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존재와(속성) 삼위일체 교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목: 하나님의 존재(속성)와 삼위일체교리

가.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나. 하나님의 속성을 결정하는 방법
다. 속성들의 분류

1. 비공유적 속성(非共有的 屬性)-(절대존재로서의 하나님)
1)하나님의 자존성
2)하나님의 불변성
3)하나님의 무한성
4)하나님의 단일성

2. 공유적 속성(共有的 屬性)
1)하나님의 영원성
2)하나님의 지성적인 속성들
3)하나님의 도덕적인 속성들
4)하나님의 주권적인 속성들

3. 삼위 일체론
1)삼위일체론의 역사
2)삼위일체 유일신
3)삼위일체 각론

*한글97문서, 글씨크기: 10포인트
*제목 및 내용 글씨 크기 조정하면 10 페이지 이상됨.

본문내용

①모든 피조물들의 근원이신 삼위 일체하나님께 적용되고 있다.(고전8:6;엡 3:15;히12:9;약1:17) ②아버지라는 호칭을 또한 하나님이 그의 구약 백성인 이스라엘에 대하여 맺고 있는 신 정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삼위일체 하나님께 돌리고 있다(신32:6;사63:16;렘3:4;말1:6;2:10), ③신약에서 아버지라는 호칭은 윤리적인 의미에서 그의 모든 영적인 자녀의 아버지로서의 하나님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 되고 있다.(마5:45;6:6-15;롬8:16;요일3:1), ④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에서, 아버지라는 호칭이 삼위일체의 제 2위와 관련을 맺고 있는 제1위에 대하여 적용되고 있다.(요1:14,18;5:17-26;8:54;14:12,13).
이러한 아버지의 위격적 특성은 소극적으로 말하면 그가 태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며, 적극적으로 말하면 성자의 발생 및 성령의 파송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모든 외향적 사역은 삼위 일체 하나님의 사역들이지만, 이 사역들 중의 어떤 것들에서 성부는 분명히 전면에 계신다.
2. 성자 혹은 삼위일체의 제2위
⑴제2위에게 적용된 '성자'라는 칭호
형이상학적인 의미에서 이것은 예수그리스도가 중보자로서의 그의 지위와 사역에 관계없이 성경에서 분명하게 하나님의 아들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소지니주의자들과 유니테리안들은 삼위의 신성의 관념을 부인하고 예수님 을 단순한 사람으로 보며 또한 그에게 적용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단지 그에게 수여된 영예로운 칭호로만 간주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성경을 통해서 '성자'라는 칭호가 제2위의 하나님이심을 분명히 알 수 가 있다.(요1:14,18;갈4:4;요5:18-25;히1장;마6:9;7:21;요20:17)
메시야적인 의미에서 이 칭호는 메시야적 아들 됨의 입장으로부터 하나님은 아들의 하나님이라고 까지 불리며 (고후11:31;엡1:3)또한 때때로 주와 구별하여 하나님으로 언급되고 있다.(요17:3;고전8:6;엡4:5,6)
출생 적인 의미에서는 예수님은 그의 인성을 따라서 성령의 초자연적인 사역에 의해 출생하셨으며, 그러한 의미 에서 하나님의 아들이다. 이것은 분명히 (눅1:32,35)에 암시되어 있다.
⑵성자의 위격적 실존
성자의 위격적 실존은 하나님이 성경에서 인격적인 존재로 나타나듯이 만일 그가 하나님의 형상이라면 그도 역 시 인격적이어야 한다.
⑶성자의 영원한 발생
성자의 발생은 삼위일체의 제1위의 신적 존재 안에서, 자기 자신과 같은 제2위의 실존의 근거가 되며, 또한 그 제2위로 하여금 어떤 분할이나 분리 또는 변화가 없이 신적 본질을 전부 소유하게 하시는 영원하며 필연적인 행위이다.
⑷성자의 신성
성경은 성자의 신성을 명백히 증거하고 있다.(요1:1 ; 20:28 ; 롬9:5 ; 빌2:6 ; 딛2:16 ; 요일5:20). 이러한 성자의 신성이 초대교회 시대에 에비온파와 알로기파 그리고 역동적인 단일신론자들과 아리우스주의자들에 의 하여 부인되었다. 또한 소지니주의 자들이나, 독일의 일부신학자인 슐라이에르마허나 리츨 그리고 유니테리안 파나 오늘날의 현대주의자들이나 인본주의 자들에 의해서 예수님은 단지 사람에 불과하다고 주장되기도 하였다.
⑸삼위일체에서의 성자의 위치
성자는 외향적 사역에서 두 번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 성령 혹은 삼위일체의 제3위
제3위에 적용된 호칭에 대하여 구약은 하나님을 반복적으로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자'(시71:22;89:18;사 10:20)로 부르고 있는 반면, 신약은 '거룩하신'이라는 형용사를 거의 하나님께 붙이지 않고 종종 성령을 특 징 짓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특별히 성령과 그의 성화 사역 안에서 자신을 거룩하신 자로 계시하셨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성령의 인격성은 초대 교회에서 단일신론 자들과 성령 파들에 의해서 부인되었다. 또한 종교개혁시대에는 소지 니주의자들과 슐라이에르마허, 리츨, 유니테리안파들에 의해서 그리고 오늘날에는 현대주의 자들과 사벨리우스 주의자들에 의해서 성령의 인격성이 거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성경을 통해서(요14:26;16:7-11;롬8:26) 성령의 인격성을 분명하게 증거할 수 있다.
성령님의 신성은 성자의 신성과 관련되어 채택된 증명과 아주 비슷한 방식으로 성경으로부터 입증될 수 있다.
성령님의 사역은 첫째, 중보적인 사역을 위하여 그리스도를 준비시키고 자격을 부여하신다. 둘째, 성경의 영감 을 주신다. 셋째, 교회의 형성과 확장 사역을 행하신다. 넷째, 교회를 가르치시고 인도하신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2.15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