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소유냐 존재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소유적 실존양식이란 무엇인가?>
1. 취득사회 - 소유양식의 기초
2. 소유의 본질
3. 소유양식을 지탱하는 그 밖의 요인
4. 소유양식과 항문애적(肛門愛的) 성격
5. 금욕주의(禁慾主義)와 평등
6. 생존적 소유

<존재양식이란 무엇인가?>
1. 능동적이라는 것
2. 능동성과 수동성
3. 현실로서의 존재
4. 주고, 공유(共有)하고, 희생하려는 의지

<감상문>

본문내용

들의 삶의 모습들에서 우리는 언어와 생활 습관등 우리 일상적인 것들이 변해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자신의 경험과 체험에서 얻어 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경험되어진 이미 체험되어진 그런 것들을 답습하고 학습하는 삶일 뿐인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의 이성(理性)은 메말라 가고 있으며 본능적인 것들을 추구해가고 있다. 쾌락을 쫓고 그것에 맹목적인 노예가 되어버리고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자신이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방향키를 잃어버린 배처럼 소유의 삶에서 표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이 구성원이 되어 존재하고 있는 현재의 사회는 상당한 모순된 사람들이 많이 있다. 자신의 급부를 가지고 증대를 위해서 상대방을 억누르고 지배하려는 현재의 인간상들, 그렇지만 그런 지배받는 사람들도 그들의 급부를 위하여 그 지배세력들에게 대항하고 맞서는 모습들, 선을 위해서 올바른 일을 한다하지만 그것을 악용해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는 사람들, 서로의 의견을 내세우고 절대로 타협하지 못하는 사람들.. 등등 그런 사람들이 각자의 소유를 위해서 동분서주 하고 있다. 그렇지만 자신을 내 놓는 사람들도 있다. 자신보다 더 가난하고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내놓고 자신의 삶을 내 놓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어떤 것들을 소유하기 위해서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 가를 저울질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들을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의 존재의 이유가 어떤 것들을 위해서 존재해야 하는가. 어떤 이유로 우리는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의 존재의 가치를 찾아가야 하는 것인가를 크게 생각해 보지 않아도 될 것이다.
계급투쟁으로 얼룩진 역사. 이런 인간의 투쟁은 고대부터 계속되었을 것이다. 지배와 피지배 그 속에서의 소유와 존재와의 차이. 그 계급간의 소유와 존재의 이유는 분명히 다를 것이다.
이런 문제는 비단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에서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국가와 국가간의 사이에서도 이런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것이다. 강대국의 약소국에 대한 침략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좀 더 많은 소유를 위해서 약소국을 침략하는 것이 소유의 삶을 바라보는 그들 국가들의 모습인 것이다. 식민지 전쟁은 말로는 미개한 국가를 점령하여 그들의 자결권을 키워 강대국으로 만든다는 포장지 속에 침략과 수탈의 야욕을 가지고 이 침략을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많은 약소국들이 그들의 소유를 빼앗기고 수탈당하였다. 그렇지만 그로 인해 약소국가들의 민중들은 오히려 존재의 이유를 찾았을 지도 모른다. 국가의 독립과 민족자결권을 찾기 위한 그들의 존재의 이유를 던져줬을 지도 모르는 일이지만, 가시적이나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로는 그들은 많은 경제적 수탈을 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번 미국(米國)의 이라크 침공도 마찬가지이다. 미국 자기 마음대로 '악의 축'이라고 정해 놓고서는 국제의 여론과 UN 이라는 국가기구를 무시한 채 내면에 '석유'라는 자원의 소유권을 위해서 야만적이고 파렴치한 전쟁을 아주 뻔뻔하게 치루는 것을 보면서 인간의 소유의 욕심은 결국에는 큰 파멸을 일으킬 것이라는 두려움이 앞서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의 소유를 위한 삶이 '나쁘다'라고 말 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소유만을 위해서 살아가면 우리의 존재는 어디에 있고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존재하고 흘러가야 하는지를 잃어버릴 지도 모른다. '물질만능주의', '쾌락주의', 인간은 무엇을 쫓아야 하는가? 무엇을 진리라고 바라봐야 하는가? 정답은 없을 것이다. 인간은 인간이기에 그 존재의 이유가 있고 소유의 탐욕을 절제할줄 아는 사람이 되어가야 하는 것이 우리의 삶에서의 '참된 값어치를 찾는 일이 아닐까?'라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08.09
  • 저작시기200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