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논증의 오류`
(1) 힘에의 호소 또는 위협에의 호소
(2) 인신 공격의 오류
(3) 정황적 논증의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
(4) 무지로부터의 논증
(5)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
(6) 발생학적 오류
(7) 우물에 독약 치는 오류(원천 봉쇄의 오류)
(8) 연민(동정)에의 호소
(9) 군중 심리(대중, 다수)에의 호소
(10) 권위에의 호소
(11) 우연의 오류, 원칙 혼동의 오류
(12)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13) 인과적 오류(원인 오판의 오류, 거짓 원인의 오류)
(14)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순환 논증의 오류)
(15) 논점 일탈의 오류
(16) 복합 질문의 오류
(17) 흑백 사고의 오류
(18) 의도 확대의 오류
(19) 잘못된 유비 추론
(1) 힘에의 호소 또는 위협에의 호소
(2) 인신 공격의 오류
(3) 정황적 논증의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
(4) 무지로부터의 논증
(5)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
(6) 발생학적 오류
(7) 우물에 독약 치는 오류(원천 봉쇄의 오류)
(8) 연민(동정)에의 호소
(9) 군중 심리(대중, 다수)에의 호소
(10) 권위에의 호소
(11) 우연의 오류, 원칙 혼동의 오류
(12)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13) 인과적 오류(원인 오판의 오류, 거짓 원인의 오류)
(14)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순환 논증의 오류)
(15) 논점 일탈의 오류
(16) 복합 질문의 오류
(17) 흑백 사고의 오류
(18) 의도 확대의 오류
(19) 잘못된 유비 추론
본문내용
된다고 생 각해.
병철 : 현대판 고려장이야. 버림받은 노인들이 생겨나는 것은 경로효친의 정신이 점 점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16) 복합 질문의 오류
둘 이상의 질문을 동시에 하면서 하나의 질문에 대해서는 질문자의 생각대로 이끌어감으로써 생기는 오류.
예1) 검찰 : 당신 횡령한 돈으로 부동산을 사들였지요?
혐의자 : 아니요.
검찰 : 그러면 횡령한 것은 사실이군. 얼마나 횡령했소?
예2) 설문조사 할 때 "당신은 운동을 할 때 몇 시간 정도 합니까?"라고 질문을 하는 경우에도,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대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경우에 조사를 제대로 하려면, "당신은 운동을 합니까?"라는 질문을 먼저 던지고, "예"라고 대답한 사람에게만 "운동을 몇 시간 정도 합니까"라는 질문을 던져 대답하도록 해야 한다.
(17) 흑백 사고의 오류
양 극단의 가능성만 있고 다른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하는 오류를 말한다.
예1) 2+1체제로 인해 공고생들이 공장에서 노예처럼 착취를 당한다는 신문 보도에 대해, 정부 당국자의 말 : "그럼 왕자 대접 받길 원합니까?"
예2) 세상의 어리석은 일은 보고 웃어라. 그러면 그대는 후회할 것이다. 세상의 어리석은 일을 보고 울어라. 그래도 그대는 후회할 것이다. 세상의 어리석은 일을 보고 웃든 울든 간에, 그대는 세상의 일을 보고 웃거나 울거나 할 것이지만, 어느 쪽을 택해도 그대는 후회할 것이다.
정부 당국자의 말은 '노예 아니면 왕자'라는 전제을 깔고 있으며(예1), 울지도 않고 웃지도 않는 경우는 없는 것인가요?
(18) 의도 확대의 오류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의 본래 의도를 잘못 해석하거나 확대 해석하고 주장하는 오류를 말한다.
예1) 어느 날 한 비구니가 조주 선사를 찾아왔다. 그녀는 선사에게 우주에서 가장 근본적인 이치인 "비밀 중에 비밀"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했다. 이에 선사는 비구니를 가볍게 잡았다. 이렇게 손을 잡음으로써 선사는 "비밀 중에 비밀"이 바로 그녀 자신 속에 있음을 가르쳐 주고자 함이었다. 그러나 비구니는 선사의 행동이 뜻밖이었던지 놀라 말했다.
"아니 노스님께서도 아직 그런 마음이 있으신가요?"
이미 해탈하신 줄 알았는데 여자 손을 잡아보고 싶은 그런 마음이 있느냐는 질문이었다.
예2) 선생님 : 자네는 왜 보충 수업을 희망하지 않았는가?
학 생 : 저는 늦게까지 학교에서 통제받으며 수업하는 것보다 자유롭게 제가 하 고 싶은 공부를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 그럼 자네는 대학 진학을 포기했다는 것인가?
(19) 잘못된 유비 추론
어떤 사태를 그것과 유사한 사태에 비유하여 설명하거나 정당화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유사성이 별로 크지 않을 때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오류를 범하게 된다.
예1) 동물들은 자기와 같은 종류의 동물들하고만 생활한다. 늑대가 양과 섞일 리가 없고 하이애나가 개와 섞일 수가 있을까. 부자와 가난뱅이도 마찬가지이다.
늑대와 양처럼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동물들의 관계는 인간들의 관계와는 분명 다르지 않을까?
병철 : 현대판 고려장이야. 버림받은 노인들이 생겨나는 것은 경로효친의 정신이 점 점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16) 복합 질문의 오류
둘 이상의 질문을 동시에 하면서 하나의 질문에 대해서는 질문자의 생각대로 이끌어감으로써 생기는 오류.
예1) 검찰 : 당신 횡령한 돈으로 부동산을 사들였지요?
혐의자 : 아니요.
검찰 : 그러면 횡령한 것은 사실이군. 얼마나 횡령했소?
예2) 설문조사 할 때 "당신은 운동을 할 때 몇 시간 정도 합니까?"라고 질문을 하는 경우에도,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대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경우에 조사를 제대로 하려면, "당신은 운동을 합니까?"라는 질문을 먼저 던지고, "예"라고 대답한 사람에게만 "운동을 몇 시간 정도 합니까"라는 질문을 던져 대답하도록 해야 한다.
(17) 흑백 사고의 오류
양 극단의 가능성만 있고 다른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하는 오류를 말한다.
예1) 2+1체제로 인해 공고생들이 공장에서 노예처럼 착취를 당한다는 신문 보도에 대해, 정부 당국자의 말 : "그럼 왕자 대접 받길 원합니까?"
예2) 세상의 어리석은 일은 보고 웃어라. 그러면 그대는 후회할 것이다. 세상의 어리석은 일을 보고 울어라. 그래도 그대는 후회할 것이다. 세상의 어리석은 일을 보고 웃든 울든 간에, 그대는 세상의 일을 보고 웃거나 울거나 할 것이지만, 어느 쪽을 택해도 그대는 후회할 것이다.
정부 당국자의 말은 '노예 아니면 왕자'라는 전제을 깔고 있으며(예1), 울지도 않고 웃지도 않는 경우는 없는 것인가요?
(18) 의도 확대의 오류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의 본래 의도를 잘못 해석하거나 확대 해석하고 주장하는 오류를 말한다.
예1) 어느 날 한 비구니가 조주 선사를 찾아왔다. 그녀는 선사에게 우주에서 가장 근본적인 이치인 "비밀 중에 비밀"을 가르쳐 달라고 간청했다. 이에 선사는 비구니를 가볍게 잡았다. 이렇게 손을 잡음으로써 선사는 "비밀 중에 비밀"이 바로 그녀 자신 속에 있음을 가르쳐 주고자 함이었다. 그러나 비구니는 선사의 행동이 뜻밖이었던지 놀라 말했다.
"아니 노스님께서도 아직 그런 마음이 있으신가요?"
이미 해탈하신 줄 알았는데 여자 손을 잡아보고 싶은 그런 마음이 있느냐는 질문이었다.
예2) 선생님 : 자네는 왜 보충 수업을 희망하지 않았는가?
학 생 : 저는 늦게까지 학교에서 통제받으며 수업하는 것보다 자유롭게 제가 하 고 싶은 공부를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 그럼 자네는 대학 진학을 포기했다는 것인가?
(19) 잘못된 유비 추론
어떤 사태를 그것과 유사한 사태에 비유하여 설명하거나 정당화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유사성이 별로 크지 않을 때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오류를 범하게 된다.
예1) 동물들은 자기와 같은 종류의 동물들하고만 생활한다. 늑대가 양과 섞일 리가 없고 하이애나가 개와 섞일 수가 있을까. 부자와 가난뱅이도 마찬가지이다.
늑대와 양처럼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동물들의 관계는 인간들의 관계와는 분명 다르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