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ubjective information
2. Objective information
3. Assessment
4. Plan
2. Objective information
3. Assessment
4. Plan
본문내용
졸중 원인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심인성 뇌경색
열공 뇌경색 (지속 시간이 짧아 발생 24시간 내에 증상이 회복되는 경우)
일과성 허혈발작
증상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 등이 흔히 발생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런 시야장애 및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허혈성 뇌졸중도 발생 가능
진단/검사
뇌 CT나 뇌 MRI를 통해 출혈성 뇌졸중과 감별
뇌졸중의 위치, 크기 및 폐색된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확진
만약 증상 발생 5시간 이내에 도착한 초급성 허혈성 뇌졸중인 경우
-> 뇌 CT 또는 뇌 MRI로 뇌졸중을 진단한 후 다른 검사를 거치지 않고 즉시 정맥내혈전용해술을 시도하여 막힌 혈관을 개통
치료
증상이 처음 나타난 후 4-5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폐색된 혈관의 재개통을 목표로 한 주사 제제를 통한 혈전용해술 시행
24시간이 경과하지 않았고, 대뇌혈관이 막힌 것이 확인되면 막힌 혈관에 대해 기계적 재개통술 시행
초급성기가 경과한 이후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경우 급성기 합병증 발생을 막기 위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혈소판 억제제 또는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뇌졸중의 재발을 막는 치료 시행, 적극적인 재활치료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심인성 뇌경색
열공 뇌경색 (지속 시간이 짧아 발생 24시간 내에 증상이 회복되는 경우)
일과성 허혈발작
증상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 등이 흔히 발생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런 시야장애 및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허혈성 뇌졸중도 발생 가능
진단/검사
뇌 CT나 뇌 MRI를 통해 출혈성 뇌졸중과 감별
뇌졸중의 위치, 크기 및 폐색된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확진
만약 증상 발생 5시간 이내에 도착한 초급성 허혈성 뇌졸중인 경우
-> 뇌 CT 또는 뇌 MRI로 뇌졸중을 진단한 후 다른 검사를 거치지 않고 즉시 정맥내혈전용해술을 시도하여 막힌 혈관을 개통
치료
증상이 처음 나타난 후 4-5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폐색된 혈관의 재개통을 목표로 한 주사 제제를 통한 혈전용해술 시행
24시간이 경과하지 않았고, 대뇌혈관이 막힌 것이 확인되면 막힌 혈관에 대해 기계적 재개통술 시행
초급성기가 경과한 이후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경우 급성기 합병증 발생을 막기 위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혈소판 억제제 또는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뇌졸중의 재발을 막는 치료 시행, 적극적인 재활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