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등과 사회평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등과 사회평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평등

Ⅲ. 학교교육과 사회평등

Ⅳ. 결 론

본문내용

을 달리하면, 요즘 시대에는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시대는 가고, 남이 학원가면 배가 아프다는 세상에 와 있다. 입시경쟁에서 낙오되는 사람들이 사회통합에 장해요인이 되고 있는 까닭에, 정부는 서민들의 자녀가 대학 들어가기 쉽게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해서 시행해 왔다. 여러 곳에서 찾아본 바에 따르면, 대학수능시험 출제를 쉽게 하고, 학교 차이를 없애고, 과외를 금지하고, 교차지원을 허락했고, 자립형 사립고를 반대해 왔고, 그리고 내신 성적평가에서 일류고 출신 학생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정책
http://library.moe.go.kr
등을 펴왔다.
그러나 중산층 가족이 교육이민 또는 조기유학을 위해 고국을 떠나도 정부는 별로 개의치 않는 눈치였다. 오직 소외계층 보호에만 관심을 쏟았고, 중산층 욕구를 충족시킬 방안을 내놓지를 못했다. ‘수재’와 ‘둔재’를 한 교실에 수용해서 둔재 기준으로 학습 진도를 잡으니 천재들이 학교를 빠져나가 학원에 등록할 수밖에 없었다. 소외계층을 달래려 하면 중산층이 달아나고 중산층을 잡자니 소외계층이 마음에 걸리는 판국이다.
이렇듯 학교교육이 사회평등을 이루기 위해서 두 마리의 토끼를 잡으려 하다 둘 다 놓치게 되기 마련이다. 이렇듯 한 나라의 교육정책은 어느 한 계층에만 치중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여타 선진국에 비해 교육열이 남달리 강하기 때문에 교육평등이 이뤄져야 사회평등이 이뤄질 것이라고 믿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결론은 내리자면, 교육을 위해 모인 학생들의 집합장소인 학교가 사회평등을 위해 힘쓴다는 것은 본래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견해를 내세우고 싶다. 학교란 각 구성원들의 인격 함양과 지성의 계발을 위한, 자아실현의 장소로 알고 있다. 그런데, 이 본래의 역할을 제쳐두고 사회평등을 위해 힘쓴다는 것은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는 것 이다.
참 고 문 헌...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김경식 외 5 명,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석태종,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종각, 「교육사회학」 동문사
김학한,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한울
신중식 외 3 명, 「새교육학」 교육출판사
김선호 / 자유지성 300인회 공동대표
http://
2003. 8. 23 동아일보
2003. 4. 14 한겨레신문 만화논평
2003. 1. 20 전자신문
2002. 2. 24 한국경제신문
2001. 4. 06 조선일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0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