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본
1. 조선왕조실록의 세계적 기록유산으로서의 의의
2. 위대한 유산, 조선왕조실록
3. 실록의 편찬과정
Ⅲ. 결
Ⅱ. 본
1. 조선왕조실록의 세계적 기록유산으로서의 의의
2. 위대한 유산, 조선왕조실록
3. 실록의 편찬과정
Ⅲ. 결
본문내용
조지서가 있었기 때문이다. 실록편찬에 관련된 일체의 자료를 세초했던 것은 이 자료들이 후일 누설되어 사단이 일어날까 우려해서였다.
Ⅲ. 結
조선왕조실록과 관련한 거의 모든 주요 사항을 갖추어져 있으며, 실록을 둘러싼 갖가지 에피소드가 포함되어 책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한국인이라면, 지성인으로 자처한다면, 한국에 관심있는 외국인이라면 읽을만한 책이다. 하지만, 더욱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것들에 대해서 표현력이 부족한 것 같고, 나중에 만화책이나, 동화책 형식으로 풀어가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대해 궁금하였던 것이 말끔히 들어나는 책이며, 우리 역사와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일깨워주는 그런 책인 것 같다.
서평자료 :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동방미디어, 1999)
Ⅲ. 結
조선왕조실록과 관련한 거의 모든 주요 사항을 갖추어져 있으며, 실록을 둘러싼 갖가지 에피소드가 포함되어 책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한국인이라면, 지성인으로 자처한다면, 한국에 관심있는 외국인이라면 읽을만한 책이다. 하지만, 더욱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것들에 대해서 표현력이 부족한 것 같고, 나중에 만화책이나, 동화책 형식으로 풀어가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대해 궁금하였던 것이 말끔히 들어나는 책이며, 우리 역사와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일깨워주는 그런 책인 것 같다.
서평자료 :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동방미디어,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