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역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이끔말

몸 말
1.독립 이스라엘인에서 식민지 백성으로의 변화
2. 고난받는 민족의 희망
3. 포로민의 귀환과 성전의 재건
4. 에즈라, 느헤미야의 개혁

나가는말

본문내용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렇게 해서 유대인들의 외적인 삶은 다른 사람들과 뚜렷이 구분되는 명확하고 동질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본인과 직결되는' 하느님과의 계약의 표지에 해당하는 할례와 엄격한 안식일 준수, 음식과 관계되는 다양한 법률과 규정들은 하나같이 경건한 유대인을 하느님 백성의 일원으로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강화하기에 이르렀다. 새로운 종류의 신심도 출현했고, 계약법의 위반이 결과적으로 기원전 587년의 대재난을 불러왔다는 사실을 알기에, 계약법 준수에 대한 열정은 새롭게 피어나기 시작했다.
) '구약은 끝났는가', 앤터니 R. 체레스코, 바오로 딸.
이러한 배경으로 '율법서와 예언서'는 유대생활의 기반을 형성했고 유대인은 점차 '경전의 민족'으로 굳어져 갔다.
나가는말
이스라엘 민족은 야훼하느님께 대한 그들 민족 고유의 신앙으로 많은 고난을 헤쳐왔다. 그러나 북이스라엘과 남유다의 분열로 그들은 각기 다른 길을 걸어야 했고 이로 인해 외세에 대한 더욱 많은 침략과 고난을 겪어야만 했다. 그러나 그들에게 일어났던 일련의 고난의 과정은 그들이 하느님을 배반했던 일련의 과정으로 말미암은 즉, 그들이 겪고 느끼고 생각했던 대로 그들의 죄로 인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그들의 고난의 과정은 다만 고난으로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역사를 읽어나가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사랑은 죄로 말미암은 곳에서 비로소 진정 꽃을 피움을 깨닫게 해주며, 그토록 비참하게 고통 속에서 살아갔던 유대인들의 삶 안에서조차도 하느님의 저버림 없는 끊임없는 사랑이 전해지는 것을 그들의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역시 하느님께 대한 우리들의 희망을 죄로 인해 포기할 것이 아니라 지금 나의, 우리의 죄 안에서조차도 하느님께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베풀고 계심을 깨닫고, 이스라엘의 역사를 통해서 분명 보여 주셨듯이 모든 것을 허물게도 하시고 다시금 생겨나게도 하시는 분의 능력을 깨달으며 고백하고, 우리의 일상적인 죄로부터 벗어나 그분께로 돌아감을 노력해야 한다. 끝으로 '게하르드 본 라드'의 말을 인용하며 이 글을 마칠까 한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야훼의 활동을 마음속에 회상하고 역사적인 문헌으로 간직하기 위하여 그침없이 펜을 잡았을 뿐만 아니라 온전히 인격적인 방법으로도 야훼께 나아갔다. 이스라엘은 하느님께 찬미를 바치고 의문을 제기하며 자기가 당하는 모든 고통에 대하여 하느님께 불평을 늘어놓았다. 이것은 야훼께서 당신 백성에게 역사 안에 깃든 당신의 뜻을 보이기만 하는 벙어리로서가 아니라 당신과 대화를 나누는 대상으로 선택했음을 보여준다.'
) Gerhard von Rad, Theology, Ⅰ [131], p.354.
이것은 지금 우리에게도 그러하며 그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참고문헌
'함께 읽는 구약 성서' 한국신학연구소 성서교재위원회, 한국신학연구소.
'구약성서의 이해 Ⅱ,Ⅲ' B.W.앤더슨, 성바오로 출판사.
'이스라엘의 역사' A.H.J.군네벡, 한국신학연구소.
'구약은 끝났는가' 앤터니 R. 체레스코, 바오로 딸.
이스라엘의 分裂 그리고 滅亡과 再建運動
-歷史的 背景과 豫言者들의 活動을 中心으로
과 목: 舊約歷史書
담당교수: 정인준신부님
학 번: 0930064
성 명: 秋奉勳 베드로
차 례
이끔말.........................................................1몸 말.......................................................... 1
1.독립 이스라엘인에서 식민지 백성으로의 변화
1) 이스라엘의 간략한 역사적 개관
2) 식민지 유다인들의 모습
(가) 본토에 남은 자들............................................2
(나) 포로민 공동체(바빌론의 유대인들).....................................4
(다) 흩어진 유다인 공동체들(Diaspora).....................................5
3) 야훼신앙의 위기에 대한 대응............................................6
2. 고난받는 민족의 희망
1) 식민지 시대 이스라엘의 희망
2) 마른 뼈들의 환생.......................................................7
(가) 예언자 에제키엘
(나) 마른 뼈들의 환생
3) 고난받는 야훼의 종.....................................................8
(가) 예언자 제2이사야
(나) 고난받는 야훼의 종
4) 두 가지의 길...........................................................9
3. 포로민의 귀환과 성전의 재건............................................10
1) 페르시아의 등장과 이스라엘 민족
2) 포로민의 귀환과 성전재건..............................................11 3) 좌절된 민중의 꿈......................................................14 4. 에즈라, 느헤미야의 개혁.................................................15 1) 에즈라, 느헤미야의 개혁이 있기까지
2) 에즈라, 느헤미야의 개혁사업
(가) 느헤미야의 개혁....................................................16 (나) 에즈라의 개혁......................................................17 3) 에즈라, 느헤미야 개혁의 의의..........................................18나가는말...............................................................19참고문헌.................................................................20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3.01.2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