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심판대상
1. 거부처분
2. 부작위
Ⅲ. 심판청구의 제기
1. 행정심판기관
2. 청구인과 피청구인
3. 심판청구기간
Ⅳ. 심리의 내용과 범위
Ⅴ. 재결 및 재결의 효력
1. 재결의 종류
2. 인용재결의 종류
3. 인용재결의 내용
1) 기속행위의 경우
2) 재량행위의 경우
Ⅵ. 재결의 대한 불복
Ⅱ. 심판대상
1. 거부처분
2. 부작위
Ⅲ. 심판청구의 제기
1. 행정심판기관
2. 청구인과 피청구인
3. 심판청구기간
Ⅳ. 심리의 내용과 범위
Ⅴ. 재결 및 재결의 효력
1. 재결의 종류
2. 인용재결의 종류
3. 인용재결의 내용
1) 기속행위의 경우
2) 재량행위의 경우
Ⅵ. 재결의 대한 불복
본문내용
명하는 재결을 한다(이행재결).
3. 인용재결의 내용
1) 기속행위의 경우
행정청은 법적으로 당해 행위를 할 기속을 받고 있으므로 행정심판법 제37조 제2항의 "신청에 따른 처분"은 "신청대로의 처분"을 의미한다.
2) 재량행위의 경우
거부처분·부작위가 위법한 경우 "신청에 따른 처분"은 "신청에 대한 처분"이라 보며, 재량권이 0으로 수축시에는 "신청대로의 처분"을 의미한다.
또한 거부처분·부작위가 부당한 경우에도 "신청대로의 처분"을 의미한다.
Ⅵ. 재결의 대한 불복
재결이 있는 경우 재심판청구는 금지되며, 원칙적으로 원처분주의에 의해 재결 자체에 대한 행정소송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①거부처분에 대해서는 거부처분 취소소송으로 ②부작위에 대해서는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에 의해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다.
3. 인용재결의 내용
1) 기속행위의 경우
행정청은 법적으로 당해 행위를 할 기속을 받고 있으므로 행정심판법 제37조 제2항의 "신청에 따른 처분"은 "신청대로의 처분"을 의미한다.
2) 재량행위의 경우
거부처분·부작위가 위법한 경우 "신청에 따른 처분"은 "신청에 대한 처분"이라 보며, 재량권이 0으로 수축시에는 "신청대로의 처분"을 의미한다.
또한 거부처분·부작위가 부당한 경우에도 "신청대로의 처분"을 의미한다.
Ⅵ. 재결의 대한 불복
재결이 있는 경우 재심판청구는 금지되며, 원칙적으로 원처분주의에 의해 재결 자체에 대한 행정소송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①거부처분에 대해서는 거부처분 취소소송으로 ②부작위에 대해서는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에 의해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다.
추천자료
[국세기본법] 세법총론 - 심사와 심판
배구 경기규정 및 심판 시그널
재결의 신청(당사자 심판)
형사소송 실무문제 정리(즉결심판, 고소, 고소 . 고발 관련 민원의 실질적 해소방안, 형사보...
행정법상 의무확보의 수단
심결취소소송제기하면서 새로운 증거제시, 심결취소소송 중 정정심판청구
청구의 변경, 청구취지, 심판범위의 변경
[특허법] 특허법상 심판(審判)에 대한 모든 것
전기통신사업법상 불온통신의 심판대상 법령, 전기통신사업법상 불온통신 제53조의 위헌 결정...
[형사소송법] 즉결심판
[독후감] 카프카(Franz Kafka)의 '심판(Der Prozess)'을 읽고서
2013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위헌법률심판에서의 결정형식)
[법학] 취소 심판에서의 부당의 관념 - 상이등급구분재심신체검사 4급판정처분취소청구
[형사소송법] 약식절차에 대한 이해 - 약식절차의 의의와 제도적 취지, 약식명령의 청구, 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