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의 정의
1) 시란 무엇인가
(1) “시의 정의는 오류의 역사” - T.S 엘리어트
(2) 詩의 용어로서 본 서양과 동양의 시의 뜻
(3) 정의의 세 가지 유형
2) 시가의 기원
1. 의식적 행위설
2. 자연발생론
3) 시의 직관
1. 직관이란 무엇인가?
2. 시적 직관이란 무엇인가?
1) 시란 무엇인가
(1) “시의 정의는 오류의 역사” - T.S 엘리어트
(2) 詩의 용어로서 본 서양과 동양의 시의 뜻
(3) 정의의 세 가지 유형
2) 시가의 기원
1. 의식적 행위설
2. 자연발생론
3) 시의 직관
1. 직관이란 무엇인가?
2. 시적 직관이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 줄어드는 것도 없다. 실체가 없다는 관점에서는 물질적 현상도 없고, 감각도 없고, 의지고 없고, 지식도 없다. 눈도 없고, 귀도 없고, 코도 없고, 혀도 없고, 육신도 없고, 마음도 없고, 형색도 없고, 소리도 없고, 향내도 없고, 맛도 없고, 촉감도 없다. 그리고 眼界내지 意識界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없는 것이다.’
→ “생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고, 늘어나는 것도 줄어드는 것도 없음”은 물론, 일체 의 물질적 현상도 인간의 모든 감각기능과 의식작용 따위와 같은 현상 일체를 ‘無’와 ‘不’로서 부정함
→ ‘없음’과 ‘아님’의 부정이 부정의 논리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부정의 전제로서 ‘있음’의 긍정적인 전제가 되어 있는 것
불교에서 ‘無’와 ‘不’의 경지, 色卽是空 空卽是色’의 본질과 현상의 ‘有無’관계에서 ‘空性’ 의 체득은 직관으로서만 가능한 것
(6) 시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인간의 생명현실이나 사물의 본질과 실재의 파악도 자연과학 적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적 대상이 아니라, 직각적으로 깨달아 알게 되는 체득의 과정
→ 베르그송은 이런 생명적 실재의 체득을 본능 및 지성을 함유하는 ‘생명의 비약intuition de la vie'이라 함
→ 예술적 직관이나 철학적 직관은 과학적 분석의 ‘상대성le relatif’에 반하여, ‘절대성 l'absolu'으로 情意的파악이라는 것임
→ 여기서 의도하고 있는 시적 직관도 이와 마찬가지로 창조적 직관을 이름
→ 모든 사물의 본질이나 실재가 직각적으로 체득되는 직관의 경지에서 발상되는 것임
따라서 시적직관에 의해 포착된 변형의 실재로서 그것은 어디까지나 본능적이고 정의적 인 파악의 대상임
<참고문헌>
강우식박제천,『시 창작 강의』,작가정신,1988
김종길,『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고려대학교 출판부,1998
김병택,『현대시론의 새로운 이해』,새미,2004
이승훈,『시론』,태학사,2005
이향아,『시의 이론과 실제』,국학자료원,2001
윤충의,『한국문학의 직관과 상황 그리고 표현기술』,국학자료원,2001
황송문,『현대시 창작법』,국학자료원,2001
1. 시의 정의
1) 시란 무엇인가
(1) “시의 정의는 오류의 역사” - T.S 엘리어트
(2) 詩의 용어로서 본 서양과 동양의 시의 뜻
(3) 정의의 세 가지 유형
2) 시가의 기원
1. 의식적 행위설
2. 자연발생론
3) 시의 직관
1. 직관이란 무엇인가?
2. 시적 직관이란 무엇인가?
→ “생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고, 늘어나는 것도 줄어드는 것도 없음”은 물론, 일체 의 물질적 현상도 인간의 모든 감각기능과 의식작용 따위와 같은 현상 일체를 ‘無’와 ‘不’로서 부정함
→ ‘없음’과 ‘아님’의 부정이 부정의 논리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부정의 전제로서 ‘있음’의 긍정적인 전제가 되어 있는 것
불교에서 ‘無’와 ‘不’의 경지, 色卽是空 空卽是色’의 본질과 현상의 ‘有無’관계에서 ‘空性’ 의 체득은 직관으로서만 가능한 것
(6) 시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인간의 생명현실이나 사물의 본질과 실재의 파악도 자연과학 적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적 대상이 아니라, 직각적으로 깨달아 알게 되는 체득의 과정
→ 베르그송은 이런 생명적 실재의 체득을 본능 및 지성을 함유하는 ‘생명의 비약intuition de la vie'이라 함
→ 예술적 직관이나 철학적 직관은 과학적 분석의 ‘상대성le relatif’에 반하여, ‘절대성 l'absolu'으로 情意的파악이라는 것임
→ 여기서 의도하고 있는 시적 직관도 이와 마찬가지로 창조적 직관을 이름
→ 모든 사물의 본질이나 실재가 직각적으로 체득되는 직관의 경지에서 발상되는 것임
따라서 시적직관에 의해 포착된 변형의 실재로서 그것은 어디까지나 본능적이고 정의적 인 파악의 대상임
<참고문헌>
강우식박제천,『시 창작 강의』,작가정신,1988
김종길,『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고려대학교 출판부,1998
김병택,『현대시론의 새로운 이해』,새미,2004
이승훈,『시론』,태학사,2005
이향아,『시의 이론과 실제』,국학자료원,2001
윤충의,『한국문학의 직관과 상황 그리고 표현기술』,국학자료원,2001
황송문,『현대시 창작법』,국학자료원,2001
1. 시의 정의
1) 시란 무엇인가
(1) “시의 정의는 오류의 역사” - T.S 엘리어트
(2) 詩의 용어로서 본 서양과 동양의 시의 뜻
(3) 정의의 세 가지 유형
2) 시가의 기원
1. 의식적 행위설
2. 자연발생론
3) 시의 직관
1. 직관이란 무엇인가?
2. 시적 직관이란 무엇인가?
추천자료
다형(茶兄) 김현승 시의 '고독과 은유' 시세계의 특성
김소월<산유화>,<접동새>(작품분석, 시인, 시교육)
195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시인) 개관
[이육사][이육사의 시][이육사의 문학][이육사의 전거수사][육사 수필][이육사의 작품][주리...
이육사의 육사시집과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한 30년대 말의 시의 문학사적 의의
[문학창작교육][시창작교육][소설창작교육][동화창작교육][음악창작활동][현대미술창작행위][...
나의 서사를 담은 시 (변계량 시, 뒤집어보기)
[국어국문학] 시인 정지용에 관해서 (정지용 시인 소개, 정지용 시인의 작품세계)
[한국현대문학사] 1970-1980년대 시문학 - 시세계의다양성 (우리나라 독특한 민중문화, 민중...
[민중][민중예술][민중시][한국현대문학][김태준][뷔히너][남미민중][인도민중]민중과 민중예...
[현대 시인론] 시인 정한모 & 시인 박재삼
이육사(李陸史) 시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그 시에 담긴 유교사상 (광야, 절정, 청포도)
John Donne(존 던)과 사랑시 - Jonh Donne의 연가,사랑시 분석, John Donne의 쏘네트,the Fle...
한용운(韓龍雲) 시 연구 (만해 한용운 생애, 님은 누구인가?, 한용운 시에 나타난 기다림,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