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 리 말
2. 敎 育 機 關
(1) 國子監
(2) 私學 12徒
(3) 鄕 校
3. 文 化
(1) 史書의 編纂
(2) 鄕歌과 漢文學
(3) 美 術
4. 맺 음 말
2. 敎 育 機 關
(1) 國子監
(2) 私學 12徒
(3) 鄕 校
3. 文 化
(1) 史書의 編纂
(2) 鄕歌과 漢文學
(3) 美 術
4. 맺 음 말
본문내용
의 없다. 한편, 공민왕이 그렸다는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가 전해져 당시의 화풍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예품으로는 귀족들의 생활 기구를 중심으로 한 자기·나전칠기·불구(佛具) 등이 발달하였다. 그 중 도자기는 고려의 미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자기는 신라의 전통을 이어받아 한층 더 발전시키고 거기에 송(宋)의 영향을 받아 인종 때에 이르러 매우 발달하여 그 종류도 다양해졌다. 병, 항아리, 주전자, 접시 등에도 이용되었으며 여러 동식물을 본떠 만든 향로, 주전자, 연적 등은 뛰어난 솜씨를 보여준다.
4. 맺음말
이상 고려시대 교육과 문화를 알아보았다.
고려의 교육은 봉건 사회의 위계적 성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으며, 문화면에서는 송과 신라의 영향을 받았지만 더 뛰어난 문화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교육과 문화에 대해 조사하면서보니 자료가 확실하지 못했다. 여러 추측들로 이루어진 자료가 안타까웠다. 앞으로 우리의 문화재를 더 아끼고 보존해야 될 것을 느꼈다.
5. 참고문헌
<한국사 17 - 고려전기의 교육과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사> 박용운 저. 일지사 출판 . 1985 <고려시대사강의> 한국중세사학회 . 늘함께 . 1997
마지막으로 공예품으로는 귀족들의 생활 기구를 중심으로 한 자기·나전칠기·불구(佛具) 등이 발달하였다. 그 중 도자기는 고려의 미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자기는 신라의 전통을 이어받아 한층 더 발전시키고 거기에 송(宋)의 영향을 받아 인종 때에 이르러 매우 발달하여 그 종류도 다양해졌다. 병, 항아리, 주전자, 접시 등에도 이용되었으며 여러 동식물을 본떠 만든 향로, 주전자, 연적 등은 뛰어난 솜씨를 보여준다.
4. 맺음말
이상 고려시대 교육과 문화를 알아보았다.
고려의 교육은 봉건 사회의 위계적 성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으며, 문화면에서는 송과 신라의 영향을 받았지만 더 뛰어난 문화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교육과 문화에 대해 조사하면서보니 자료가 확실하지 못했다. 여러 추측들로 이루어진 자료가 안타까웠다. 앞으로 우리의 문화재를 더 아끼고 보존해야 될 것을 느꼈다.
5. 참고문헌
<한국사 17 - 고려전기의 교육과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사> 박용운 저. 일지사 출판 . 1985 <고려시대사강의> 한국중세사학회 . 늘함께 .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