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사학
1)고전적인 정의
2)발전
3)범위
2. 수사학적 비평
3. 고전 수사학적 비평 방법론
1)고전 수사학의 종류
2)고전 수사학의 다섯 분야
3)설득의 방법
4.현대 수사학적 비평 방법론
1)수사학적 비평의 삼단계
2)상황분석
◆상황분석에서 고려해야 될 내용들◆
3)개념 분석
4)논증분석
◆논증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
5)형식과 구조 분석
◆형식과 구조 분석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
6)스타일 분석
◆스타일 분석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들◆
5. 수사학적 성서해석의 역할
6. 수사학적 비평의 전제
7. 수사학적 성서 비평의 의의
1)고전적인 정의
2)발전
3)범위
2. 수사학적 비평
3. 고전 수사학적 비평 방법론
1)고전 수사학의 종류
2)고전 수사학의 다섯 분야
3)설득의 방법
4.현대 수사학적 비평 방법론
1)수사학적 비평의 삼단계
2)상황분석
◆상황분석에서 고려해야 될 내용들◆
3)개념 분석
4)논증분석
◆논증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
5)형식과 구조 분석
◆형식과 구조 분석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
6)스타일 분석
◆스타일 분석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들◆
5. 수사학적 성서해석의 역할
6. 수사학적 비평의 전제
7. 수사학적 성서 비평의 의의
본문내용
강조보다는 본문의 윤리적인 차원을 분석하는데 많이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본문 안에 이념적인 차원과 윤리적인 차원이 혼합되어 있지만, 수사학은 저자와 독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윤리적인 차원을 우선적으로 취급한다. 이것은 수사학이 독자와 저자, 그리고 낭독이나 연설을 위한 담론 안에서 일어나는 "대화의 기술"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말이다.
6. 수사학적 비평의 전제
1)성서 본문의 수사학적 분석을 위해서는 수사학적 단위를 정해야 한다. 오늘날 해석되어야 하고 분석되어야 하는 성서 본문은 하나의 "쓰여진 작품"으로서 우리의 손에 들려져 있다. 모든 성서 본문에 설득과 논증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성서 본문의 분석자는 수사학자로서 어떤 본문에 어떠한 설득의 기술과 논증이 들어 있는가를 선택해야 한다. 독자와의 대화를 위한 수사학적 목적이 분명히 존재하는 본문은 모든 수사학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2)수사학적 비평은 수사학적 단위를 가능하면 "공시적"으로 취급한다. 성서 본문을 하나의 문학적 단위로서 연구할 때 두 가지의 차원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최종 편집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본문을 "공시적"으로 취급하는 차원이고, 다른 하나는 본문의 역사 변천에 따라 종적으로 연구하는 "통시적"으로 취급하는 차원이다. 양식비평이나 편집비평에서는 자료의 층들을 분류하여 그것의 역사적 변천과정이나, 저자들의 다양성 등을 통시적으로 연구한다. 그러나 수사학적 비평은 자료의 변천과정에는 관심이 없다. 손에 마지막으로 주어진 본문을 하나의 문학적 단위로 가정하고 비평하는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이 말은정경비평에서 말하듯이 최종본문만을 수사학의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은 아니다. 최종 본문 이전의 본문이 수사학 분석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도 그 본문을 공시적으로 취급한다는 뜻이다. 그 본문 이전 본문이나 이후 본문과의 관계나 전달 과정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3)수사학적 단위의 수사학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성서 본문이 처음 쓰여졌을 때 그 본문 혹은 담론이 청중이나 독자들을 위해 낭독되거나 읽혀졌음을 전제한다. 수사학적 상황을 통해서 저자와 청중, 그리고 독자들의 사회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본문이 나오게된 동기를 가장 근접하게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전제를 하는 이유는 성서 본문이 있기 전에 분명히 상황이 먼저 존재했기 때문이다. 상황에서 본문이 그 당시에 이루어 졌다면, 수사학적 비평은 거꾸로 본문으로부터 상황을 추론해 나가는 과정을 포함한다. 비처(Bitzer)는 수사학적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수사학적 상황은 실질적인 혹은 가능성이 있는 어떤 긴급성을 보여주는 사건들, 사람들, 사물들, 관계
들의 복합체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의 긴급성은 만일 상황 안에서 이루어진 담론이 그 긴급
성의 중요한 수정을 가져오는 독자들의 결정이나 행동을 강요할 수 있다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삭
제될 수도 있다."
7. 수사학적 성서 비평의 의의
수사학적 비평이 갖는 의의는 수사학이 거의 모든 성서비평 방법론과 연계하여 성서 본문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다는 것이다. 신학적인 주제이든, 이념적인 것이든, 사회 과학적인 방법, 언어학, 담론 비평 등 어떤 문학 비평이나 역사 비평적인 방법과도 성서 해석을 위해서 수사학은 상호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러한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을 필요로 하는 교회와 말씀을 전하는 설교자, 하나님의 말씀으로 설득해야 할 청중이 있는 곳이라면 수사학은 이러한 역동적인 상황 속에서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훌륭한 도구로 사용된다.r
6. 수사학적 비평의 전제
1)성서 본문의 수사학적 분석을 위해서는 수사학적 단위를 정해야 한다. 오늘날 해석되어야 하고 분석되어야 하는 성서 본문은 하나의 "쓰여진 작품"으로서 우리의 손에 들려져 있다. 모든 성서 본문에 설득과 논증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성서 본문의 분석자는 수사학자로서 어떤 본문에 어떠한 설득의 기술과 논증이 들어 있는가를 선택해야 한다. 독자와의 대화를 위한 수사학적 목적이 분명히 존재하는 본문은 모든 수사학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2)수사학적 비평은 수사학적 단위를 가능하면 "공시적"으로 취급한다. 성서 본문을 하나의 문학적 단위로서 연구할 때 두 가지의 차원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최종 편집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본문을 "공시적"으로 취급하는 차원이고, 다른 하나는 본문의 역사 변천에 따라 종적으로 연구하는 "통시적"으로 취급하는 차원이다. 양식비평이나 편집비평에서는 자료의 층들을 분류하여 그것의 역사적 변천과정이나, 저자들의 다양성 등을 통시적으로 연구한다. 그러나 수사학적 비평은 자료의 변천과정에는 관심이 없다. 손에 마지막으로 주어진 본문을 하나의 문학적 단위로 가정하고 비평하는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이 말은정경비평에서 말하듯이 최종본문만을 수사학의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은 아니다. 최종 본문 이전의 본문이 수사학 분석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도 그 본문을 공시적으로 취급한다는 뜻이다. 그 본문 이전 본문이나 이후 본문과의 관계나 전달 과정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3)수사학적 단위의 수사학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성서 본문이 처음 쓰여졌을 때 그 본문 혹은 담론이 청중이나 독자들을 위해 낭독되거나 읽혀졌음을 전제한다. 수사학적 상황을 통해서 저자와 청중, 그리고 독자들의 사회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본문이 나오게된 동기를 가장 근접하게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전제를 하는 이유는 성서 본문이 있기 전에 분명히 상황이 먼저 존재했기 때문이다. 상황에서 본문이 그 당시에 이루어 졌다면, 수사학적 비평은 거꾸로 본문으로부터 상황을 추론해 나가는 과정을 포함한다. 비처(Bitzer)는 수사학적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수사학적 상황은 실질적인 혹은 가능성이 있는 어떤 긴급성을 보여주는 사건들, 사람들, 사물들, 관계
들의 복합체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의 긴급성은 만일 상황 안에서 이루어진 담론이 그 긴급
성의 중요한 수정을 가져오는 독자들의 결정이나 행동을 강요할 수 있다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삭
제될 수도 있다."
7. 수사학적 성서 비평의 의의
수사학적 비평이 갖는 의의는 수사학이 거의 모든 성서비평 방법론과 연계하여 성서 본문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다는 것이다. 신학적인 주제이든, 이념적인 것이든, 사회 과학적인 방법, 언어학, 담론 비평 등 어떤 문학 비평이나 역사 비평적인 방법과도 성서 해석을 위해서 수사학은 상호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러한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을 필요로 하는 교회와 말씀을 전하는 설교자, 하나님의 말씀으로 설득해야 할 청중이 있는 곳이라면 수사학은 이러한 역동적인 상황 속에서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훌륭한 도구로 사용된다.r
추천자료
성서와 자연
구약성서의 신학세계
[종교대화][원불교][불교][유교][기독교][성서][종교대화 사례][종교][신앙]원불교와 종교대...
[종교개혁][철학][휴머니즘][성서해석학]종교개혁의 의의, 종교개혁의 배경, 종교개혁의 원인...
신약성서, 오늘날 우리에게 오기까지-민경식저(요악및서평)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민경식 지음 요약
성경해석-성서유니온선교회
성서의 정치경제학
구약성서 이해 열마당
[기독교의 발견] 신약성서의 구성과 개요 - 어원과 신약성서의 내용 (기록동기, 기록과정, 복...
[사회복지론] 기독교사회복지론 (기독교 청소년 복지의 특징과 개념, 기독교 청소년 복지의 ...
[기독교교육심리] 자아에 대한 신학적 성서적 관점 - 기독교교육에서의 자아에 대한 신학적, ...
《German Luther Bible과 KJV (King James Version/킹제임스) 성서 비교 분석》 German Luthe...
성서와 문화 과제 1(성경 구성 조사 및 성경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