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GENDA
2. 어떤 고객이 이익을 주는가
3. CRM은 전사적 추진이 필요
4. 고객과의 접촉에 사용돼야
5. CRM이란 무엇인가
6. 마케팅 방식의 시대별 변화
7. 왜 CRM인가
8. DB마케팅에서 CRM으로
9 누구, 무엇을 위한 마케팅인가?
10. CRM의 전제조건
2. 어떤 고객이 이익을 주는가
3. CRM은 전사적 추진이 필요
4. 고객과의 접촉에 사용돼야
5. CRM이란 무엇인가
6. 마케팅 방식의 시대별 변화
7. 왜 CRM인가
8. DB마케팅에서 CRM으로
9 누구, 무엇을 위한 마케팅인가?
10. CRM의 전제조건
본문내용
및 수익성이 높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Up-Sell 등 1:1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 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고객을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어느 고객이 우리 기업에게 가장 가치 있는 고객인가? 어떤 고객이 다른 회사로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고객인가? 연계판매가 가능한 대상 고객은 누구인가? 등의 관점에서 기존 고객을 분류하고, 분류된 고객별로 차별적인 마케팅 전략을 집행하기 위해서 고객과의 다양한 접점(contact point)을 활용하며, 고객의 반응 결과를 다시 피드백을 통해 보다 향상된 고객관계 관리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고객획득보다는 고객유지에 중점을 둔다. 마케팅활동의 초기에는 더 많은 고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심지어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고객들에게는 다양한 상품 및 할인정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바뀌고 있다. 한 사람의 우수한 고객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며, 이러한 우수한 고객을 유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Mass Marketing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고객들을 획득하기 보다는 검증된 한명의 우수한 고객이 기업에게는 훨씬 더 도움이 되는 것이다.
셋째, 제품판매보다는 고객관계(Customer Relationship)에 중점을 둔다. 기존 마케팅방향은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량생산한 제품을 대량유통시키고, 대량 촉진(Promotion)을 해왔다. 이는 고객중심이라기 보다는 기업의 입장에서 제품을 생산한 것이다. 반면 CRM은 고객에 입장을 맞추는 것이다. 고객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만들고, 고객의 관계에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그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CRM의 전략적 방향은 기업의 성공을 제공한다.
10. CRM의 전제조건
전략적인 CRM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여러가지 의견과 대안이 도출될 수 있으나 최근 CRM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기업들은 다음 세가지로 CRM을 이해하고 있다.
첫째, 고객 통합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고객, 상품, 거래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웨어하우즈 관점에 기초하여 통합한다. 즉, CRM을 위해서는 고객과 관련된 전사적인 정보의 공유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고객이 생각하고 표현하는 말 한마디 한마디를 사내 정보망을 통해 공유하고, 이러한 정보가 충분히 분석된다면 향후 고객에 대한 마케팅을 실시할때 고객에 대해 훨씬 더 다양하고 의미있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고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 도구가 준비되어야 한다. 구축된 고객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마이닝 작업을 통해 고객의 특성을 분석한다. 널리 알려진 RFM(recency, frequency, monetary) 분석 방식이나 LTV(Life Time Value) 분석과는 달리 데이터 마이닝 작업은 고객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형을 구축하는 것(predictive behavioral modeling)으로 신경망(Neural Network)과 같은 다양한 분석 모형을 활용하게 된다.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별화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마케팅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큰 지렛대 효과를 한다.
셋째, 마케팅 활동을 대비하기 위한 캠페인 관리용 도구가 필요하다. 분류된 고객 개개인에 대한 특성을 바탕으로 해당 고객에 대한 적절한 캠페인 전략을 지원, 관리하는 도구가 애플리케이션, OLAP, Web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관련 부서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둘째, 고객획득보다는 고객유지에 중점을 둔다. 마케팅활동의 초기에는 더 많은 고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심지어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고객들에게는 다양한 상품 및 할인정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바뀌고 있다. 한 사람의 우수한 고객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며, 이러한 우수한 고객을 유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Mass Marketing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고객들을 획득하기 보다는 검증된 한명의 우수한 고객이 기업에게는 훨씬 더 도움이 되는 것이다.
셋째, 제품판매보다는 고객관계(Customer Relationship)에 중점을 둔다. 기존 마케팅방향은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량생산한 제품을 대량유통시키고, 대량 촉진(Promotion)을 해왔다. 이는 고객중심이라기 보다는 기업의 입장에서 제품을 생산한 것이다. 반면 CRM은 고객에 입장을 맞추는 것이다. 고객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만들고, 고객의 관계에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그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CRM의 전략적 방향은 기업의 성공을 제공한다.
10. CRM의 전제조건
전략적인 CRM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여러가지 의견과 대안이 도출될 수 있으나 최근 CRM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기업들은 다음 세가지로 CRM을 이해하고 있다.
첫째, 고객 통합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고객, 상품, 거래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웨어하우즈 관점에 기초하여 통합한다. 즉, CRM을 위해서는 고객과 관련된 전사적인 정보의 공유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고객이 생각하고 표현하는 말 한마디 한마디를 사내 정보망을 통해 공유하고, 이러한 정보가 충분히 분석된다면 향후 고객에 대한 마케팅을 실시할때 고객에 대해 훨씬 더 다양하고 의미있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고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 도구가 준비되어야 한다. 구축된 고객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마이닝 작업을 통해 고객의 특성을 분석한다. 널리 알려진 RFM(recency, frequency, monetary) 분석 방식이나 LTV(Life Time Value) 분석과는 달리 데이터 마이닝 작업은 고객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형을 구축하는 것(predictive behavioral modeling)으로 신경망(Neural Network)과 같은 다양한 분석 모형을 활용하게 된다.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별화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마케팅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큰 지렛대 효과를 한다.
셋째, 마케팅 활동을 대비하기 위한 캠페인 관리용 도구가 필요하다. 분류된 고객 개개인에 대한 특성을 바탕으로 해당 고객에 대한 적절한 캠페인 전략을 지원, 관리하는 도구가 애플리케이션, OLAP, Web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관련 부서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 CRM사례 SK Telecom CRM Solution
[성공적인 CRM(고객관계관리)]사례를 통해 살펴 본 CRM의 이해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객관계관리(CRM)]CRM에서의 고객 세분화를 통한 이탈방지 마케팅 전략
[고객관계관리]CRM사례분석_LG CNS를 통해 살펴본 CRM 전략
[고객관계관리]CRM의 개념과 방법, CRM의 성공사례, 실패사례, 문제점, 개선방안 레포트
CRM (파워포인트)
e-CRM과 e-SCM
[기업정보시스템][CRM]기업정보시스템의 마케팅정보시스템, 기업정보시스템의 인사정보시스템...
[백화점][백화점 현황][백화점 CRM][백화점 고객관계관리]백화점의 분류, 백화점의 양극화, ...
[기업][기업 이윤추구][기업 CRM][기업 고객관계관리][기업 출자][고객관계]기업의 의미, 기...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SPC Happy Point Network_SPC,CRM,SPC사례,CRM사례
[기업][고객][기업 고객의미][기업 고객만족][기업 고객관계관리][CRM][기업 고객충성도][고...
CRM에서의 고객 세분화를 통한 이탈방지 마케팅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