쥴리아 크리스테바의 경계선의 철학 - 시적 언어의 혁명과 사랑의 정신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모성적 육체와 여성의 시간

III. 크리스테바의 경계선의 철학은 페미니스트적인가?

IV. 나가는 말

본문내용

인용 대상(비판의 대상이 아닌)을 거의 남성이론가들로 채우는 것은 다르지 않겠는가?
IV. 나가는 말
크리스테바의 사상은 반항, 거부, 부정, 혁명에서부터, 사랑으로 이동한다는 인상을 준다. 물론 그녀가 사랑의 정신분석을 이야기할 때도 거기에는 아방가르드적인 거부와 부정에 대한 관심이 포함되어 있다. 모성에 대한 그녀의 관심은 타자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비천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들에 대한 인정을 전제로 한다. 태아의 공간을 인정하듯이 내담자의 주체성을 인정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타자와 비천한 것에 대한 관심은 정신분석가의 냉정한 시선이 아니라 정신분석 임상의가 내담자인 분석 주체에게 갖는 사랑에 기인한다. 하지만 이 사랑은 어디까지나 타자화된 존재, 비천한 존재들이 어떻게 의미와 무의미를 나누는 경계선,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경계선을 넘지 않을 수 있는지를 염두에 두는 사랑이다.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사랑의 정신분석의 실천은 탈주를 위한 정신분열이 아니라 치유의 정신분석이고, 사회를 철저하게 일탈하는 그래서 사회로 돌아오지 못하는 자가 되는 것을 가슴 아파하는 사랑의 정신분석이다. 그래서 그녀의 혁명은 사회적 물질적 혁명으로 넘어가지 않는 시적 언어의 혁명이고 그 혁명 마저도 정신분석적 사랑에게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 초기에 아방가르드에 대한 관심과 시적 언어의 혁명을 논하고, 부정과 거부를 말하는 혁명론이 후기로 갈수록 사랑과 정신분석으로 기울어지면서 모성적이 되어 가는 현상은 비판의 칼날을 접어버린 것이라는 인상을 준다.
크리스테바는 「정신 분석과 폴리스」에서 정치적인 해석이 진실일 수 있는가라고 묻는다. 그녀는 해석의 효능은 해석의 전이적인 진리의 기능이라고 말하면서 정치적 해석은 욕망들을 해석하며 욕망에 대한 진실을 담고 있다고 말한다. 욕망에 대한 진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 해석은 이상향적이며 이데올로기적인 것이라는 그녀의 말을 우리의 크리스테바 읽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크리스테바를 어떻게 읽어내느냐는 것은 우리의 욕망과 그 욕망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것일 것이다.
인용문헌
Kristeva, Julia. "About Chinese Women" in The Kristeva Reader. Toril Moi ed. New York: Colimbia Up, 1986. 138-159.
________ (KR) "Stabat Mater" in Kristeva Reader. 160-186.
________ 「중심에 선 어머니」 『페미니즘과 문학』 김열규 외 공역. 문예출판사. 1988. 340-361.
________ "Women's Time" in Kristeva Reader. 187-213.
________ "Psychoanalysis and Polis" in Kristeva Reader. 301-320.
「정신 분석과 폴리스」 『페미니즘과 문학』 김열규 외 공역. 문예출판사. 1988. 238-260.
________ "Motherhood According to Giovanni Bellini" in Desire in Language: A Semiotic Approach to Literature and Art. New York: Columbia UP, 1980. 237-270.
________ "The Ethics of Linguistics" in Desire in Language. 23-35.
_______ (R)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anslated by Margaret Waller. New York: Columbia UP, 1984.
_______. Powers of Horror: An Essay on Abjection. trans. Leon Roudiez. New York: Columbia UP, 1982.
_______. Tales of Love. New York: Columbia UP, 1987.
『사랑의 역사』 김영 옮김. 민음사. 1995.
_______. Julia Kristeva Interviews. Guberman, Ross M. ed. New York: Columbia UP, 1996.
_______. 「베르나르 포크네와의 대담」『세계사상』 1997. 여름. 201-222.
________ 『사랑의 정신분석』 김인환 옮김. 민음사. 1999.
Butler, Judith. "The Body Politics of Julia Kristeva" in Ethics, Politics and Difference in Julia Kristeva's Writing. Oliver Kelly ed. New York: Routledge, 1993. 164-179.
Moi, Toril. Sexual/Textual Politics: Feminist Literary Theory. London: Methuen, 1985.
올리버, 켈리. 『크리스테바 읽기』 박재열 옮김. 시와반시사. 1997.
(Oliver, Kelly. Reading Kristeva.: Unraveling the Double-bind. Indiana UP, 1983.)
Payne, Michael. Reading Theory: An Introduction to Lacan, Derrida, and Kristeva. Cambridge. Mass: Blackwell Publishers, 1993.
(페인, 마이클. 『이론읽기/읽기이론』 장경렬, 이소영, 고갑희 역. 한신문화사. 근간)
Spivak, Gayatri C. "French Feminism in an International Frame." In Other Worlds. New York: Routledge, 1988. 135-153.

기호계(the semiotic)
거부
과정 중의 주체(subject-in-process)
말하는 주체(speaking subject)
모성, 모성적 육체
아브젝트, 비천체(the abject)
사랑의 정신분석
사랑의 이야기
여자의 시간
중심에 선 어머니
코라(chora)
코리온(chorion)
테틱기(the thetic)
『티메우스』
  • 가격2,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3.2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