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틸리히의 죄 개념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2

II. 죄관 형성 배경 ......................................... 4
A. 낭만주의 .............................................. 6
B. 실존주의 .............................................. 10
C. 플라톤 철학 ........................................... 15

III. 죄 개념 ............................................... 20
A. 원 죄 ............................................... 20
1. 원죄의 정의 ....................................... 20
2. 원죄의 전가 ....................................... 30
B. 소 외 ............................................... 32

IV. 죄의 현상 .............................................. 46
A. 유한성과 불안 ......................................... 46
B. 소외의 형태 ........................................... 52
1. 운명과 죽음에 대한 불안 ........................... 53
2. 허무와 무의미성에 대한 불안 ....................... 55
3. 죄책과 정죄에 대한 불안 ........................... 57
C. 절망의 형태와 상징 .................................... 58
1. 절망의 형태 ....................................... 59
2. 절망의 상징 ....................................... 62

V. 결 론 ................................................. 64

* 참 고 문 헌 .............................................. 67

본문내용

된다. 성서의 모든 것을 상징으로 해석할때 야기되어지는 역사성의 문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 마지막으로 덧붙인다면 높이의 하나님에서 깊이의 하나님으로 깊은 통찰을 추구하는 틸리히의 학문을 보면서 우리의 신학자들은 깊이 연구하되, 많은 사람들에게는 인격적인 복음의 메세지로 쉽게 전달 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틸리히가 연구한 하나님이 존재자체라고 할지라도 인간의 구원에 관계하고, 인간과 함께 하시는 한에는 인격적으로 반드시 역사하셔야 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기에 소외의 측면의 죄도 중요하지만 인격적, 도덕적 측면의 죄 또한 그 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1. 1차 문헌
Tillich, Paul.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Ed. Carl E. Braaten. New York : A touchstone Book, 1968
_____________. On the Boundary. New York : Charles Ssribner's Sons, 1966.
_____________. Perspectives on 19th and 20th Century Protestant theology. Now York : Harper and Row, 1967.
_____________. Protestant Era.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1.
_____________. Systematic Theology. Vol I.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1.
_____________. Systematic Theology. Vol II.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_____________. Systematic Theology. Vol III.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_____________. The Courage to be.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1955.
_____________. The Dynamics of Faith. New York : Haper and Rows, 1957.
_____________. The New Being. New York : Charles Scribner's Sons, 1955.
_____________. The Shaking of Foundation. New York : Charles Scribner's Sons, 1948.
_____________. Theology of Cultur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_____________.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9.
_____________. 「궁극적 관심」 D. M. 브라운 편, 이계준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6.
2. 2차 문헌
Berkhof, Louis. 「기독교 신학개론」 신복윤역, 서울 : 은성문화사, 1980.
Conford, Francis M. Plato's Theory of Knowledge. Indiaba : The Bobbs - Merill Company, 1957.
Johnson, Robert C. 「현대 신학자 20인」 유석종 역, 서울 : 기독교서회, 1970.
Kelly, J. N. D. 「고대기독교 교리사」 김광식 역, 서울 : 맥밀란, 1988.
Kenneth, Hamilton. Prul Tillich Tr. 옥한흠, 서울 : 한국 개혁주의 협회, 1987.
Kierdegaard, S. 「불안의 개념」 강성원 역, 서울 : 동서 문화사, 1978.
______________. 「죽음에 이르는 병」 손재춘 역, 서울 : 삼성 출판사, 1978.
Mikelson, Thomas J. S. The Thought of Paul Tillich. San Francisco : Harper and Row, 1985.
Neve, J. L. and Heick, O. W. 「기독교 신학사」 서남동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4.
Neve, J. L. 「기독교 교리사」 서남동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7.
Ott, Heinrich. 「신학해제」 김광식 역,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2.
Thatcher, Adrian. The Ontology of Prul Tillich.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Thomas, George F. The Method and Structure of Tillich's Theology. Ed. Charles W. Kegley and Robert W. Bretall, New York : The Macmillan Company, 1961.
Wiley, H. O. Temptation. London : SCM Press, 1961.
김 경 재, 「폴 틸리히의 신학연구」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
________, 「폴 틸리히의 생애와 사상」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6.
김 균 진, 「헤겔과 바르트」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9.
루이스 뻘콥, 「기독교 신학개론」 신복윤 역, 서울 : 은성 문화사, 1980.
송 기 득, 「인간」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7.
이 장 식, 「기독교 사상사」 서울 : 기독교서회, 1964.
정 문 길, 「소외론 연구」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80.
황 승 룡, 「폴 틸리히의 그리스도론」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8.
3. 학위논문
강 기 현. 폴 틸리히의 죄개념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서울 감신 대학원
김 중 기. 폴 틸리히의 인간이해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대학원, 1964.
방 성 규. 폴 틸리히의 철학적 신학에 있어서 존재론에 대한 연구 신학석사 학위논문, 연세대 연합신학 대학원, 1968.
심 민 수. 쇠렌 키에르케고르의 신앙론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 교육대학원, 1986.

키워드

폴틸리히,   ,   개념
  • 가격3,000
  • 페이지수62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