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유전적 용혈성 빈혈
1. G6PD(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결핍
2. 유전성 구상적혈구 혈증(Hereditary spherocytosis)
3. 혈색소형성 결함에 의한 빈혈 : 혈색소병(Hemoglobinopathies)
a. 겸상세포빈혈과 결상 세포체질
b. 지중해 빈혈(Thalassemias)
B. 후천성 용혈성 빈혈
1. 상해로인한 용혈(Anemias due to trauma)
2. 화학물질과 약물복용에 의한 용혈
3. 감염에 의한 용혈(hemolysis due to infections agents)
4. 동종면역반응에 의한 용혈(hemolysis due to isoimmune gemolytric reactions)
5. 자가면역 장애로 인한 용혈(nemolysis due to autoimmune disorders)
6. 발작성 혈색소요증(Paroxysmal hemoglobinuria)
7. 이차적 빈혈(secondary anemia)
1. G6PD(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결핍
2. 유전성 구상적혈구 혈증(Hereditary spherocytosis)
3. 혈색소형성 결함에 의한 빈혈 : 혈색소병(Hemoglobinopathies)
a. 겸상세포빈혈과 결상 세포체질
b. 지중해 빈혈(Thalassemias)
B. 후천성 용혈성 빈혈
1. 상해로인한 용혈(Anemias due to trauma)
2. 화학물질과 약물복용에 의한 용혈
3. 감염에 의한 용혈(hemolysis due to infections agents)
4. 동종면역반응에 의한 용혈(hemolysis due to isoimmune gemolytric reactions)
5. 자가면역 장애로 인한 용혈(nemolysis due to autoimmune disorders)
6. 발작성 혈색소요증(Paroxysmal hemoglobinuria)
7. 이차적 빈혈(secondary anemia)
본문내용
태아와 모체 혈액간의 불일치(태아 : Rh+, 어머니 : Rh-)
5. 자가면역 장애로 인한 용혈(nemolysis due to autoimmune disorders)
- 면역기전의 장애에 의한 반응으로 대상자의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자가항체(autoantibodies)를 생산하여 적혈구를 파괴하는 질환
① 다른 자가면역질환에 의해(이차적) or SLE, 임파증식질환(백혈병, 임파종)과 같은 면역질환 등
②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기왕력이 없는 상태(자연적) 자연적으로 발생, 약물복용후 형성된 IgG항체에 의해 RBC파괴
1)증상 : 심하고 산발적, 치명적인 감마성 자반증
2) 진단 : 직접쿰검사(direct coombs'test)
3)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의 치료
·원인이 되는 자가면역성 질환치료
·의심되는 약물 사용중단
4) 특발성 형태의 치료
·스테로이드 사용
·수혈 : 일시적인 증상완화
·비장절제술 : 약물요법이 효과가 없거나 스테로이드투여에 부작용 발생시
6. 발작성 혈색소요증(Paroxysmal hemoglobinuria)
1) 증상 : 황달, 만성피로, 공막의 황달, 비장증대, 수면후 소변 암갈색 or 붉은 포도주색
2) PCH의 치료 : 대증적
·수혈 : 초기 수혈시 비정상적인 RBC 생성저하 증상호전 수혈반복 동종면역반응 적혈구 식염수에 씻어 투여 or 냉동적혈구 투여
7. 이차적 빈혈(secondary anemia)
- 다른질환과 관련하여 발생
① 만성적 전신질환(chronic systemic disease) : 류마티스성 관절염, 영양불량, 백혈병
② 임파종과 다발성 골수증(multiple myeloma)
③ 만성감염 : 폐농양, 농흉, 골반 염증성 질환
④ 요독증을 동반한 급성 또는 만성 신질환
⑤ 간경화증
⑥ 내분비질환 : 점액수종
⑦ 암
- 치료 : ·원인질환의 교정
·대증적 - 대상자의 혈색소 8~9g/100ml 농축적혈구 투여
Ⅲ. 결론
용혈성 빈혈은 골수가 보충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적혈구가 파괴되어 발생되며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서 구분된다. 임경빈 님의 용혈성 빈혈에 의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많은 빈혈의 종류 중 한가지를 배울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2) 김조자외 현문사(p1468~1474)
성인간호학 하(1) 서문자외 수문사(p353~368)
성인간호학 하(1) 전시자외 현문사(p161~166)
5. 자가면역 장애로 인한 용혈(nemolysis due to autoimmune disorders)
- 면역기전의 장애에 의한 반응으로 대상자의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자가항체(autoantibodies)를 생산하여 적혈구를 파괴하는 질환
① 다른 자가면역질환에 의해(이차적) or SLE, 임파증식질환(백혈병, 임파종)과 같은 면역질환 등
②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기왕력이 없는 상태(자연적) 자연적으로 발생, 약물복용후 형성된 IgG항체에 의해 RBC파괴
1)증상 : 심하고 산발적, 치명적인 감마성 자반증
2) 진단 : 직접쿰검사(direct coombs'test)
3)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의 치료
·원인이 되는 자가면역성 질환치료
·의심되는 약물 사용중단
4) 특발성 형태의 치료
·스테로이드 사용
·수혈 : 일시적인 증상완화
·비장절제술 : 약물요법이 효과가 없거나 스테로이드투여에 부작용 발생시
6. 발작성 혈색소요증(Paroxysmal hemoglobinuria)
1) 증상 : 황달, 만성피로, 공막의 황달, 비장증대, 수면후 소변 암갈색 or 붉은 포도주색
2) PCH의 치료 : 대증적
·수혈 : 초기 수혈시 비정상적인 RBC 생성저하 증상호전 수혈반복 동종면역반응 적혈구 식염수에 씻어 투여 or 냉동적혈구 투여
7. 이차적 빈혈(secondary anemia)
- 다른질환과 관련하여 발생
① 만성적 전신질환(chronic systemic disease) : 류마티스성 관절염, 영양불량, 백혈병
② 임파종과 다발성 골수증(multiple myeloma)
③ 만성감염 : 폐농양, 농흉, 골반 염증성 질환
④ 요독증을 동반한 급성 또는 만성 신질환
⑤ 간경화증
⑥ 내분비질환 : 점액수종
⑦ 암
- 치료 : ·원인질환의 교정
·대증적 - 대상자의 혈색소 8~9g/100ml 농축적혈구 투여
Ⅲ. 결론
용혈성 빈혈은 골수가 보충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적혈구가 파괴되어 발생되며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서 구분된다. 임경빈 님의 용혈성 빈혈에 의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많은 빈혈의 종류 중 한가지를 배울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2) 김조자외 현문사(p1468~1474)
성인간호학 하(1) 서문자외 수문사(p353~368)
성인간호학 하(1) 전시자외 현문사(p161~166)
추천자료
고위험 신생아 (아동)
수혈 간호
아동의 신체사정 (신체검진)
ICU 실습자료
담석증(Calculus of gallbladder with acute cholecystitis)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특수질환아 이론적 고찰
병원미생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신생아 특수치료 및 검사
고위험 신생아
[신생아][신생아의 특성][신생아의 관리][신생아의 주요 건강문제][신생아의 의복][신생아관...
[수혈][수혈 부작용][수혈 주의사항][성분수혈][혈액관리]수혈의 종류, 수혈의 과정, 수혈 시...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아동간호학] 신생아실,소아청소년과 실습보고서
크룹증후군(croup syndrome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