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품 개요
2. 시장 및 경쟁 상황
3. 마케팅 목표
4. 커뮤니케이션 타겟
5. 커뮤니케이션 목표
6. 커뮤니케이션 방향
2. 시장 및 경쟁 상황
3. 마케팅 목표
4. 커뮤니케이션 타겟
5. 커뮤니케이션 목표
6. 커뮤니케이션 방향
본문내용
카스 D’가 발매 본격적인 대중 광고 전략이 시작. 국민의 영양 실조해결이 모든 의약 업계의 당면 과제였던 당시 ‘비나카인’등 수 많은 정제 타입의 자양 강장제류가 이미 출시된 상태에서 박카스는 달콤한 맛을 가미, 음료수를 마시듯 했으며 광고 컨셉트도 '피로회복' 이라는 가벼운 개념을 도입.
70년 중반 ∼90년 초 광고
의약품 오 남용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93년까지18년 동안 4대 매체를 이용한 대중광고가 금지. 이 기간 중에도 그 동안 실시되었던 광고 전략과 소비자 시장에서 인정받은 제품력으로 시장에서 1위자리를 고수, 꾸준한 판매량과 성장을 보여줌.
93년 ∼ 현재 광고
광고 금지가 해지되면서 새로운 이미지로 재탄생. 박카스에프가 출시되면서 본격적인 광고 전략 수립! 전파 광고는 이미지 위주로 전개하되 공익성이 가미. "인쇄 광고는 보강된 성분을 소비자들에게 접근한다"는 식의 광고를 전개…
일양약품 '원비디'와 '원비천'
경쟁사의 광고 전략
2000 초 "약재 창 편"
85년 이후 꾸준한 판매를 유지하고 있는 영비천은 신비의 불로초와 영지버섯을 이용했다는 점을 강조, 2000년 초 중반에 인기 리에 방영된 ‘허준’의 개성 있는 캐릭터로 열연한 임현식, 최 란을 캐스팅 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또한, 중국 시장의 매출극대화를 위해 TV ? CF, RD ? CM, 빌보드 등 원비디 Boom 조성 집중적인 마케팅을 구사하고 있다.
2000 중반 "용기 2편"
원비디는 일반 시민들이 광고를 보고 “용기”를 얻는다는 컨셉트 아래 피로 회복제로서 활력을 준다는 내용을 소재로 하고 있다.
▶ 4P에 의한 마케팅 전략 분석 ◀
1) 제품 개발
91년 박카스-D가 박카스-F로 바꾼 후 최근까지 박카스 제품 자체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는 제품의 성분과 맛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보는 박카스 측의 분석 때문이고 제품 자체에 변화가 없는 것은 자양강장 드링크제의 특징이기도 하다.
2)가격 전략
박카스의 현재 가격전략은 “박리다매”라고 할 수 있다. 박카스의 출하가는 264원인 것에 비해 시중 판매가 300원은 이윤이 많이 남지 않는 가격이다. 그러나 하나의 제품 이익이 적게 나도 자양강장제 드링크 부분에서 현재 약 60-65%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해서 매우 많은 제품이 팔리기에 그 순이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3) 유통전략
박카스는 route sale이라는 다른 제약회사와는 차별된 유통 전략으로 자양강장 드링 크제 시장에서 지금까지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Route Sale이란 약사의 주문을 받아 의약품을 판매하는 기존의 과는 다른 것으로서, 박카스 직원이 정기적으로 직접 약국을 방문해 판매하는 방식이다.
4) 촉진전략
박카스는 제품 홍보를 위한 “이벤트 마케팅”으로 촉진 활동을 해 왔다. ‘박카스배 천원전’과 ‘국토 대장정’의 행사가 그것으로 ‘박카스배 천원전’은 동아제약 이라는 기업 전체의 홍보 차원에서, ‘국토 대장정’은 현재 박카스가 지향하고 있는 ‘젊음’이라는 컨셉 차원에서 하고 있는 촉진 활동이다.
70년 중반 ∼90년 초 광고
의약품 오 남용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93년까지18년 동안 4대 매체를 이용한 대중광고가 금지. 이 기간 중에도 그 동안 실시되었던 광고 전략과 소비자 시장에서 인정받은 제품력으로 시장에서 1위자리를 고수, 꾸준한 판매량과 성장을 보여줌.
93년 ∼ 현재 광고
광고 금지가 해지되면서 새로운 이미지로 재탄생. 박카스에프가 출시되면서 본격적인 광고 전략 수립! 전파 광고는 이미지 위주로 전개하되 공익성이 가미. "인쇄 광고는 보강된 성분을 소비자들에게 접근한다"는 식의 광고를 전개…
일양약품 '원비디'와 '원비천'
경쟁사의 광고 전략
2000 초 "약재 창 편"
85년 이후 꾸준한 판매를 유지하고 있는 영비천은 신비의 불로초와 영지버섯을 이용했다는 점을 강조, 2000년 초 중반에 인기 리에 방영된 ‘허준’의 개성 있는 캐릭터로 열연한 임현식, 최 란을 캐스팅 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또한, 중국 시장의 매출극대화를 위해 TV ? CF, RD ? CM, 빌보드 등 원비디 Boom 조성 집중적인 마케팅을 구사하고 있다.
2000 중반 "용기 2편"
원비디는 일반 시민들이 광고를 보고 “용기”를 얻는다는 컨셉트 아래 피로 회복제로서 활력을 준다는 내용을 소재로 하고 있다.
▶ 4P에 의한 마케팅 전략 분석 ◀
1) 제품 개발
91년 박카스-D가 박카스-F로 바꾼 후 최근까지 박카스 제품 자체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는 제품의 성분과 맛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보는 박카스 측의 분석 때문이고 제품 자체에 변화가 없는 것은 자양강장 드링크제의 특징이기도 하다.
2)가격 전략
박카스의 현재 가격전략은 “박리다매”라고 할 수 있다. 박카스의 출하가는 264원인 것에 비해 시중 판매가 300원은 이윤이 많이 남지 않는 가격이다. 그러나 하나의 제품 이익이 적게 나도 자양강장제 드링크 부분에서 현재 약 60-65%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해서 매우 많은 제품이 팔리기에 그 순이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3) 유통전략
박카스는 route sale이라는 다른 제약회사와는 차별된 유통 전략으로 자양강장 드링 크제 시장에서 지금까지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Route Sale이란 약사의 주문을 받아 의약품을 판매하는 기존의 과는 다른 것으로서, 박카스 직원이 정기적으로 직접 약국을 방문해 판매하는 방식이다.
4) 촉진전략
박카스는 제품 홍보를 위한 “이벤트 마케팅”으로 촉진 활동을 해 왔다. ‘박카스배 천원전’과 ‘국토 대장정’의 행사가 그것으로 ‘박카스배 천원전’은 동아제약 이라는 기업 전체의 홍보 차원에서, ‘국토 대장정’은 현재 박카스가 지향하고 있는 ‘젊음’이라는 컨셉 차원에서 하고 있는 촉진 활동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