 지정을 97년 체육공원으로 변경
No
공원
시설일자(계획일자)
위치 및
종전기능
비고
18
매화공원
1998.6 개원
강서구 등천동
630-14
1,980㎡(599평)
성진유리
- 인근에공장, 고층아파트 등이 있으며, 대기오염이 심한 곳
- 전통놀이마당, 팔각정, 잔디광장, 전통담장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 유리공장이 있던 곳의 특성을 살려 유리원석을
소재로 한 조형물
19
천호동 공원
1997. 1.25 공원시설결정
강동구
천호동 360
26,697㎡(8,076평)
파이롯트공장
- 잔디광장, 연못, 정자, 자연학습장, 체력단련시설
- 지구중심공원으로 조성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20
간데메 공원
1998. 7 개원
동대문구
답십리 471
15,180㎡(4,592평)
전매청창고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21
중마루
공원
1997.11 개원
영등포구
영등포동 2가 222
6,456㎡(1,956평)
영등포 시립병원
- 공구상 등이 밀집한 구 시가지
- 동사무소(영등포 2동)입지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22
광화문
시민
열린마당
1997.7 기본계획
1998.11 개원
종로구 세종로 76-2
8,938㎡(2,708평)
치안본부별관,
정부종합청사별관,
경기도청사
- 도심(CBD)지역으로 서울시 녹지축의
중심축선상에 위치
- 공원·녹지확충 5개년 사업
- 주변 관광문화벨트와 연계구상
- 도시계획시설상 미관광장
자료 : 서울시 공원현황'98, 각 공원기본계획보고서, 『환경과 조경』, 해당공원 신문기사
추천자료
국내의 기존 농산어촌의 개발 평가
노태우 경제 정책에 대하여...
동양의 축제와 풍습
신라밀레니엄파크
지속가능한 관광
교육평가-개방적지필평가-문제해결
TGIF부지 인허가 관계 등 기초조사, 입지분석, 수요분석, 사업아이템, 수익성분석
지하철 역사 내 쓰레기통 철거
폐기물 위생매립처분지의 선정 및 시설구성 및 시설별 장단점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지역관광론해남관광개발계획분해
[외교사절][외교관][외교][불가침권][치외법권]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 분석(외교사절의 기원...
[지역발전론] 국토 및 토지의 균형발전을 위한 차기정부 과제(비전 및 목표, 중점사업을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