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생체기능의 조절방법 - 1) 정신적 조절
2) 신경에 의한 조절
3) 내분비에 의한 조절
4) 효소에 의한 조절
5) 생체막 투과성에 의한 조절
2. 신체의 항상성 - 1) 호르몬의 분비조절
2) 혈당량의 조절
3) 체온의 조절
4) 삼투압의 조절
3. 체액의 pH조절 - 1) 산-염기 균형
2) 산-염기 균형의 조절
3) 산-염기 균형의 변화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및 자료
Ⅱ. 본 론
1. 생체기능의 조절방법 - 1) 정신적 조절
2) 신경에 의한 조절
3) 내분비에 의한 조절
4) 효소에 의한 조절
5) 생체막 투과성에 의한 조절
2. 신체의 항상성 - 1) 호르몬의 분비조절
2) 혈당량의 조절
3) 체온의 조절
4) 삼투압의 조절
3. 체액의 pH조절 - 1) 산-염기 균형
2) 산-염기 균형의 조절
3) 산-염기 균형의 변화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온과 염소이온의 배출을 감소시키 고, 중탄산의 배출을 증가시킨다.
▶보상방법: 신장에서 중탄산이온의 배출 증가
▶증상과 징후: 현기증, 손 발가락의 무감각과 저림, 이명, 심계항진, 발한, 공 황, 근경련, 하복부 통증,
후기: tetany, 경련, 포타슘 부족
Chvostek증후와 Trousseau 징후가 나타날 수 도 있음
▶치료: 이산화탄소 분압을 증가시키고 pH를 낮추는 것에 목표를 둔다.
④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생리적 원인
- 정상적인 음이온 차이를 보이거나 비정상적으로 큰 음이온차이를 보이는 2가 지 범주
- 음이온 차이 = 양이온(Na+, K+) - 음이온(HCO₃-,Cl)
정상적인 음이온 차이를 보이는 경우
→ 중탄산염 부족: 산의 대사산물 보유, 당뇨성 케톤산증, 산의 과다 섭취, (살리실산 중독), 고포타슘혈증 또는 중탄산염 소실
→ 신부전(신세뇨관 산성증)
비정상적 음이온 차이를 보이는 경우
→ 유산증, 다뇨병성케톤산증, 아스피린중독 및 질소혈증, 신부전에서 축 적
▶보상기전: pH감소-호흡수증가-정상pH회복
신장의 보상기전이 시작되면 수소이온의 분비와 배출 증가(암모늄의 형 태로 배출)
중탄산은 보유되고 대신 염소가 배출
▶보상방법
호흡수와 깊이 증가: 폐에서 CO₂배출 증가, 신장에서 중탄산이온 형성 증가
▶증상과 징후
증상이나 징후가 없을 수가 있을 수 있음
두통과 정신기능의 둔화, Kussmaul 호흡
후기: tetany, 경련, 포타슘 부족
▶치료: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전해질 균형을 회복하는 것임
중탄산염(NaHCO₃)정맥주사
수분과 전해질 대치
⑤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생리적 원인
-수소이온의 소실이나 중탄산염이온의 고다로 인한것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중탄산소듐 또는 초산염, 유산염, 구연산염과 같은 알칼리염의 과다한 경 우/비경구적 주입
→궤양치료에서 우유와 제산제의 과다사용으로 알칼리증과 심한 고칼슘혈증 을 유발
→염산이 구토와 위흡인으로 인해 소실되었을 때 중탄산 이온이 혈류로 들어 가 pH가 올라가고 알칼리증이 된다
→설사, 구터, 또는 이뇨요법으로 인해 포타슘이온의 과다 소실 시
▶보상방법
호흡수와 깊이 감소 : 폐에서 더 많은 이산화탄소 보유
신장에서 중탄산염 배출
▶임상증상: 오랜기간의 과다한 제산제→오심,구토
혼돈, 테타니, 현기증, 손.발가락의 무감각과 저림
▶치료와 간호
목적: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을 교정하는 것
염화나트륨이나 염화암모늄을 구강이나 정맥으로 줌
Diamox와 같은 이뇨제 사용
호흡기계와 신장기능 관찰하고 대상자 보호
Ⅲ. 결 론
우리의 생명을 신체가 바로 이 항상성원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존속할 수 있는 것이다. 핏속의 산성농도와 염도, 그리고 칼슘과 같은 여타 물질의 농도는 아주 엄격한 범위안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못할 때는 신체가 기능을 중단하게 된다. 칼륨의 혈중농도가 조금만 증가하면 심장이 기능을 못하게 된다.
창자와 콩팥, 폐를 통해 우리의 신체는 섭취량과 배출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우리의 신체조건을 올바른 수중으로 유지한다. 즉,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주택의 온도조절기도 그 작동원리가 너무나 간명하지만 일종의 항상성 장치임에는 틀림없다. 즉, 최소한 온도에 관해서는 그것이 집안의 대기에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그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좀 더 발달된 형태의 온도조절기는 공기중의 습도와 이온화까지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및 자료
생명과학. 옥은성 외 4인(1999). 신광출판사
교양 생물학. 강신성 외 5인(1994). 아카데미 서적
고등학교 생물Ⅱ. 홍명남 외 4인(1996). 천재교육
HIGH TOP 생물Ⅱ. 서평웅·옥창수(1999). 두산동아
브리테니어 백과사전(1993)
www. empal. com
http://user.chollian.net/~dgran/bio2/bio3-2.htm
http://bio.123study.org/study/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생체기능의 조절방법 - 1) 정신적 조절
2) 신경에 의한 조절
3) 내분비에 의한 조절
4) 효소에 의한 조절
5) 생체막 투과성에 의한 조절
2. 신체의 항상성 - 1) 호르몬의 분비조절
2) 혈당량의 조절
3) 체온의 조절
4) 삼투압의 조절
3. 체액의 pH조절 - 1) 산-염기 균형
2) 산-염기 균형의 조절
3) 산-염기 균형의 변화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및 자료
▶보상방법: 신장에서 중탄산이온의 배출 증가
▶증상과 징후: 현기증, 손 발가락의 무감각과 저림, 이명, 심계항진, 발한, 공 황, 근경련, 하복부 통증,
후기: tetany, 경련, 포타슘 부족
Chvostek증후와 Trousseau 징후가 나타날 수 도 있음
▶치료: 이산화탄소 분압을 증가시키고 pH를 낮추는 것에 목표를 둔다.
④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생리적 원인
- 정상적인 음이온 차이를 보이거나 비정상적으로 큰 음이온차이를 보이는 2가 지 범주
- 음이온 차이 = 양이온(Na+, K+) - 음이온(HCO₃-,Cl)
정상적인 음이온 차이를 보이는 경우
→ 중탄산염 부족: 산의 대사산물 보유, 당뇨성 케톤산증, 산의 과다 섭취, (살리실산 중독), 고포타슘혈증 또는 중탄산염 소실
→ 신부전(신세뇨관 산성증)
비정상적 음이온 차이를 보이는 경우
→ 유산증, 다뇨병성케톤산증, 아스피린중독 및 질소혈증, 신부전에서 축 적
▶보상기전: pH감소-호흡수증가-정상pH회복
신장의 보상기전이 시작되면 수소이온의 분비와 배출 증가(암모늄의 형 태로 배출)
중탄산은 보유되고 대신 염소가 배출
▶보상방법
호흡수와 깊이 증가: 폐에서 CO₂배출 증가, 신장에서 중탄산이온 형성 증가
▶증상과 징후
증상이나 징후가 없을 수가 있을 수 있음
두통과 정신기능의 둔화, Kussmaul 호흡
후기: tetany, 경련, 포타슘 부족
▶치료: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전해질 균형을 회복하는 것임
중탄산염(NaHCO₃)정맥주사
수분과 전해질 대치
⑤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생리적 원인
-수소이온의 소실이나 중탄산염이온의 고다로 인한것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중탄산소듐 또는 초산염, 유산염, 구연산염과 같은 알칼리염의 과다한 경 우/비경구적 주입
→궤양치료에서 우유와 제산제의 과다사용으로 알칼리증과 심한 고칼슘혈증 을 유발
→염산이 구토와 위흡인으로 인해 소실되었을 때 중탄산 이온이 혈류로 들어 가 pH가 올라가고 알칼리증이 된다
→설사, 구터, 또는 이뇨요법으로 인해 포타슘이온의 과다 소실 시
▶보상방법
호흡수와 깊이 감소 : 폐에서 더 많은 이산화탄소 보유
신장에서 중탄산염 배출
▶임상증상: 오랜기간의 과다한 제산제→오심,구토
혼돈, 테타니, 현기증, 손.발가락의 무감각과 저림
▶치료와 간호
목적: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을 교정하는 것
염화나트륨이나 염화암모늄을 구강이나 정맥으로 줌
Diamox와 같은 이뇨제 사용
호흡기계와 신장기능 관찰하고 대상자 보호
Ⅲ. 결 론
우리의 생명을 신체가 바로 이 항상성원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존속할 수 있는 것이다. 핏속의 산성농도와 염도, 그리고 칼슘과 같은 여타 물질의 농도는 아주 엄격한 범위안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못할 때는 신체가 기능을 중단하게 된다. 칼륨의 혈중농도가 조금만 증가하면 심장이 기능을 못하게 된다.
창자와 콩팥, 폐를 통해 우리의 신체는 섭취량과 배출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우리의 신체조건을 올바른 수중으로 유지한다. 즉,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주택의 온도조절기도 그 작동원리가 너무나 간명하지만 일종의 항상성 장치임에는 틀림없다. 즉, 최소한 온도에 관해서는 그것이 집안의 대기에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그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좀 더 발달된 형태의 온도조절기는 공기중의 습도와 이온화까지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및 자료
생명과학. 옥은성 외 4인(1999). 신광출판사
교양 생물학. 강신성 외 5인(1994). 아카데미 서적
고등학교 생물Ⅱ. 홍명남 외 4인(1996). 천재교육
HIGH TOP 생물Ⅱ. 서평웅·옥창수(1999). 두산동아
브리테니어 백과사전(1993)
www. empal. com
http://user.chollian.net/~dgran/bio2/bio3-2.htm
http://bio.123study.org/study/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생체기능의 조절방법 - 1) 정신적 조절
2) 신경에 의한 조절
3) 내분비에 의한 조절
4) 효소에 의한 조절
5) 생체막 투과성에 의한 조절
2. 신체의 항상성 - 1) 호르몬의 분비조절
2) 혈당량의 조절
3) 체온의 조절
4) 삼투압의 조절
3. 체액의 pH조절 - 1) 산-염기 균형
2) 산-염기 균형의 조절
3) 산-염기 균형의 변화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및 자료
추천자료
체육 4학년 공놀이 공피하기(간이피구하기) 게임 지도안 세안
4학년 체육 게임활동 영역 3. 공놀이 선택 농구형 게임하기 대장공놀이하기 지도안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
통증 치료에서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의 의미
[보건교육]중년여성의 운동증진교육에 관하여
[운동생리학]체력(체육)의 요인별 측정 및 평가
운동의 효과(신체적, 정신적)
21c 현대인을 위한 운동방법 퀴즈
노인 치매. 이젠 운동으로 예방 및 치료한다.
[헬스]웨이트트레이닝(보디빌딩, 헬스)과 헬스클럽선택, 웨이트트레이닝(보디빌딩, 헬스)과 ...
윈드 서핑에 대하여
[노인건강문제관리] 연하곤란 간호중재
전기치료의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