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여·몽전쟁의 개관 및 진행과정
2. 여·몽전쟁이후 고려의 변화
3. 원과 고려와의 대외관계 변모
① 전후에 형성된 양국간의 지배층과 정치체제의 변동
② 일본정벌을 위한 전초 기지 역할 수행
Ⅲ. 결 론
Ⅱ. 본 론
1. 여·몽전쟁의 개관 및 진행과정
2. 여·몽전쟁이후 고려의 변화
3. 원과 고려와의 대외관계 변모
① 전후에 형성된 양국간의 지배층과 정치체제의 변동
② 일본정벌을 위한 전초 기지 역할 수행
Ⅲ. 결 론
본문내용
하였다. 세조는 고려를 일본 정벌의 기지로서 이용하기 위해 고려에 관인(寬仁)한 태도를 보이고 또 원종을 우대하였다.
그러나 몽고는 일본에 대한 초유(招諭)공작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조정(助征)의 요구를 내세운 것을 계기로 하여 종전의 관인한 태도와는 반대로 매우 위압적인 태도로써 고려에 임하게 되었다.
Ⅲ. 결 론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중기까지 거란(契丹)·여진(女眞)등 북방 이민족의 부단한 침입을 받아왔다. 그러나 고려와 이들과의 전쟁은 비교적 단기간 내에 승패가 결정지어졌다. 이에 비하여 여·몽전쟁은 한민족의 5천년 역사에서 유례를 볼 수 없을 정도로 장기간 동안 지속된 전란이었다. 비록 여·몽전쟁의 결과로 원의 한반도 지배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형태에 있어서 당시 여러 정복된 왕조에 대한 지배 형식과는 다분히 달랐다. 그러한 근거로 위에 서술한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겠지만, 두 가지 이유 중에서도 전자의 요인이 더욱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나 하는 쪽으로 끝맺음한다.
◇參 考 文 獻◇
국사편찬위원회 편저, 『한국사 7 - 고려; 무신정권과 대몽항쟁』, 국사편찬위원회, 1973.
강만길 外 12인 편저, 『한국사 6』, 한길사, 1994.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 전쟁통사Ⅱ』, 1993
배용일, 『한국사 개론』, 대왕사, 1993
김임규 外 2인, 『한국민족문화와 의식』, 정훈출판사, 1993
고병익, 「고려와 원의 관계」, 『동양학 7』, 단국대 동양학 연구소, 1977
주채혁, 「몽골·고려사 연구의 재검토 - 몽골·고려 전쟁사 연구의 시각문제」, 『애산학보』, 1989
그러나 몽고는 일본에 대한 초유(招諭)공작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조정(助征)의 요구를 내세운 것을 계기로 하여 종전의 관인한 태도와는 반대로 매우 위압적인 태도로써 고려에 임하게 되었다.
Ⅲ. 결 론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중기까지 거란(契丹)·여진(女眞)등 북방 이민족의 부단한 침입을 받아왔다. 그러나 고려와 이들과의 전쟁은 비교적 단기간 내에 승패가 결정지어졌다. 이에 비하여 여·몽전쟁은 한민족의 5천년 역사에서 유례를 볼 수 없을 정도로 장기간 동안 지속된 전란이었다. 비록 여·몽전쟁의 결과로 원의 한반도 지배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형태에 있어서 당시 여러 정복된 왕조에 대한 지배 형식과는 다분히 달랐다. 그러한 근거로 위에 서술한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겠지만, 두 가지 이유 중에서도 전자의 요인이 더욱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나 하는 쪽으로 끝맺음한다.
◇參 考 文 獻◇
국사편찬위원회 편저, 『한국사 7 - 고려; 무신정권과 대몽항쟁』, 국사편찬위원회, 1973.
강만길 外 12인 편저, 『한국사 6』, 한길사, 1994.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 전쟁통사Ⅱ』, 1993
배용일, 『한국사 개론』, 대왕사, 1993
김임규 外 2인, 『한국민족문화와 의식』, 정훈출판사, 1993
고병익, 「고려와 원의 관계」, 『동양학 7』, 단국대 동양학 연구소, 1977
주채혁, 「몽골·고려사 연구의 재검토 - 몽골·고려 전쟁사 연구의 시각문제」, 『애산학보』, 198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