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야심만만에 나타난 방송언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 야심만만(夜心萬萬) 프로그램 소개
2) 오용사례의 사례별 분석
(1) 외국어
(2) 반말
(3) 자막
(4) 금기어
(5) 은어
2) 해결방안
(1) 시청자 중심의 해결방안
<1> 인터넷 게시판 활용
<2> ARS 퀴즈의 활용
(2) 기획자 중심의 해결방안
<1> 자막의 활용
<2> 연예인의 언어교육 의무화
3. 결론
2. 야심만만에 나타난 방송언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 야심만만(夜心萬萬) 프로그램 소개
2) 오용사례의 사례별 분석
(1) 외국어
(2) 반말
(3) 자막
(4) 금기어
(5) 은어
2) 해결방안
(1) 시청자 중심의 해결방안
<1> 인터넷 게시판 활용
<2> ARS 퀴즈의 활용
(2) 기획자 중심의 해결방안
<1> 자막의 활용
<2> 연예인의 언어교육 의무화
3. 결론
본문내용
때문에 재촬영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으로 그 차선책으로 편집과정에서 시청자들로 하여금 잘못된 언어의 이해를 막기 위해 잘못된 대화나 단어를 올바른 표현으로 고쳐 자막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출연자들의 대화 도중 "와루바시"란 단어가 사용됐다고 하면 와루바시에 (X) 나무젓가락 (O) 이렇게 자막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2) 연예인의 언어교육 의무화
대부분의 연예인들은 전문적인 언어의 지식이 없는 상태이다. 이런 현실에서 그들의 입에서 올바른 방송언어가 나오길 바란다는 것부터가 모순이란 생각을 해보았다. 방송언어 중에서 음성언어의 영역이 가장 큰 만큼 그릇된 방송언어의 무분별한 사용을 조금이라도 막기 위해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방송언어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 하는 것이다. 바쁜 일정에 쫓기며 일하는 특성이 있는 직업임으로 자율적인 참여보다는 의무화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일정 주기로 교육을 몇시간 이상 이수해야 방송에 출연 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이다.
Ⅲ. 결 론
이번 연구결과 방송언어 중 반말의 사용과 자막의 남용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이런 문제점을 찾아내기까지 야심만만이라는 조사대상 프로그램을 여려 번 반복 시청해야만 했다. 1∼2번 봤을 때는 방송언어의 문제점을 거의 찾지 못했고 3∼4번 이상 시청하고서야 그 문제점을 찾아 낼 수 있었다. 그 만큼 우리는 부적절한 방송언어에 길들여져 있었고 어찌 보면 그것을 즐기고 있었다는 것을 느끼고 반성의 시간이 되기도 했다. 만약 우리에게 더 많은 시간이 주어졌다면 사람들을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분류하여 방송언어의 문제점으로 인한 영향들이 우리 생활 속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더 연구해 보고 싶은 욕심이 생기기도 했다.
방송언어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를 거듭 하면서 방송언어가 하루속히 올바르게 사용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그 해결책도 생각해 보았다. 여기서 하나 조심스러운 문제는 방송에서 연예인들의 말을 마치 아나운서의 표준어처럼 모두 규격화 한다면 풍자나 왜곡의 익살까지 막을 수 있고 그것은 시청률을 중요시 여기는 방송에서 표현의 자유를 막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방송언어는 그 문제가 심각한 상태이고 아직 언어체계가 확실히 자리 잡지 않은 어린이나 청소년이 볼 때 잘못된 언어체계를 자리 잡게 할 수도 있으므로 그에 대한 해결방안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출연자들의 대화 도중 "와루바시"란 단어가 사용됐다고 하면 와루바시에 (X) 나무젓가락 (O) 이렇게 자막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2) 연예인의 언어교육 의무화
대부분의 연예인들은 전문적인 언어의 지식이 없는 상태이다. 이런 현실에서 그들의 입에서 올바른 방송언어가 나오길 바란다는 것부터가 모순이란 생각을 해보았다. 방송언어 중에서 음성언어의 영역이 가장 큰 만큼 그릇된 방송언어의 무분별한 사용을 조금이라도 막기 위해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방송언어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 하는 것이다. 바쁜 일정에 쫓기며 일하는 특성이 있는 직업임으로 자율적인 참여보다는 의무화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일정 주기로 교육을 몇시간 이상 이수해야 방송에 출연 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이다.
Ⅲ. 결 론
이번 연구결과 방송언어 중 반말의 사용과 자막의 남용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이런 문제점을 찾아내기까지 야심만만이라는 조사대상 프로그램을 여려 번 반복 시청해야만 했다. 1∼2번 봤을 때는 방송언어의 문제점을 거의 찾지 못했고 3∼4번 이상 시청하고서야 그 문제점을 찾아 낼 수 있었다. 그 만큼 우리는 부적절한 방송언어에 길들여져 있었고 어찌 보면 그것을 즐기고 있었다는 것을 느끼고 반성의 시간이 되기도 했다. 만약 우리에게 더 많은 시간이 주어졌다면 사람들을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분류하여 방송언어의 문제점으로 인한 영향들이 우리 생활 속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더 연구해 보고 싶은 욕심이 생기기도 했다.
방송언어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를 거듭 하면서 방송언어가 하루속히 올바르게 사용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그 해결책도 생각해 보았다. 여기서 하나 조심스러운 문제는 방송에서 연예인들의 말을 마치 아나운서의 표준어처럼 모두 규격화 한다면 풍자나 왜곡의 익살까지 막을 수 있고 그것은 시청률을 중요시 여기는 방송에서 표현의 자유를 막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방송언어는 그 문제가 심각한 상태이고 아직 언어체계가 확실히 자리 잡지 않은 어린이나 청소년이 볼 때 잘못된 언어체계를 자리 잡게 할 수도 있으므로 그에 대한 해결방안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새로운 매체 방송의 등장
카지노 산업 개관과 우리나라 카지노
소유의 종말(제레미 리프킨 ) 서평
송강 정철
10년 후의 우리 사회의 평생교육 현황 전망
스펜서 존슨의 선택(Yes or No)
캐나다의 지방정부
대학원학업계획서] 전공별 대학원 학업계획서 예시문 Top7 -대학원자기소개서예문, 대학원학...
서희, 협상을 말하다
우리나라 떡의 어원, 역사, 종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발전과정과 ...
디자인파워 ‘커피(Coffee)’ 광고 분석 (광고의 의미, 커피광고의 종류, 커피광고의 동향, 스...
[유아교육개론 D형] 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교수학습매체와 교재교구에 대하여 보...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1권 제2장 요약- 근대적 주체와 문학 양식의 발견
경제자유구역 투자 유치를 위한 홍보영상물 마케팅ㆍ커뮤니케이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