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사관 비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리적 결정론

2. 지리적 결정론의 모순

3. 사카다의 이론과 그 과오

4. 붕당정치의 왜곡

본문내용

한국인은 없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본은 한국사가 자주적 발전 없이 항상 외세에 좌우되어 왔으며 근대화의 방향이 전혀없이 중국문화의 모방이라는 말로 한국인에게 주입하여 자국역사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만들었으며, 한국사 연구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 되어졌던 것이다.
세계대전후 한국사 연구의 왜곡은 한국인 연구자 쪽에서 강하게 비판되고 일본인 연구자 가운데서도 반성되어지고 있으나, 지금도 식민지적사관에 입각한 말로 한국사 왜곡을 주장으로 자신들의 침략을 정당화하려하고, 또 계속적인 망발을 일삼고 있다.
자국의 부강 은 경제적 부유만으론 잊을 수 없다.
미국은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를 부러워 하고 있으며, 그래서 더욱더 한국을 속국으로 하려하는지도 모른다.
역사는 흐르고 지켜지는 것이다. 절대로 필요에 의해 만들 어 지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교훈으로 남는 것이며, 설사 잘못된 역사라도 지켜 번복되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텔레비전의 사극을 보면 역사 속 인물을 다시 재 조명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조금씩은 식견이 달라지고 있다. 그 속에서 올바르게 인식하고 볼 줄 아는 자가 진정한 한국인이라 불릴 수 있다고 생각된다.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2.14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