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Ⅱ이론적 배경
1. 환경이 어린이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
2. 언어 환경의 의미
3. 교육적 환경으로서의 대중매체
Ⅲ. 연구의 결과 및 해석
1. 정서법 오용의 실태
1) 맞춤법
2) 띄어쓰기의 오류 경향
3) 문장 부호 사용의 오류
2. 어휘사용의 오류 실태
1) 은어 및 비․속어
2) 유행어
3) 어려운 말
4) PC통신의 영향을 받은 오류 실태
Ⅳ. 결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Ⅱ이론적 배경
1. 환경이 어린이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
2. 언어 환경의 의미
3. 교육적 환경으로서의 대중매체
Ⅲ. 연구의 결과 및 해석
1. 정서법 오용의 실태
1) 맞춤법
2) 띄어쓰기의 오류 경향
3) 문장 부호 사용의 오류
2. 어휘사용의 오류 실태
1) 은어 및 비․속어
2) 유행어
3) 어려운 말
4) PC통신의 영향을 받은 오류 실태
Ⅳ. 결론
본문내용
없어
엉겨 붙은 거지
개길래
죽고 싶어 환장했어?
튀자
누가 야린다고 겁낼 줄 알아?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속어는 '빌어먹을'(12) , '닥쳐'(8), '제기랄'(6)으로 어른들이 흔히 쓰고 있는 것들이다. 이렇게 어른들이 저속하지만 거침없이 사용하는 말들이 만화에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어린이들의 언어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2) 유행어
[유행어는 시쳇말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어느 한 때 유행하는 유행가처럼 널리 쓰이다가 사라지는 말이다.]
요즈음의 유행어는 주로 텔레비전에 나오는 인기인들이나 광고에서 많이 만들어지면 개그맨들에 의해서도 웃음을 자아내기 위해서 마구 사용되고 있다. 어린이들은 이러한 유행어를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는데 만화책에서도 텔레비전에서 습득한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시간 칼같이 지킨다.
꿀꿀해져
기분 째진다.
어쭈구리
옷차림도 전략
분식집 개 3년이면 라면을 끓인다더니
저희 연변에서는
옳다구나
화장은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게 더 중요해
유행어를 사용한 예는 그다지 많은 수가 아니지만 유행어 자체를 일반화 내지는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3) 어려운 말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은 어려운 말이 어떤 경로를 거쳐서 어린이에게 습득되었을 경우에 어린이는 말의 의미는 파악하지 못한 채, 그 말을 자신의 언어체계에 편입하고, 그 말을 사용함으로써 언어사용에 있어서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외래어, 외국어 말 도막, 한자어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⑴ 외래어
다이어트
홈런
배트
플러그
스노우 보드
아티스트
아트
새로운 문물의 외국으로부터의 도입은 거기에 따르는 표기상의 문제를 동반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우리말의 체계 속으로 들어 온 외래어의 사용은 원칙적으로는 문제될 것이 없다. 하지만 이것이 아이들에게 사용될 경우에는 그들이 이를 이해하지 못하여 전체 문장의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⑵ 외국어 말 도막
워밍업
디스카운트
프로
보컬
틴 에이져
아지트
외래어가 우리말로 정착한 것이라면 외국어 말 도막은 우리말에 편입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은 '디스카운트'는 '할인'으로, '틴 에이져'는 '십대'로, '프로'는 '전문가' 등으로 고쳐 써야 한다. 이렇게 우리말로 표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운 외국어로 표기하는 것은 문장 전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주고 우리말의 고유성을 해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⑶ 한자어
고견
창작
기만
야음
음산하다.
임시방편
난중지추
한자어는 우리말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어린이들을 위해서는 그 뜻풀이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 PC통신의 영향을 받은 오류 실태
만화책에서 찾은 거의 대부분의 오류가 PC통신의 영향을 받고 TV매체의 자막에서 영향을 받은 오류가 많았다.
⑴ 유행어
중딩(중학생)
스타(스타크래프트)
쏘다(쓰다, 쓴다, 산다)
당근이지(당연하다)
짱나 (짜증난다)
뜨다 (유명해 지다)
⑵ 표현적 측면
①모음변화
이중모음의 단순화: 머(뭐), 모야(뭐야), 먼일이야(뭔일이야), 머해(뭐해)
-지 -쥐 : 하쥐(하지), 그렇쥐(그렇지), 사랑하쥐(사랑하지), 알쥐(알지)
으 우 : 구래 (그래), 구렇구나 (그렇구나)
-요 -여 : 근데여(그런데요), 어디에여(어디에요), 말아여 (말아요)
가타여(같아요)
축약 또는 탈락: 쌤(선생님), 뭣 땜에(무엇 때문에), 컴(컴퓨터),
짐 껨 중이야(지금 게임 중이야), 겜방이야(게임방이야),
넘 미안해(너무 미안해), 첨이었단 (처음이었단),
됐슴다(됐습니다)
유아어의 표현: 마시쪄(맛있어), 때찌(때릴 거야), 할꼬야(할거야)
갈꼬야(갈 거야), 알아쪄(알았어)
⑶ 어휘적 측면
은어(신조어): 중딩(중학생), 잠수(연락을 하지 않고 지내다)
말밥이지(당연하다), 꿀꿀하다(기분이 우울하다)
약어:알바하니? (아르바이트> 알바이트> 알바)
정모 (정기모임)
⑷ 문법적 측면
명사형 어미의 애용: 그냥 보고 있음
나두 중삼
낼부터 휴가
엄청 재미
ㅇ, ㅅ, ㅁ, ㄹ을 종성에 첨가: 넹, 여길로, 함, 다녀용, 심심행, 아는군아, 아마둥, 알았당, 어랏, 작업하시넹, 하넹,
합니당, 나가넹, 나가야겠당, 넵, 다가넹,
멀당, 방가룽
된소리 표기: 가야게따, 않을꺼 같다, 좀 이따, 멋찌네여, 뭐해줄껀데,
Ⅳ. 결론
지금까지 만화책을 통한 우리 언어사용의 단면을 살펴보았다. 출판만화에서의 국어사용을 통한 특징을 살펴본다면 이중 문장부호 사용이 이전보다 급증한 것과 PC통신과 TV자막의 영향을 받아서 축약, 생략, 된소리표기, 종성에 ㅇ, ㅅ, ㅁ, ㄹ이 첨가된 것과 신조은어가 급증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세대간의 언어 장벽을 초래하여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막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화가 역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말의 문법을 부정한다면 과연 누가 우리말을 지켜줄 것인가? 우리말을 스스로가 사랑하고 지켜내는 자세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국어 교육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하겠다. 아동기에 언어 습관의 거의 대부분이 형성된다고 보아도 무리가 아니다. 따라서 올바른 표준어 교육을 통한 국어 교육을 시키고 잘못된 언어사용을 바로 잡아 주는 노력만이 최선일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국민의 민족성과 언어와 문화 형성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려줌으로써 우리의 고유어를 더욱 발전시키고 올바른 국어 사용능력을 신장을 꾀해야겠다.
참고문헌 ----------------------------------------------
1. 이애라(2000) PC 통신의 대화 언어가 국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2. 이지영(1992) 어린이용 비디오 자막에 나타난 언어 사용의 실태
3. 강원도 교육청, 전게서, P.22.
4. 김슬옹, 통신언어 담론, 성대신문 1147호
5. 이희승, 국어대사전, P.21
6. 정원식, 현대교육심리학, P.127
7. 박춘식, 아동언어 교육, pp152∼153
엉겨 붙은 거지
개길래
죽고 싶어 환장했어?
튀자
누가 야린다고 겁낼 줄 알아?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속어는 '빌어먹을'(12) , '닥쳐'(8), '제기랄'(6)으로 어른들이 흔히 쓰고 있는 것들이다. 이렇게 어른들이 저속하지만 거침없이 사용하는 말들이 만화에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어린이들의 언어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2) 유행어
[유행어는 시쳇말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어느 한 때 유행하는 유행가처럼 널리 쓰이다가 사라지는 말이다.]
요즈음의 유행어는 주로 텔레비전에 나오는 인기인들이나 광고에서 많이 만들어지면 개그맨들에 의해서도 웃음을 자아내기 위해서 마구 사용되고 있다. 어린이들은 이러한 유행어를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는데 만화책에서도 텔레비전에서 습득한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시간 칼같이 지킨다.
꿀꿀해져
기분 째진다.
어쭈구리
옷차림도 전략
분식집 개 3년이면 라면을 끓인다더니
저희 연변에서는
옳다구나
화장은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게 더 중요해
유행어를 사용한 예는 그다지 많은 수가 아니지만 유행어 자체를 일반화 내지는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3) 어려운 말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은 어려운 말이 어떤 경로를 거쳐서 어린이에게 습득되었을 경우에 어린이는 말의 의미는 파악하지 못한 채, 그 말을 자신의 언어체계에 편입하고, 그 말을 사용함으로써 언어사용에 있어서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외래어, 외국어 말 도막, 한자어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⑴ 외래어
다이어트
홈런
배트
플러그
스노우 보드
아티스트
아트
새로운 문물의 외국으로부터의 도입은 거기에 따르는 표기상의 문제를 동반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우리말의 체계 속으로 들어 온 외래어의 사용은 원칙적으로는 문제될 것이 없다. 하지만 이것이 아이들에게 사용될 경우에는 그들이 이를 이해하지 못하여 전체 문장의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⑵ 외국어 말 도막
워밍업
디스카운트
프로
보컬
틴 에이져
아지트
외래어가 우리말로 정착한 것이라면 외국어 말 도막은 우리말에 편입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은 '디스카운트'는 '할인'으로, '틴 에이져'는 '십대'로, '프로'는 '전문가' 등으로 고쳐 써야 한다. 이렇게 우리말로 표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운 외국어로 표기하는 것은 문장 전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주고 우리말의 고유성을 해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⑶ 한자어
고견
창작
기만
야음
음산하다.
임시방편
난중지추
한자어는 우리말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어린이들을 위해서는 그 뜻풀이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 PC통신의 영향을 받은 오류 실태
만화책에서 찾은 거의 대부분의 오류가 PC통신의 영향을 받고 TV매체의 자막에서 영향을 받은 오류가 많았다.
⑴ 유행어
중딩(중학생)
스타(스타크래프트)
쏘다(쓰다, 쓴다, 산다)
당근이지(당연하다)
짱나 (짜증난다)
뜨다 (유명해 지다)
⑵ 표현적 측면
①모음변화
이중모음의 단순화: 머(뭐), 모야(뭐야), 먼일이야(뭔일이야), 머해(뭐해)
-지 -쥐 : 하쥐(하지), 그렇쥐(그렇지), 사랑하쥐(사랑하지), 알쥐(알지)
으 우 : 구래 (그래), 구렇구나 (그렇구나)
-요 -여 : 근데여(그런데요), 어디에여(어디에요), 말아여 (말아요)
가타여(같아요)
축약 또는 탈락: 쌤(선생님), 뭣 땜에(무엇 때문에), 컴(컴퓨터),
짐 껨 중이야(지금 게임 중이야), 겜방이야(게임방이야),
넘 미안해(너무 미안해), 첨이었단 (처음이었단),
됐슴다(됐습니다)
유아어의 표현: 마시쪄(맛있어), 때찌(때릴 거야), 할꼬야(할거야)
갈꼬야(갈 거야), 알아쪄(알았어)
⑶ 어휘적 측면
은어(신조어): 중딩(중학생), 잠수(연락을 하지 않고 지내다)
말밥이지(당연하다), 꿀꿀하다(기분이 우울하다)
약어:알바하니? (아르바이트> 알바이트> 알바)
정모 (정기모임)
⑷ 문법적 측면
명사형 어미의 애용: 그냥 보고 있음
나두 중삼
낼부터 휴가
엄청 재미
ㅇ, ㅅ, ㅁ, ㄹ을 종성에 첨가: 넹, 여길로, 함, 다녀용, 심심행, 아는군아, 아마둥, 알았당, 어랏, 작업하시넹, 하넹,
합니당, 나가넹, 나가야겠당, 넵, 다가넹,
멀당, 방가룽
된소리 표기: 가야게따, 않을꺼 같다, 좀 이따, 멋찌네여, 뭐해줄껀데,
Ⅳ. 결론
지금까지 만화책을 통한 우리 언어사용의 단면을 살펴보았다. 출판만화에서의 국어사용을 통한 특징을 살펴본다면 이중 문장부호 사용이 이전보다 급증한 것과 PC통신과 TV자막의 영향을 받아서 축약, 생략, 된소리표기, 종성에 ㅇ, ㅅ, ㅁ, ㄹ이 첨가된 것과 신조은어가 급증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세대간의 언어 장벽을 초래하여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막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화가 역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말의 문법을 부정한다면 과연 누가 우리말을 지켜줄 것인가? 우리말을 스스로가 사랑하고 지켜내는 자세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국어 교육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하겠다. 아동기에 언어 습관의 거의 대부분이 형성된다고 보아도 무리가 아니다. 따라서 올바른 표준어 교육을 통한 국어 교육을 시키고 잘못된 언어사용을 바로 잡아 주는 노력만이 최선일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국민의 민족성과 언어와 문화 형성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려줌으로써 우리의 고유어를 더욱 발전시키고 올바른 국어 사용능력을 신장을 꾀해야겠다.
참고문헌 ----------------------------------------------
1. 이애라(2000) PC 통신의 대화 언어가 국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2. 이지영(1992) 어린이용 비디오 자막에 나타난 언어 사용의 실태
3. 강원도 교육청, 전게서, P.22.
4. 김슬옹, 통신언어 담론, 성대신문 1147호
5. 이희승, 국어대사전, P.21
6. 정원식, 현대교육심리학, P.127
7. 박춘식, 아동언어 교육, pp152∼15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