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2. 본 론
본문내용
이미 때는 늦게 된다. 하지만 그녀의 아름다움을 본 루돌프라는 플레이보이(?)가 한눈에 반하게 되고 그녀를 자신의 여자로 만드려고 그녀에게 접근을 하게 된다. 온갖 아름다운 말들로 그녀를 사로잡게 되고 그녀는 그에게 몸을 허락하게 된다. 그녀는 현실의 비참함(?)을 저주하고 그와의 새로운 아름다움을 꿈꾸게 된다. 루돌프를 너무나 사랑하게 된 그녀는 그와 함께 힘들기만 한 현실을 떠나고자 하지만 루돌프는 자신이 자기고 있는 모든 것, 즉 자신을 현실을 외면하면서까지 그녀를 소유하려 하지는 않았다. 그녀와 함께 떠나기로 한 날 루돌프는 오지 않았고 그는 마을을 떠난다. 그녀를 버린 것이다. 그녀는 이제 다시 꿈을 가질 수가 없었고 남편에게 충실코자 하지만 남편은 절름발이의 수술에 실패를 하게 되고 에마는 또 남편에게 실망을 하게 된다. 그녀가 행복하기를 바랬던 남편은 그녀를 위해 근처 도시로 오페라를 보거가고 그곳에서 다시 레옹을 만나게 된다. 그녀는 다시 옛날 자신이 느꼈던 사랑을 떠올리고 그역시 다시 그녀를 놓치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피아노 레슨을 빙자해서 주말마다 만나게 되고 그녀는 다시 꿈을 꾸게 된다. 하지만 그런 꿈들을 현실이 가만 두지는 않게 된다. 많은 빚에 몰렸던 그녀는 이런 데이트를 위해서 많은 돈을 쓰게 된다. 그리고 남편의 생활은 점점 어려워만 가게 된다.
그녀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청년에게나 루돌프에게 부탁을 하지만 그들은 한결같이 외면을 하게 된다. 그녀는 이제 자신이 꿈꾸었던 아름다움의 끝을 알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 그녀는 남편에게 미안한 마음을 느끼게 되고 자신의 목숨을 끊음으로서 이 괴롭기만 한 현실에 안주하지 않게 된다. 이야기의 끝은 여기가 아니다. 남편 샤를은 아무것도 모른체 그녀의 죽음을 슬퍼했고 그녀를 사랑하는 나약하고 무능력하지만 순진했던 그의 사랑역시 루돌프와 교류했던 편지들을 읽고 모든 사실을 알게 되면서 깨어지고 만다. 그 역시 자기가 이제껏 가졌던 행복을 모두 잃은 체 죽음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괴롭게 죽어간 그들의 딸에게 할머니에게 가는 차비정도만 남긴체 말이다........
라. 보바리부인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들에 관하여...
1. 시대적 상화에 기인한 관점들
1 과학적측면에서 19세기는 놀라운 비약을 나타낸다. 그것이 문학에 사실주의라는 형태로 표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다는 지극히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이 이당시 사람들의 사고였고 그것
을 반영하는 것이다.
2 정치적 변혁기라 할 수 있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나면서 많은 작가들의 현실참여가 두드러진게 또 19세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작품에서도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작가 나름대로의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부르조아 계층의 성장을 나타내주는 많은 표현들이 나와있는데 기존의
관료주의적이고 왕 위주의 부패함을 작은 마을의 공진회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3 그전의 낭만주의에 대한 비판도 있을 수 있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본다. 보바리부인의 몽환적임과 샤를
의 이성적인 사고방식의 비교또한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이다.
2. 보바리 부인의 주제가 주는 오늘날과의 공통점
얼마전 TV에서 본 애인이라는 드라마가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킨 적이 있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Masterpiece란 언제 읽어도 긍정할 수 있는 공감대를 제공하는 매력을 가진다. 애인을 보면서 보바리부인과 비교를 해보았다.
보바리부인은 지금도 일어날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 (그런니까 평범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의 독자들에게도 감흥을 줄 수 있다. 작가가 주는 교훈은 오늘날 우리가 가지는 생각과 다를 것이 없다. 누구나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다.
3. 사실주의적 묘사란 무엇인가?
- 낭만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인 사실주의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 사실주의의 어원 : 사물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레스에서 나온말이기 때문에 굳이 말하자면 사물주의가 될
것이다.
- 사실주의의 의미 : 인간의 내부만을 노래하는 이른바 서정시의 수법을 따라 인간의 움직이는 사물의 힘, 인간을
지배하는 외부의 환경, 그리고 그것들과 싸우는 인간의 모습을 분명히 묘사해낸다는데 리얼리
즘의 본래의 뜻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낭만주의와의 비교 : 낭만주의가 고전주의의 분석에 대한 감성과 상상력의 반항이라고 한다면 사실주의는 낭만
주의의 감성과 상상에 대한 과학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 사실주의의 등장 : 1857년에 \'레알리슴\'이라는 논문집이 나와 문학은 \'진지함과 동시에 과연 그렇다 하고 납득시
키지 않으면 안되고 풍자적임과 동시에 잔인해야 하며 성실함과 동시에 시(詩)로 차 있는 것
이 아니면 안된다\'라고 주장하게 된다. 그리고 문학이 그러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
로의 노출된 그대로의 진실\'을 묘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한다. 문학자는 자기가 우연히 놓
여진 환경(현실적 측면)에 눈을 돌려 그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자기의 주관을 섞는 일이 없이
객관적으로 자세히 묘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 보바리부인 : 사실주의 대표적 작품인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은 사실주의의 모든 것을 한눈에 압축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간결한 문체로 표현된 사실적인 장면묘사, 특히 주인공의 심리묘사는 한마디로 빼
놓을 수 없을 만큼의 완벽함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보바리부인은 나다\'라고 작가 플로베르는 말했다고 한다. 작가는 등장인물을 통하여 사실이 관찰
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그려진 세계는 안으로 조명되고 있다. 그 배후에서 작가는 등장인물을
움직이는 것이다. 앞에서의 작가의 말은 그러한 사정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표현일 것이다.
[ 참고서적 ]
보바리 부인 : 플로베르/박동혁 옮김, 하서, 1994. 8. 2
40명의 프랑스 작가들 : 바꺼르,반스/이규식 옮김, 문경, 1996. 2. 26
참고서적 : 새로운 프랑스 문학사 (일조각, 1995)
참고서적 : 프랑스문학 (연세대학출판부, 1981)
프랑스사실주의문학론 (신아사 ,1984)
그들은 피아노 레슨을 빙자해서 주말마다 만나게 되고 그녀는 다시 꿈을 꾸게 된다. 하지만 그런 꿈들을 현실이 가만 두지는 않게 된다. 많은 빚에 몰렸던 그녀는 이런 데이트를 위해서 많은 돈을 쓰게 된다. 그리고 남편의 생활은 점점 어려워만 가게 된다.
그녀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청년에게나 루돌프에게 부탁을 하지만 그들은 한결같이 외면을 하게 된다. 그녀는 이제 자신이 꿈꾸었던 아름다움의 끝을 알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 그녀는 남편에게 미안한 마음을 느끼게 되고 자신의 목숨을 끊음으로서 이 괴롭기만 한 현실에 안주하지 않게 된다. 이야기의 끝은 여기가 아니다. 남편 샤를은 아무것도 모른체 그녀의 죽음을 슬퍼했고 그녀를 사랑하는 나약하고 무능력하지만 순진했던 그의 사랑역시 루돌프와 교류했던 편지들을 읽고 모든 사실을 알게 되면서 깨어지고 만다. 그 역시 자기가 이제껏 가졌던 행복을 모두 잃은 체 죽음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괴롭게 죽어간 그들의 딸에게 할머니에게 가는 차비정도만 남긴체 말이다........
라. 보바리부인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들에 관하여...
1. 시대적 상화에 기인한 관점들
1 과학적측면에서 19세기는 놀라운 비약을 나타낸다. 그것이 문학에 사실주의라는 형태로 표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다는 지극히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이 이당시 사람들의 사고였고 그것
을 반영하는 것이다.
2 정치적 변혁기라 할 수 있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나면서 많은 작가들의 현실참여가 두드러진게 또 19세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작품에서도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작가 나름대로의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부르조아 계층의 성장을 나타내주는 많은 표현들이 나와있는데 기존의
관료주의적이고 왕 위주의 부패함을 작은 마을의 공진회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3 그전의 낭만주의에 대한 비판도 있을 수 있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본다. 보바리부인의 몽환적임과 샤를
의 이성적인 사고방식의 비교또한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이다.
2. 보바리 부인의 주제가 주는 오늘날과의 공통점
얼마전 TV에서 본 애인이라는 드라마가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킨 적이 있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Masterpiece란 언제 읽어도 긍정할 수 있는 공감대를 제공하는 매력을 가진다. 애인을 보면서 보바리부인과 비교를 해보았다.
보바리부인은 지금도 일어날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 (그런니까 평범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의 독자들에게도 감흥을 줄 수 있다. 작가가 주는 교훈은 오늘날 우리가 가지는 생각과 다를 것이 없다. 누구나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다.
3. 사실주의적 묘사란 무엇인가?
- 낭만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인 사실주의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 사실주의의 어원 : 사물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레스에서 나온말이기 때문에 굳이 말하자면 사물주의가 될
것이다.
- 사실주의의 의미 : 인간의 내부만을 노래하는 이른바 서정시의 수법을 따라 인간의 움직이는 사물의 힘, 인간을
지배하는 외부의 환경, 그리고 그것들과 싸우는 인간의 모습을 분명히 묘사해낸다는데 리얼리
즘의 본래의 뜻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낭만주의와의 비교 : 낭만주의가 고전주의의 분석에 대한 감성과 상상력의 반항이라고 한다면 사실주의는 낭만
주의의 감성과 상상에 대한 과학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 사실주의의 등장 : 1857년에 \'레알리슴\'이라는 논문집이 나와 문학은 \'진지함과 동시에 과연 그렇다 하고 납득시
키지 않으면 안되고 풍자적임과 동시에 잔인해야 하며 성실함과 동시에 시(詩)로 차 있는 것
이 아니면 안된다\'라고 주장하게 된다. 그리고 문학이 그러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
로의 노출된 그대로의 진실\'을 묘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한다. 문학자는 자기가 우연히 놓
여진 환경(현실적 측면)에 눈을 돌려 그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자기의 주관을 섞는 일이 없이
객관적으로 자세히 묘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 보바리부인 : 사실주의 대표적 작품인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은 사실주의의 모든 것을 한눈에 압축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간결한 문체로 표현된 사실적인 장면묘사, 특히 주인공의 심리묘사는 한마디로 빼
놓을 수 없을 만큼의 완벽함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보바리부인은 나다\'라고 작가 플로베르는 말했다고 한다. 작가는 등장인물을 통하여 사실이 관찰
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그려진 세계는 안으로 조명되고 있다. 그 배후에서 작가는 등장인물을
움직이는 것이다. 앞에서의 작가의 말은 그러한 사정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표현일 것이다.
[ 참고서적 ]
보바리 부인 : 플로베르/박동혁 옮김, 하서, 1994. 8. 2
40명의 프랑스 작가들 : 바꺼르,반스/이규식 옮김, 문경, 1996. 2. 26
참고서적 : 새로운 프랑스 문학사 (일조각, 1995)
참고서적 : 프랑스문학 (연세대학출판부, 1981)
프랑스사실주의문학론 (신아사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